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작가분석
2. 작품내용
1) 배경
2) 등장인물
3) 줄거리
3. 인물분석
1) 아만다 윙필드 인물분석
2) 로라 윙필드 인물분석
4. 작품분석
Ⅲ. 결론 : 감상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작가분석
2. 작품내용
1) 배경
2) 등장인물
3) 줄거리
3. 인물분석
1) 아만다 윙필드 인물분석
2) 로라 윙필드 인물분석
4. 작품분석
Ⅲ. 결론 :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론 : 감상
이 작품은 등장인물의 내면적인 심리 묘사가 중심을 이룬다. 여주인공 로라의 병적일 정도의 자기 집착과 현실적인 어머니와의 갈등은 곧 이상과 현실의 갈등이기도 하다. 이상과 환상의 세계 속에 살고 있는 로라. 현실적인 세계에 집착하는 어머니 사이의 갈등은 때로는 잔잔하게 묘사되고 있다. 짐은 로라와 춤을 추다가 실수로 유리 유니콘을 쳐서 뿔을 부러뜨렸다. 짐이 무척 미안해하자 로라는 유니콘이 수술을 받아 보통 말처럼 됐다고 재치 있게 대답한다. 그때 그녀는 자신도 정신적 수술을 받고 짐과 함께 세상으로 나갈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짐이 이미 약혼했음을 알고는 뿔이 떨어져 나간 유니콘을 작별 선물로 준다. 이렇게 보통 말이 된 유니콘은 짐과 함께 떠났고 로라는 유니콘으로 남는다. 모처럼 마음을 열었다가 죽임을 당한 유니콘으로 말이다. 유리동물원이 의미하는 게 로라 뿐만 아니라 윙필드 가족 또한 의미하는 것 같다. 깨져버린 일각수가 로라의 마음과 톰이 집을 나가며 가정이 깨져버린 것도 의미하는 게 아닐지 생각이 들었다. 참 현실적인 작품인 것 같다. 테네시 윌리엄스의 자전적 작품이라 그런지 더더욱 인물들이 현실적으로 느껴졌다. 아만다도 톰을 사랑하지만 가정을 지키기 위해 톰이 창고를 싫어하는걸 알면서도 보낼 수밖에 없었고 톰도 가정을 지키기 위해 일을 했지만 결국 터질 수밖에 없었다. 로라 또한 너무나 낮아진 자존감 때문에 사람들 앞에 설수가 없고 자기 세계 속에 갇히고, 짐도 로라에게 희망고문을 한 셈이었지만 사랑하는 여인이 있기에 그 사람과의 연을 지켰다고 생각한다. 모두 다 그렇게 된 이유가 있었고 미워할 수 없었다. 아만다와 톰이 서로 풀려고 시작한 대화가 결국 또 마지막엔 다툼으로 끝나는 모습들을 보면서 우리 엄마랑 동생이 떠올랐고 로라를 보면서 예전의 나의 모습이 떠올랐다. 가족들이 원하고 바라는 게 무엇인지 나또한 서로 이해하고 헤아려볼 수 있도록 정말 좋아졌지만 더욱 자신을 사랑하고 스스로에게 자신감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느꼈다. 톰의 가족이 행복하지 못한 것을 사회 탓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대공황 시대가 아니었더라도 또 자본주의 산업사회가 아니었더라도 이 가족의 몽상가적 꿈을 사회가 일일이 해결해 줄 수는 없을 것이다. 우리 사회에도 수많은 톰과 로라가 있기에 유리 동물원 이 먼 이야기로만은 들리지 않는다.
<참고문헌>
테네시 윌리엄스(2010) 유리 동물원, 범우
이 작품은 등장인물의 내면적인 심리 묘사가 중심을 이룬다. 여주인공 로라의 병적일 정도의 자기 집착과 현실적인 어머니와의 갈등은 곧 이상과 현실의 갈등이기도 하다. 이상과 환상의 세계 속에 살고 있는 로라. 현실적인 세계에 집착하는 어머니 사이의 갈등은 때로는 잔잔하게 묘사되고 있다. 짐은 로라와 춤을 추다가 실수로 유리 유니콘을 쳐서 뿔을 부러뜨렸다. 짐이 무척 미안해하자 로라는 유니콘이 수술을 받아 보통 말처럼 됐다고 재치 있게 대답한다. 그때 그녀는 자신도 정신적 수술을 받고 짐과 함께 세상으로 나갈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짐이 이미 약혼했음을 알고는 뿔이 떨어져 나간 유니콘을 작별 선물로 준다. 이렇게 보통 말이 된 유니콘은 짐과 함께 떠났고 로라는 유니콘으로 남는다. 모처럼 마음을 열었다가 죽임을 당한 유니콘으로 말이다. 유리동물원이 의미하는 게 로라 뿐만 아니라 윙필드 가족 또한 의미하는 것 같다. 깨져버린 일각수가 로라의 마음과 톰이 집을 나가며 가정이 깨져버린 것도 의미하는 게 아닐지 생각이 들었다. 참 현실적인 작품인 것 같다. 테네시 윌리엄스의 자전적 작품이라 그런지 더더욱 인물들이 현실적으로 느껴졌다. 아만다도 톰을 사랑하지만 가정을 지키기 위해 톰이 창고를 싫어하는걸 알면서도 보낼 수밖에 없었고 톰도 가정을 지키기 위해 일을 했지만 결국 터질 수밖에 없었다. 로라 또한 너무나 낮아진 자존감 때문에 사람들 앞에 설수가 없고 자기 세계 속에 갇히고, 짐도 로라에게 희망고문을 한 셈이었지만 사랑하는 여인이 있기에 그 사람과의 연을 지켰다고 생각한다. 모두 다 그렇게 된 이유가 있었고 미워할 수 없었다. 아만다와 톰이 서로 풀려고 시작한 대화가 결국 또 마지막엔 다툼으로 끝나는 모습들을 보면서 우리 엄마랑 동생이 떠올랐고 로라를 보면서 예전의 나의 모습이 떠올랐다. 가족들이 원하고 바라는 게 무엇인지 나또한 서로 이해하고 헤아려볼 수 있도록 정말 좋아졌지만 더욱 자신을 사랑하고 스스로에게 자신감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느꼈다. 톰의 가족이 행복하지 못한 것을 사회 탓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대공황 시대가 아니었더라도 또 자본주의 산업사회가 아니었더라도 이 가족의 몽상가적 꿈을 사회가 일일이 해결해 줄 수는 없을 것이다. 우리 사회에도 수많은 톰과 로라가 있기에 유리 동물원 이 먼 이야기로만은 들리지 않는다.
<참고문헌>
테네시 윌리엄스(2010) 유리 동물원, 범우
키워드
추천자료
테네시 윌리엄즈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안의 상징; 색채, 소리, 명칭들을 통하여
테네시 윌리엄즈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영미희곡] 욕망이란 이름의 전차에 대한 심층 고찰
[영미희곡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분석 레포트] Tennessee Williams와 “A Streetcar Named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피피티
유리동물원
2020년 1학기 여성의삶과문화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욕망이라는 이름의 열차)
[여성의삶과문화 공통] 테네시 윌리엄스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열차』(1947), 『유리동물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