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의 정의 및 문헌고찰
2. 분류 및 병태생리
3. 임상 증상
4. 질병의 진단
5. 질병의 위험요인
6. 질병의 치료
7. 간호 중재
2. 분류 및 병태생리
3. 임상 증상
4. 질병의 진단
5. 질병의 위험요인
6. 질병의 치료
7. 간호 중재
본문내용
po
식후 30분
진해거담제
Mncolytics
구역, 위부 불편감,
두통, 과민증, 혈담
과민증
Peniramin
0.5 TAB 4회 po
항히스타민제
Antihistamine
agent
Urinary retention,
diplopia, polyuria,
drowsiness
Narrow angle
glancoma,
stenosing peptic
ulcer, BPH, acute
Bioflor
1 PAK 4회(powder) po
정장제
Atock
0.5 TAB 4회 po
진해거담제
두통, 진정, 신경과
민, 졸음, 심계항진,
비충혈, 식욕부진,
구갈, 구내염
EP, Isoproterenol
등 catecholamine
류 병용,
Non-selective β
Blocker 와의 병용
cough syr-s
5ml 4회 sig po
식후 30분
진해거담제
Ampibactam
1000mg 3회 sig IV
q8hr
기타의 항생물질제
제(복합 항생물질제
제 포함)
Penicillin계 항생제
주사부위 통증, 정
맥주사 후 정맥염
증, 위장장애, 발진,
빈혈, 혈소판 및 백
혈구 감소증
본약물과
gentamicin을 정주
할 때 같은 수액
세트내 혼합하거나
동시에 투여하지
말 것.
1:4 sol
500ml 3회 sig IV
q8hr 15gtt/m
기타의 혈액 및 체
액용약, Penicillin
주사부위 통증, 정
맥주사 후 정맥염
증, 위장장애, 발진,
빈혈, 혈소판 및 백
혈구 감소증
본약물과
gentamicin을 정주
할 때 같은 수액
세트내 혼합하거나
동시에 투여하지
말 것.
Brufen Syr
5ml 회(PRN) sig po
식후 30분
해열, 진통, 소염제
4) Nebulizer
① 사용목적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약물과 분비물을 묽게 해주는 생리식염수(0.45%)를 안개처럼 분무해 줌으로써 호흡이 훨씬 쉬워지고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생리식염수만을 사용하였다)
② 사용방법
- 약과 생리식염수(0.45%)를 2시간 간격으로 번갈아가며 흡입 한다.
생리식염수(0.45%)만 사용할 경우에는 2~4시간 간격으로 흡 입한다.
1회 흡입시간 : 8분, 1회 흡입량 : 4cc 가량
- 흡입기를 똑바로 세우고 심호흡을 하여 입으로 들이마신다.
코로 흡입하는 경우 효과가 떨어진다.
- 흡입 후 손을 컵모양으로 오무려 등이나 가슴을 두드려 준다.
③ 세척
한번 사용한 후에는 약이 닿는 부분을 따뜻한 물로 씻어 자연 건조 시킨다.
④ 보관
Nebulizer(분무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안정된 위치에 놓아 둔다.
3. 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S: \"엄마- 열 좀 재줘봐
열나는 거 같아요“
O: fever 38.9\'C check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 미온수로 적신 거즈등으로
사지를 닦도록 교육하였다.
· 수분 섭취를 권장하였다.
·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였다.
(Brufen syr)
· 30분 간격으로 BT를
재측정 하였다.
BT :1시간후 37.8`C로
check되며 정상
체온을 유지
하였다.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2. 주사부위 관리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S: \"주사부위 좀
봐주세요~“
O: 주사부위 발적 됨.
감염되지 않는다.
· 주사 부위의 정맥염 증상을
관찰하였다.
· IV 처치 시 마다 철저한
hand washing을 하였다.
· IV Line을 72시간 마다 교환
해 주었다.
감염의 위험성이 감소되었고 결과적으로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4. 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S: \"이러다 떨어지면 어
쩌려고 가만히 있어“
O: 침대위에서 장난침
낙상하지 않는다.
· 환자와 보호자에게 안전교육
을 시행하였다.
· rounding 시 수시로 확인하며
side rail을 올려주었다.
