목차
1. 아웃백 기업소개
2. 아웃백의 경영원칙
3. 아웃백 기업 경영전략 사례연구
(1) 품질경영
(2) 마케팅전략
(3) 서비스전략
(4) 스타활용전략
(5) 광고전략
4. 아웃백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결론
2. 아웃백의 경영원칙
3. 아웃백 기업 경영전략 사례연구
(1) 품질경영
(2) 마케팅전략
(3) 서비스전략
(4) 스타활용전략
(5) 광고전략
4. 아웃백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결론
본문내용
는 갈비를 잘 안 먹으므로 재료의 값이 싸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갈비를 잘 먹고 불고기 양념을 좋아하므로 이를 이용한 스테이크를 만들었다.
(3) 서비스전략
1) 콜 어헤드 서비스
아웃백 방문 전에 방문하고자 하는 매장으로 전화하면 예약과는 다른 서비로 방문 후 고객의 대기시간을 줄여준다. 매장 도착 후 대기시간이 줄어 더욱 빠르게 자리 안내를 받고 여유로운 식사가 가능하다. 기념들이나 8인 이상의 단체 고객들이 이용하기에 더욱 편리하다.
2) 페이저 서비스
더 이상 매장 앞에서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기다리는 손님들에게 페이저를 드리고, 순서가 되면 페이저가 울린다. 매장 반경 1km안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순서를 기다릴 수 있다. 매장 앞에서 답답하게 기다리지 않고도 근처에서 간단한 볼일을 보면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고객의 소중한 시간을 배려하기 위한 아웃백의 서비스이다.
3) 웨이팅푸드 서비스
기다리는 시간동안 고객의 시장기를 달랠 아웃백의 정성어린 웨이팅 푸드를 경험할 수 있다. 아웃백에서 판매하고 있는 스테이크, 씨푸드, 샐러드, 에피타이저가 갓 조리되어 고객에게 제공된다. 새로운 메뉴를 시식하면서 기다리는 지루함과 시장기를 달랠 수 있다.
4) 그라스루트 이벤트
아웃백은 그라스루트 마케팅으로 매장이 입점해 있는 지역의 이웃에게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크고 작은 행사에 작은 정성을 담아 참여하거나 어려운 이웃의 식사대접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고객과 더욱 가깝게 소통하는 마케팅이다.
(4) 스타활용전략
아웃백은 주로 그 당시에 인기 많은 스타를 활용한 스타 마케팅을 많이 들 하고 있는데. 다수의 사람들이 호감을 가지고 있는 모델을 주로 활용한다. 이러한 광고 모델을 보면서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호감을 느끼고, 그러한 호의가 제품에게로 까지 자연스레 확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생소한 모델보다는 눈에 익숙한, 유명한 모델이 나와서 선전을 한다면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도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광고전략
최근 아웃백의 광고는 기존의 스타마케팅이 아닌 신 제품을 보여 주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오감을 자극하는 광고를 연출하고있다. 시각적 효과는 물론, 스테이크가 구워지는 소리를 삽입하여 청각, 불에 구워지는 스테이크와 참나무 향 등의 단어를 이용하여 후각, 그리고 당연히 미각, 또 스테이크를 써는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촉각까지도 자극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감각의 자극을 통한 단순한 시각적 자극 보다, 소비자들이 이 제품에 좀 더 매력을 느끼게 할 것이다.
그리고 아웃백은 광고에서 아웃백의 변화를 확실하게 전달하려한다. 6가지 변화를 찾으면 쿠폰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숨은 그림 찾기를 하듯이 소비자들의 집중과, 관심과, 참여율을 높이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4. 아웃백 SWOT분석
(1) Strength
- 다수의 매장 보유
- 고급, 편안한, 여유로운 브랜드 이미지.
- 런치세트.
- 국내 정서에 맞는 원재료와 서비스(김치제공 등).
- 매장 위생관리 아웃소싱.
(2) Weakness
- 계약직종업원(매장근무인원)의 부족(커피전문점 선호추세).
- 점점 다양해지는 고객욕구
- 할인헤택이 없는 경우 고객들의 불만, 상실감.
(3) Opportunity
- 정부의 외식산업 지원의도.
- 외식업의 프리미엄화 확산.
- 신용카드, 통신사 멤버쉽카드 등 다양한 제휴관계.
- 주 5일 근무제로 인한 여가시간과 모임 증가.
- SNS를 통한 이벤트홍보 가능.
(4) Threat
- 경기 침체.
- 소비자들이 고품질, 저가격의 서비스를 요구.
- 식재료 공급난
5. 결론
아웃백은 풍부한 호주의 대자연을 떠오르게 하는 인테리어 컨셉을 적용함으로써 호주를 동경하는 고객들에게 매장분위기로 유형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Call-ahead service를 통하여 손님에게 약속된 시간에 맞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24시간 내 응답서비스를 통하여 대응성까지 확보하였다. 또한 지루한 웨이팅 시간을 페이저 서비스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여 고객들의 소중한 시간을 배려함으로써 공감성 역시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스탠다드를 만들어 계량화 시키기 어려운 서비스분야를 계량화 시킴으로써(ex. 인사는 고객 입점 후 15초 이내에 해야한다.) 모든 고객이 공평하게 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확신성까지 확보함으로써 외식업계의 서비스 성공의 좋은 예로 자리매김하였다.
