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경막외혈종, 급성 경막하혈종, 양이 많은 뇌실질내 출혈 시 시행.
▶ 감압성 두개골 절제술 (decompressive craniectomy)
- 두개골을 부분 절제하는 수술.
- 주로 경막외 출혈 시 시행.
▶ 뇌동맥류 제거술
- 목적 : 뇌동맥류를 제거하여 차후 재출혈의 가능성을 방지.
- 두개골을 절개하고 뇌동맥류를 직접 찾아내어 뇌동맥류클립 이라는 기구를 이용하여 뇌동맥류의 목(neck)을 결찰하는 방법.
▶ 혈관내 치료 (vascular intervention)
- 혈관 조영술을 할 때처럼 카테터를 동맥 속에 넣고 그 끝으로 금속 코일이나 기타 여러 특수 물질을 넣어서 동맥류를 막아주는 방법.
- 장점: 성공적으로 잘 되면 머리를 열고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됨.
▶ 뇌실외 배액술 (extraventricular drainage)
- 뇌실내출혈이나 혈압으로 인한 뇌출혈시 혈액이 뇌실까지 확산되어 뇌실에서 뇌척수액 흐름이 막힌(급성 수두증) 경우 뇌의 압력이 갑자기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인 혈액을 뇌 밖으로 빼주는 수술.
- 감염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대개는 단기간에 걸쳐 일시적으로 뇌압을 조절하고 뇌실 내 고인 혈액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
▶ 천공배액술 (Burrhole Drainge)
- 수술부위의 두피를 소량 절개한 후 머리뼈에 오십원짜리 동전만하게 구멍을 뚫고 뇌막을 일부 절개한 뒤 그 구멍을 통해 가느다란 관을 집어넣어 고인 혈액이 이 관을 타고 지속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수술.
- 두개골과 뇌표면 사이의 공간에 혈액이 고인경우(경막하출혈)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행.
▶ 뇌실-복강 단락술 (Ventriculo-Pritoneal shunt)
- 뇌실로부터 생성된 뇌척수액이 빠져나가는 길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증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를 뇌실과 복강간에 도관을 통해 통로를 만들어줌.
4) 식이요법
- 염분섭취를 제한한다.
- 콜레스테롤이 많은 달걀과 지방식을 피한다.
- 설탕이 함유된 음료수, 커피에 넣는 설탕 사용은 되도록 삼간다.
- 소식을 해야 한다.
- 육류로부터 얻는 단백질의 섭취를 금하고 단백질은 콩제품으로 섭취한다.
- 식물성 기름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으므로 식물성 기름을 하루 1숟갈씩 섭취 한다.
- 오래되지 않은 씨앗, 견과류를 많이 먹는다.
- 육류, 소금, 설탕, 흰 밀가루, 정제가공식품 등은 피한다.
- 마비된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콘드로이틴 성분이 함유된 수육부위를 섭취한다.
- 동맥경화 효과적으로 예방하려면 타우린을 다량 함유한 어류섭취를 늘리도록 한다.
5) 재활치료
- 뇌졸중이 발생한 환자는 여러 가지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통하여 잃어버린 능력을 회복, 보완하고 보다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는 운동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정신장애, 치매 등의 후유증을 완화하고 가능한 빨리 정상으로 회복하기 위해 가능한 빨리 시작해야 한다. 재활치료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다 함께 실시하는 다목적 팀 접근법으로 가능하다.
(1) 온열치료
▶ 표층열치료(Superficial Heat Therapy) : 피부와 가까운 쪽의 조직에서 주로 열을 내는 치료
- 온습포, 적외선 램프가 사용된다. 온습포는 70-80도의 온도를 유지하며, 여러겹의 수건으로 감싼 다음에 30분동안 열을 가하는 방식이다. 화상 예방을 위해서는 온습포는 깔고 눕지 않아야한다. 적외선은 피부에서 30-60cm 거리를 두고 열을 가하며 2cm 깊이에서 1.3도의 조직 온도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whirlpool, hbubard tank를 이용한 치료법도 있다.
▶ 심층열치료(Deep Heat Therapy) : 깊숙한 부위의 관절막, 인대, 힘줄, 근육 등에서 열을 내는 치료
- 초음파, 초단파, 극초단파를 사용한다. 이 중 초음파가 널리쓰인다. 깊이 위치하는 근육의 이완을 위해서는 피부에서 5-8cm의 투과가 가능한 초음파가 사용된다. 금기는 금속 내 고정물이 있을 때 초단파, 극초단파는 사용을 하면 안되고 척추 후궁 절제술을 받은 경우 척수에 열이 가해 질 수 있으므로 금한다.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에 악성 신생물이 있으면 종양 증식이 되므로 금한다.