· 낙상 방지를 위해 낙상방지대 를 설치해주었다.
낙상 위험요소가 제거되었으며,
낙상 하지
않았다.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 질병과 관련된
부적절한 호흡양상
S: \"계속 기침하면서
힘들어해요“
O: cough, sputum 多
호흡이 용이하다.
· 수분 섭취를 권장하였다.
· Nebulizer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다.
“호흡이 편해졌다”
고 표현하였다.
III. 결론
1)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상 조경숙, 김희경 외 3명 저 | 현문사 | 2018.01.30. 호흡기계
- 아동간호학 각론 Donna L.Wong 저 | 현문사 | 2018.03.10
- 아동간호학 총론 Marilyn J. Hockenberry 저 | 김영혜 역 | 현문사 | 2018.03.10
- 아동의 간호 진단과 계획 (서울 대학교 출판부)
- www.nurscap.net
- 상계백병원 chart, EMR
- www.druginfo.co.kr 드럭인포(약물)
2) 실습소감
이번 학기 마지막실습은 아동간호학 실습인 소아과 병동이여서 실습전 기대도 많이 하고 걱정도 많이 했었는데, 보호자들도 1주 동안 따뜻하게 대해주시고 있고 많은 것들을 배워 갈 수 있게 해주신 좋은 선생님들이 계셔서 뜻 깊은 실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아과 실습에서 가장 어려웠던 것은 예상했던 대로 나이가 어린 대상자와의 rapport형성이었습니다. 대상자가 어려 낯을 가리기도 하고, 보호자분들께서도 이것저것 물어보시고 부탁하시고 하셔서 처음엔 어떻게 해야 하나 했는데 2주 동안 너무 재미있게 실습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살면서 처음으로 어린 환아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볼 수 있는 기회였으며, 성인 병동과는 달리 간병인 보다는 항상 부모나 가족들이 보호자의 역할로 곁에 있다는 것이 환아들에게 얼마나 큰 심리적인 도움이 된다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성인part뿐만 아니라 아동part에 대한 질병이나 약물, 치료과정 등을 좀 더 자세히 학습하여 임상에 나가서 환아를 care하게 됐을 때 능숙하게 간호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식후 30분
진해거담제
Mncolytics
구역, 위부 불편감,
두통, 과민증, 혈담
과민증
Peniramin
0.5 TAB 4회 po
항히스타민제
Antihistamine
agent
Urinary retention,
diplopia, polyuria,
drowsiness
Narrow angle
glancoma,
stenosing peptic
ulcer, BPH, acute
Bioflor
1 PAK 4회(powder) po
정장제
Atock
0.5 TAB 4회 po
진해거담제
두통, 진정, 신경과
민, 졸음, 심계항진,
비충혈, 식욕부진,
구갈, 구내염
EP, Isoproterenol
등 catecholamine
류 병용,
Non-selective β
Blocker 와의 병용
cough syr-s
5ml 4회 sig po
식후 30분
진해거담제
Ampibactam
1000mg 3회 sig IV
q8hr
기타의 항생물질제
제(복합 항생물질제
제 포함)
Penicillin계 항생제
주사부위 통증, 정
맥주사 후 정맥염
증, 위장장애, 발진,
빈혈, 혈소판 및 백
혈구 감소증
본약물과
gentamicin을 정주
할 때 같은 수액
세트내 혼합하거나
동시에 투여하지
말 것.
1:4 sol
500ml 3회 sig IV
q8hr 15gtt/m
기타의 혈액 및 체
액용약, Penicillin
주사부위 통증, 정
맥주사 후 정맥염
증, 위장장애, 발진,
빈혈, 혈소판 및 백
혈구 감소증
본약물과
gentamicin을 정주
할 때 같은 수액
세트내 혼합하거나
동시에 투여하지
말 것.
Brufen Syr
5ml 회(PRN) sig po
식후 30분
해열, 진통, 소염제
4) Nebulizer
① 사용목적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약물과 분비물을 묽게 해주는 생리식염수(0.45%)를 안개처럼 분무해 줌으로써 호흡이 훨씬 쉬워지고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생리식염수만을 사용하였다)
② 사용방법
- 약과 생리식염수(0.45%)를 2시간 간격으로 번갈아가며 흡입 한다.
