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ARA 자라 SCM 도입 성공사례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ZARA 자라 SCM 도입 성공사례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ZARA 기업소개

2. 모기업 인디텍스 Inditex 소개

3. Zara의 공급관리(SCM) 성공요인 분석

4. Zara의 SCM 방향분석

5. Zara SCM 도입사례연구

본문내용

항공을 이용한다. 이러한 신속한 배송과정을 통해 평균적으로 주문 이틀 후에 각 매장에 제품이 도착한다.
현재 Zara의 상품 중 75%가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벨기에, 영국, 독일 일부 등지로 도로를 통해 36시간 내에 배송되며, 나머지 25%는 유럽 외부에 KLM 또는 DHL에 의해 48시간 내에 배송된다.
신속한 배송과 동시에 진열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제품을 옷걸이에 걸린 채로 배송하는 Packaging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각 상품을 접어 사이즈를 줄여 배송하는 방법보다 훨씬 더 많은 비용이 요구되지만 전체 리드타임을 단축시키기 위해 Zara가 기꺼이 감수하고 있는 부분이다.
- 재고관리
Zara는 약 25,000개의 재고품을 비축해두고 있으며, 각 제품 당 단 3개의 사이즈와 3개의 칼라만이 만들어진다. 최종 디자인-판매 사이클은 각 아이템 당 22-30일 정도 걸려 최종 디자인 제작에 하루, 제작에 3-8일, 선적에 하루, 판매에 총 17-20일을 할애하고 있다. Zara가 직접 생산한 제품과 외부 업체가 생산한 제품은 물류집결센터로 보내진다. 이를 통해 최적의 로케이션을 바탕으로 각 매장에 2주에 한 번씩 운송한다. 이와 같은 Zara만의 제품 공정은 패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여, 경쟁사의 디자인을 참고해 새로운 Zara 제품을 창조하여 중저가에 7일 만에 매장에 판매할 수 있는 것이었다. 재고로 남아 세일을 하기 보다는 미리 미리 재고량을 체크하고 이를 토대로 다시 새로운 제품에 응용하는 빠른 제품 주기와 한정된 수량으로 재고량을 거의 제로화하는 것이다.
즉, 재고를 최대한 줄여야 하는 압박과 물류창고의 과정을 없앴으며 특히 더욱 중요한 점은 Zara의 신제품은 초기 디자인부터 시작하여 매장의 진열대에 올라가기까지 4~5주, 기존 제품의 업데이트 버전은 2주밖에 소요되지 않는다. 이는 의류업계의 평균적 소요기간이 9개월인 것과 비추어 보면 매우 짧은 기간이다. Zara의 목표는 매년 마다 12-16개의 컬렉션들을 새로 만들어, 소비자들에게 자주 구매하고 매장을 방문할 때마다 새로운 제품을 찾게 하는 것이다. 트렌드에 실패한 아이템 때문에 생기는 손실은 적은데, 이는 실패작이 3주 이상 진열대에 올라와있을 수가 없기 때문이었다. 공급센터로 반송된 아이템은 다른 매장으로 옮겨지거나, 물류센터 인근의 소규모 점포로 옮겨져 팔린다. 그래야만 시즌 오프 세일 때 팔 물량에 재고가 또 남지 않기 때문이다.
- PDA
ZARA의 POS가 재고관리 및 본사와의 데이터 교류만을 위해 존재한다면, PDA는 주문 처리를 가능케 한다. 주문 및 유통센터로의 반환, 본사와 정보 공유에 사용되고 있다.
매니저들은 매일 밤 정보시스템에 전화모뎀으로 통해 연결되는 포켓용 컴퓨터(PDA)로 주문 관련 정보를 얻는다. 주문 전 24시간 안에 “신청서”라고 불리는 디지털 주문서가 본사로부터 전달된다. 이 신청서에는 상점에서 여전히 주문할 수 있는 보충 항목뿐 아니라 새롭게 주문이 가능한 항목의 사진과 기술서가 포함되어 있다.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4.15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9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