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 한국진출 마케팅전략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맥도날드 한국진출 마케팅전략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맥도날의 한국시장 진출

2. 맥도날드 한국시장 초기 진입전략

3. 제품표준화 전략

4. 한국시장에서의 마케팅전략

5. 한국시장에서의 광고전략

본문내용

인간적인 느낌을 전달한다면 소비자를 맥도날드로 이끌기 위한 목적 달성을 위한 광고는 좀 더 재미있고 독특한 맥도날드만의 톤을 유지하고 있다. 대개는 유머광고가 주를 이루지만 맥도날드의 유머광고는 다른 유머광고와는 분명히 다른 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맥도날드 광고의 재미는 쉽게 볼 수 있는 신세대 유머보다는 누가 봐도 공감할 수 있는, 입가에 미소를 머금을 수 있는 광고이다. 또 다른 맥도날드 광고의 특징은 모델전략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광고들이 빅모델을 기용, 모델 파워에 의존하는 광고를 전개하는 반면 맥도날드는 무명이더라도 맥도날드 이미지에 맞고 스토리보드 소화에 적합한 모델을 선택하고 있다. 모델의 영향력보다 스토리와 제작에 더 중점을 두는 광고모델 선정은 맥도날드만의 독특한 색깔을 유지하는 비결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맥도날드 광고는 빅모델보다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리의 이웃과 같은 인물이 등장, 우리주변의 이야기 같은 느낌을 전달해 친근한 이웃으로 맥도날드를 만들어가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그리고 맥도날드는 시장 진입 초기 단계부터 지금까지 한국 내에서 좋은 이웃으로 자리잡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가장 대표적인 마케팅 활동으로는 불고기버거(1997), 특불버거(1998), 새우버거(2001) 등 우리 입맛에 맞는 다양한 햄버거의 출시를 꼽을 수 있다.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버거 출시 때마다 펼친 광고 캠페인 역시 우리 소비자들의 정서와 문화를 담기 위해 노력했다.
후렌치후라이 광고(2000)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히 아는 판소리 심청전을
이용, 누가 봐도 공감할 수 있게 만들었고, 판소리를 배경음악으로 세계적제품과의 완벽한 조화를 이루어내 맥도날드 해외 시장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올해초 방영된 불고기버거 행사광고에도 우리나라 사람들 누구에게나 익숙한 전래동화를 이용해 한국 기업에서 만든 광고보다 더 한국적인 광고를 보여 주어 시장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어떤 한 브랜드의 광고가 소비자들 사이에 회자되고 알려지기까지는 끊임없는 노출이 필요하다. 끊임없는 노출을 위해서는 그만큼의 투자가 필요하다. IMF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기업이 제일 먼저 마케팅 예산을 줄일 때 맥도날드는 위기를 기회로 삼아 과감한 투자를 단행했으며 이것이 한국 내에서 맥도날드 브랜드를 현재 위치까지 끌어올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바로 이런 것이 세계적인 브랜드 맥도날드의 힘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시장 경험과 마케팅경험을 통해서 맥도날드가 전 세계적으로 추구하는 일관된 전략은 맥도날드가 소비자들에게 의미 있는 하나의 브랜드로 다가가기 위해 생활 그 자체로 포지셔닝하는 것이다.
맥도날드의 목표는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이 되는 것이며 최고가 된다는 의미는 뛰어난 품질, 서비스, 청결 그리고 가치를 제공해서 각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을 웃는얼굴로 만드는 것이다. 동시에 지속적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 맥도날드를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뚜렷한 의미로 새기는 것이다.
  • 가격3,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4.13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8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