생리식염수(0.45%)만 사용할 경우에는 2~4시간 간격으로 흡 입한다.
1회 흡입시간 : 8분, 1회 흡입량 : 4cc 가량
- 흡입기를 똑바로 세우고 심호흡을 하여 입으로 들이마신다.
코로 흡입하는 경우 효과가 떨어진다.
- 흡입 후 손을 컵모양으로 오무려 등이나 가슴을 두드려 준다.
③ 세척
한번 사용한 후에는 약이 닿는 부분을 따뜻한 물로 씻어 자연 건조 시킨다.
④ 보관
Nebulizer(분무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안정된 위치에 놓아 둔다.
3. 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S: \"엄마- 열 좀 재줘봐
열나는 거 같아요“
O: fever 38.9\'C check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 미온수로 적신 거즈등으로
사지를 닦도록 교육하였다.
· 수분 섭취를 권장하였다.
·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였다.
(Brufen syr)
· 30분 간격으로 BT를
재측정 하였다.
BT :1시간후 37.8`C로
check되며 정상
체온을 유지
하였다.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2. 주사부위 관리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S: \"주사부위 좀
봐주세요~“
O: 주사부위 발적 됨.
감염되지 않는다.
· 주사 부위의 정맥염 증상을
관찰하였다.
· IV 처치 시 마다 철저한
hand washing을 하였다.
· IV Line을 72시간 마다 교환
해 주었다.
감염의 위험성이 감소되었고 결과적으로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4. 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S: \"이러다 떨어지면 어
쩌려고 가만히 있어“
O: 침대위에서 장난침
낙상하지 않는다.
· 환자와 보호자에게 안전교육
을 시행하였다.
· rounding 시 수시로 확인하며
side rail을 올려주었다.
· 낙상 방지를 위해 낙상방지대 를 설치해주었다.
낙상 위험요소가 제거되었으며,
낙상 하지
않았다.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 질병과 관련된
부적절한 호흡양상
S: \"계속 기침하면서
힘들어해요“
O: cough, sputum 多
호흡이 용이하다.
· 수분 섭취를 권장하였다.
· Nebulizer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다.
“호흡이 편해졌다”
고 표현하였다.
III. 결론
1)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상 조경숙, 김희경 외 3명 저 | 현문사 | 2018.01.30. 호흡기계
- 아동간호학 각론 Donna L.Wong 저 | 현문사 | 2018.03.10
- 아동간호학 총론 Marilyn J. Hockenberry 저 | 김영혜 역 | 현문사 | 2018.03.10
- 아동의 간호 진단과 계획 (서울 대학교 출판부)
- www.nurscap.net
- 상계백병원 chart, EMR
- www.druginfo.co.kr 드럭인포(약물)
2) 실습소감
이번 학기 마지막실습은 아동간호학 실습인 소아과 병동이여서 실습전 기대도 많이 하고 걱정도 많이 했었는데, 보호자들도 1주 동안 따뜻하게 대해주시고 있고 많은 것들을 배워 갈 수 있게 해주신 좋은 선생님들이 계셔서 뜻 깊은 실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아과 실습에서 가장 어려웠던 것은 예상했던 대로 나이가 어린 대상자와의 rapport형성이었습니다. 대상자가 어려 낯을 가리기도 하고, 보호자분들께서도 이것저것 물어보시고 부탁하시고 하셔서 처음엔 어떻게 해야 하나 했는데 2주 동안 너무 재미있게 실습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살면서 처음으로 어린 환아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볼 수 있는 기회였으며, 성인 병동과는 달리 간병인 보다는 항상 부모나 가족들이 보호자의 역할로 곁에 있다는 것이 환아들에게 얼마나 큰 심리적인 도움이 된다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성인part뿐만 아니라 아동part에 대한 질병이나 약물, 치료과정 등을 좀 더 자세히 학습하여 임상에 나가서 환아를 care하게 됐을 때 능숙하게 간호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추천자료
폐렴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Purpura][자반증]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Pneumonia][폐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폐렴(Pneumoni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dy - 폐렴(pneumonia)
[간호과정] 폐렴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 폐렴케이스스터디 폐렴사례관리 폐렴간호과정...
[성인간호학 ] Case Study - Acute Bronchitis Pneumonia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