<효과> ⇒ 요통, 경부통, 근막통증 등 각종 통증, 근육 경직, 관절 구축 완화
(2) 전기치료
▶ 간섭파치료(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ICT)
: 다른 두 주파수의 전류를 생체 내에서 만나도록 하여 열을 내는 방식
▶ 기능적 전기 자극 치료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 마비된 근육에 적절한 강도의 전기 자극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치료 행위. 특정 근육군을 활성화시키거나 기능적 활동(움직임)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경근 전기자극으로 어깨 아탈구(subluxation) 및 통증 감소 그리고 움켜잡았다가 놓기 활동(grasp-and-release activities) 등에 효과적.
<효과> ⇒ 통증 완화, 근육 강화
(3) 중추신경계 발달 재활 치료
▶ 신경발달학적 치료(Neuro-Development Treatment, NDT)
: 정위반응과 평형반응을 이용한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운동조절을 촉진시키고 비정상적인 근 긴장도의 분포를 억제시키는 치료.
▶ 고유수용 신경근촉진법(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 환자에게 필요한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특정한 요구를 신체에 가하는 것으로 신경근은 신경과 근육에 관한 것을 의미하고 고유수용성은 인체의 비교적 심부에 있는 고유수용기들을 말하며 촉진은 신경조직 내의 활동을 원활하게 한다는 뜻.
▶ 보이타 치료법(Vojta Therapy)
: 사지나 몸통의 일정한 감각 유발점을 자극하여 기거나 뒤집는 등의 반사 동작을 유도해내는 물리 치료법.
<효과> ⇒ 정상적 근긴장과 자세, 움직임을 반복하도록 유도. 자세나 움직임 교정, 정상 운동 형태를 촉진.
└▶ NDT └▶PNF └▶PNF 운동종류 └▶Voita
▶ 감압성 두개골 절제술 (decompressive craniectomy)
- 두개골을 부분 절제하는 수술.
- 주로 경막외 출혈 시 시행.
▶ 뇌동맥류 제거술
- 목적 : 뇌동맥류를 제거하여 차후 재출혈의 가능성을 방지.
- 두개골을 절개하고 뇌동맥류를 직접 찾아내어 뇌동맥류클립 이라는 기구를 이용하여 뇌동맥류의 목(neck)을 결찰하는 방법.
▶ 혈관내 치료 (vascular intervention)
- 혈관 조영술을 할 때처럼 카테터를 동맥 속에 넣고 그 끝으로 금속 코일이나 기타 여러 특수 물질을 넣어서 동맥류를 막아주는 방법.
- 장점: 성공적으로 잘 되면 머리를 열고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됨.
▶ 뇌실외 배액술 (extraventricular drainage)
- 뇌실내출혈이나 혈압으로 인한 뇌출혈시 혈액이 뇌실까지 확산되어 뇌실에서 뇌척수액 흐름이 막힌(급성 수두증) 경우 뇌의 압력이 갑자기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인 혈액을 뇌 밖으로 빼주는 수술.
- 감염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대개는 단기간에 걸쳐 일시적으로 뇌압을 조절하고 뇌실 내 고인 혈액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
▶ 천공배액술 (Burrhole Drainge)
- 수술부위의 두피를 소량 절개한 후 머리뼈에 오십원짜리 동전만하게 구멍을 뚫고 뇌막을 일부 절개한 뒤 그 구멍을 통해 가느다란 관을 집어넣어 고인 혈액이 이 관을 타고 지속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수술.
- 두개골과 뇌표면 사이의 공간에 혈액이 고인경우(경막하출혈)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행.
▶ 뇌실-복강 단락술 (Ventriculo-Pritoneal shunt)
- 뇌실로부터 생성된 뇌척수액이 빠져나가는 길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증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를 뇌실과 복강간에 도관을 통해 통로를 만들어줌.
4) 식이요법
- 염분섭취를 제한한다.
- 콜레스테롤이 많은 달걀과 지방식을 피한다.
- 설탕이 함유된 음료수, 커피에 넣는 설탕 사용은 되도록 삼간다.
- 소식을 해야 한다.
- 육류로부터 얻는 단백질의 섭취를 금하고 단백질은 콩제품으로 섭취한다.
- 식물성 기름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으므로 식물성 기름을 하루 1숟갈씩 섭취 한다.