(3) 서비스전략
1) 콜 어헤드 서비스
아웃백 방문 전에 방문하고자 하는 매장으로 전화하면 예약과는 다른 서비로 방문 후 고객의 대기시간을 줄여준다. 매장 도착 후 대기시간이 줄어 더욱 빠르게 자리 안내를 받고 여유로운 식사가 가능하다. 기념들이나 8인 이상의 단체 고객들이 이용하기에 더욱 편리하다.
2) 페이저 서비스
더 이상 매장 앞에서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기다리는 손님들에게 페이저를 드리고, 순서가 되면 페이저가 울린다. 매장 반경 1km안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순서를 기다릴 수 있다. 매장 앞에서 답답하게 기다리지 않고도 근처에서 간단한 볼일을 보면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고객의 소중한 시간을 배려하기 위한 아웃백의 서비스이다.
3) 웨이팅푸드 서비스
기다리는 시간동안 고객의 시장기를 달랠 아웃백의 정성어린 웨이팅 푸드를 경험할 수 있다. 아웃백에서 판매하고 있는 스테이크, 씨푸드, 샐러드, 에피타이저가 갓 조리되어 고객에게 제공된다. 새로운 메뉴를 시식하면서 기다리는 지루함과 시장기를 달랠 수 있다.
4) 그라스루트 이벤트
아웃백은 그라스루트 마케팅으로 매장이 입점해 있는 지역의 이웃에게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크고 작은 행사에 작은 정성을 담아 참여하거나 어려운 이웃의 식사대접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고객과 더욱 가깝게 소통하는 마케팅이다.
(4) 스타활용전략
아웃백은 주로 그 당시에 인기 많은 스타를 활용한 스타 마케팅을 많이 들 하고 있는데. 다수의 사람들이 호감을 가지고 있는 모델을 주로 활용한다. 이러한 광고 모델을 보면서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호감을 느끼고, 그러한 호의가 제품에게로 까지 자연스레 확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생소한 모델보다는 눈에 익숙한, 유명한 모델이 나와서 선전을 한다면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도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광고전략
최근 아웃백의 광고는 기존의 스타마케팅이 아닌 신 제품을 보여 주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오감을 자극하는 광고를 연출하고있다. 시각적 효과는 물론, 스테이크가 구워지는 소리를 삽입하여 청각, 불에 구워지는 스테이크와 참나무 향 등의 단어를 이용하여 후각, 그리고 당연히 미각, 또 스테이크를 써는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촉각까지도 자극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감각의 자극을 통한 단순한 시각적 자극 보다, 소비자들이 이 제품에 좀 더 매력을 느끼게 할 것이다.
그리고 아웃백은 광고에서 아웃백의 변화를 확실하게 전달하려한다. 6가지 변화를 찾으면 쿠폰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숨은 그림 찾기를 하듯이 소비자들의 집중과, 관심과, 참여율을 높이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4. 아웃백 SWOT분석
(1) Strength
- 다수의 매장 보유
- 고급, 편안한, 여유로운 브랜드 이미지.
- 런치세트.
- 국내 정서에 맞는 원재료와 서비스(김치제공 등).
- 매장 위생관리 아웃소싱.
(2) Weakness
- 계약직종업원(매장근무인원)의 부족(커피전문점 선호추세).
- 점점 다양해지는 고객욕구
- 할인헤택이 없는 경우 고객들의 불만, 상실감.
(3) Opportunity
- 정부의 외식산업 지원의도.
- 외식업의 프리미엄화 확산.
- 신용카드, 통신사 멤버쉽카드 등 다양한 제휴관계.
- 주 5일 근무제로 인한 여가시간과 모임 증가.
- SNS를 통한 이벤트홍보 가능.
(4) Threat
- 경기 침체.
- 소비자들이 고품질, 저가격의 서비스를 요구.
- 식재료 공급난
5. 결론
아웃백은 풍부한 호주의 대자연을 떠오르게 하는 인테리어 컨셉을 적용함으로써 호주를 동경하는 고객들에게 매장분위기로 유형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Call-ahead service를 통하여 손님에게 약속된 시간에 맞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24시간 내 응답서비스를 통하여 대응성까지 확보하였다. 또한 지루한 웨이팅 시간을 페이저 서비스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여 고객들의 소중한 시간을 배려함으로써 공감성 역시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스탠다드를 만들어 계량화 시키기 어려운 서비스분야를 계량화 시킴으로써(ex. 인사는 고객 입점 후 15초 이내에 해야한다.) 모든 고객이 공평하게 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확신성까지 확보함으로써 외식업계의 서비스 성공의 좋은 예로 자리매김하였다.
추천자료
OUTBACK STEAKHOUSE 경영분석
패밀리 레스토랑의 대표주자 “베니건스” 완벽 분석
패밀리 레스토랑 VIPS의 마케팅 성공 전략 분석
아웃백 스테이크의 마케팅전략과 핵심 성공요인 분석
[마케팅][마케팅사례]국제마케팅, 투자유치마케팅, 네트워크마케팅, 컬러마케팅 고찰과 CGV, ...
아웃백의 성공 마케팅 전략 분석
식음료 경영관리 성공 사례 VIPS
[동양제과][풀무원][삼양][빙그레][네슬레][코카콜라]식품기업 동양제과, 식품기업 풀무원, ...
현대카드 성공비결과 SWOT분석및 현대카드 경영전략,마케팅전략 분석과 현대카드 미래전략제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