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 한국진출 마케팅전략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M 한국진출 마케팅전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H&M 브랜드특성

2. 국내 SPA 브랜드 시장상황분석

3. 한국시장 소비자분석

4. 한국내 H&M 매장분석

5. H&M 한국시장 진출 마케팅전략 분석

6. H&M의 한국 시장에서 새로운 전략제시

본문내용

진출 마케팅전략 분석
H&M은 한국 시장에서 매장을 열면서 대대적인 오픈 기념 파티를 열었다. 오픈 당일 첫 입장 고객과 2010번째로 입장한 고객에게는 100만원 상당의 기프트 카드를, 100번째부터 2000번째 고객 중 100단위 고객에게는10만원 상당의 기프트 카드를 제공하였다. 또한, H&M 특유의 콜라보레이션 프로모션을 이용하여 한정판으로 제작된 정판으로 제작된 오픈 기념 루이자 버핏(Louisa Burffit)의 일러스트 그래픽 티셔츠를 선착순 입장 고객 500명에게 증정하였다
그리고 렴한 가격과 다양한 제품군이라는 강점, 그리고 국내 시장의 성장세가 기대된다는 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저가격을 어필하면서 진출 초기에 있어 수도권 거점 중심으로 매장을 확대하는 전략을 펴고 있다.
또한 강점이 될 수도 있고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는 ‘가격’ 과 위협요인인 ‘상대적으로 부족한 인지도’를 보완하고 다양한 업체들과 협력을 한 경험을 결합하는 전략을 활용하였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마르니’ 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저 가격 이미지를 탈피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포지셔닝하고자 하였고, 기아 자동차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 확보에 나서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거기에 더해 사회적 공헌활동에 대한 홍보로 인지도 상승과 이미지 구축의 효과를 노리는 전략을 취하였다. ‘마르니’ 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출시된 제품은 2시간 30분만에 다 팔리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6. H&M의 한국 시장에서 새로운 전략제시
H&M 프로모션 중 가장 큰 점수를 얻고 있는 콜라보레이션은 현재 H&M의 이미지를 만드는 데에 큰 역할을 해왔지만 항상 성공적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팝스타와의 첫 콜라보레이션이었던 2007년 3월 마돈나와의 여성복 컬렉션은 그녀의 지나치게 급진적인 스타일로 인해 첫 실패를 맛보게 된 작품이다. 이처럼 고객이 그 디자이너나 스타의 팬이 아닌 이상 평범한 대부분의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기에는 부족하다는 맹점이 있다.
특히 한국에 널리 알려져 있지 않은 외국 디자이너와의 콜라보레이션은 마니아 층(주로 2-30대 젊은 여성들)에 의한 단기적 판매만 촉진할 뿐, 그 이상의 매출 증진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위의 TV광고를 통한 인지도 확보 후, 비교적 한국에서 인지도가 높은 한국 디자이너와의 콜라보레이션을 꾀한다면 시너지 효과를 내 단기적이지 않고 지속적인 소비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4.08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8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