- 오래되지 않은 씨앗, 견과류를 많이 먹는다.
- 육류, 소금, 설탕, 흰 밀가루, 정제가공식품 등은 피한다.
- 마비된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콘드로이틴 성분이 함유된 수육부위를 섭취한다.
- 동맥경화 효과적으로 예방하려면 타우린을 다량 함유한 어류섭취를 늘리도록 한다.
5) 재활치료
- 뇌졸중이 발생한 환자는 여러 가지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통하여 잃어버린 능력을 회복, 보완하고 보다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는 운동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정신장애, 치매 등의 후유증을 완화하고 가능한 빨리 정상으로 회복하기 위해 가능한 빨리 시작해야 한다. 재활치료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다 함께 실시하는 다목적 팀 접근법으로 가능하다.
(1) 온열치료
▶ 표층열치료(Superficial Heat Therapy) : 피부와 가까운 쪽의 조직에서 주로 열을 내는 치료
- 온습포, 적외선 램프가 사용된다. 온습포는 70-80도의 온도를 유지하며, 여러겹의 수건으로 감싼 다음에 30분동안 열을 가하는 방식이다. 화상 예방을 위해서는 온습포는 깔고 눕지 않아야한다. 적외선은 피부에서 30-60cm 거리를 두고 열을 가하며 2cm 깊이에서 1.3도의 조직 온도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whirlpool, hbubard tank를 이용한 치료법도 있다.
▶ 심층열치료(Deep Heat Therapy) : 깊숙한 부위의 관절막, 인대, 힘줄, 근육 등에서 열을 내는 치료
- 초음파, 초단파, 극초단파를 사용한다. 이 중 초음파가 널리쓰인다. 깊이 위치하는 근육의 이완을 위해서는 피부에서 5-8cm의 투과가 가능한 초음파가 사용된다. 금기는 금속 내 고정물이 있을 때 초단파, 극초단파는 사용을 하면 안되고 척추 후궁 절제술을 받은 경우 척수에 열이 가해 질 수 있으므로 금한다.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에 악성 신생물이 있으면 종양 증식이 되므로 금한다.
<효과> ⇒ 요통, 경부통, 근막통증 등 각종 통증, 근육 경직, 관절 구축 완화
(2) 전기치료
▶ 간섭파치료(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ICT)
: 다른 두 주파수의 전류를 생체 내에서 만나도록 하여 열을 내는 방식
▶ 기능적 전기 자극 치료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 마비된 근육에 적절한 강도의 전기 자극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치료 행위. 특정 근육군을 활성화시키거나 기능적 활동(움직임)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경근 전기자극으로 어깨 아탈구(subluxation) 및 통증 감소 그리고 움켜잡았다가 놓기 활동(grasp-and-release activities) 등에 효과적.
<효과> ⇒ 통증 완화, 근육 강화
(3) 중추신경계 발달 재활 치료
▶ 신경발달학적 치료(Neuro-Development Treatment, NDT)
: 정위반응과 평형반응을 이용한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운동조절을 촉진시키고 비정상적인 근 긴장도의 분포를 억제시키는 치료.
▶ 고유수용 신경근촉진법(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 환자에게 필요한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특정한 요구를 신체에 가하는 것으로 신경근은 신경과 근육에 관한 것을 의미하고 고유수용성은 인체의 비교적 심부에 있는 고유수용기들을 말하며 촉진은 신경조직 내의 활동을 원활하게 한다는 뜻.
▶ 보이타 치료법(Vojta Therapy)
: 사지나 몸통의 일정한 감각 유발점을 자극하여 기거나 뒤집는 등의 반사 동작을 유도해내는 물리 치료법.
<효과> ⇒ 정상적 근긴장과 자세, 움직임을 반복하도록 유도. 자세나 움직임 교정, 정상 운동 형태를 촉진.
└▶ NDT └▶PNF └▶PNF 운동종류 └▶Voita
추천자료
뇌내 출혈(Intracerabral hemorrhage: ICH)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case study
뇌내출혈(ICH : Intra Cerebral Hemorrhage)환자 간호사례연구
[두개내 출혈] ICH (Intracranial hemorrhage)
ich, 뇌내출혈 케이스
ICH 관련 병태생리 및 간호과정
Intra Cranial Hemorrhage ICH 두개내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ICH(뇌내출혈) 케이스 문헌고찰간호과정(간호진단4개)
ICH 케이스 스터디 (Intracerebral hemorrage 케이스 스터디 ICH CASE STUDY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