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 분단에 의한 사회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 역사적 접근의 중요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 분단에 의한 사회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 역사적 접근의 중요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기로 지니고 있었던 핵무기를 포기한다는 것은 굉장히 크다는 것이다. 어렸을 적 해외에서 공부를 한 김정은인 북한과 비슷한 체제를 유지하던 중국이 개방의 문을 열고 굉장히 발전해 가는 모습을 보고 지금 이 상황의 돌파구로 생각할 수 도 있다. 아직 까지 가야할 길은 멀지만 북한의 다음 행보가 궁금해진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산가족, 6.25 전쟁등 역사상의 아픔이 한순간에 일어난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갑자기 일어난 변화는 아니라는 것이다. 한반도를 보았을 때 그때 당시 위쪽 지역은 소련과 중국이 맞닿아 있었으며 그들은 그들의 사상과 경제 상황 그리고 정치 상황을 가까이서 지켜보고 있었다. 김일성 혼자 만의 힘으로 그 많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기존에 사회주의나 공산 체제를 지향했던 사람들이 그러한 일을 만들 정도로 많았다는 것이다. 역사는 한순간에 쉽게 변화 하지는 않는다. 한사람의 힘으로 쉽게 변화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북한은 현재 공산주의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조금씩 개방하려고 계획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누가 알 것인가? 앞으로 북한과 남한간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
Ⅲ. 결론
2020 대전환의 핵심현안 한반도 특강을 읽어 보았다. 북한 전문가 6인이 이번 북한과 관련하여 자신만의 담아 글을 적었다. 어떤 분은 현재 변화하고 있는 북한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 말하였고 어떤 분은 다양한 사진과 함께 북한에 살고 있는 시민들의 모습과 그들의 생활 변화를 알려주었다. 또한 작년 전 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던 비핵화와 그를 둘러싼 군사안보에 대한 쟁점을 말하였다. 그리고 비핵화가 이루어 졌을 때 중국과 일본 등 우리나라의 주변국과 아직까지 많은 영향을 미친 미국 과 같은 강대국의 대처는 어떻게 될까 하는 예상을 담아내고 있었다. 앞으로 한반도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는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한다. 그러기에 계속 전세계적으로 북한의 행동 하나하나를 주시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아무쪼록 사회문제인 이념 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문제 그리고 국가적인 안보문제, 경제 문제 등 좋은 흐름으로 지나가길 바란다.
Ⅳ참고도서
정세현, 이종석, 박영자, 김동엽, 송민순, 김준형 (지은이) | 한반도 특강 - 2020 대전환의 핵심현안 | 창비 | 2018년 10월
정영철, 분단과 통일 그리고 사회학적 상상력, 2013, 경제와사회, p 161-182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산가족, 6.25 전쟁등 역사상의 아픔이 한순간에 일어난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갑자기 일어난 변화는 아니라는 것이다. 한반도를 보았을 때 그때 당시 위쪽 지역은 소련과 중국이 맞닿아 있었으며 그들은 그들의 사상과 경제 상황 그리고 정치 상황을 가까이서 지켜보고 있었다. 김일성 혼자 만의 힘으로 그 많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기존에 사회주의나 공산 체제를 지향했던 사람들이 그러한 일을 만들 정도로 많았다는 것이다. 역사는 한순간에 쉽게 변화 하지는 않는다. 한사람의 힘으로 쉽게 변화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북한은 현재 공산주의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조금씩 개방하려고 계획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누가 알 것인가? 앞으로 북한과 남한간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
Ⅲ. 결론
2020 대전환의 핵심현안 한반도 특강을 읽어 보았다. 북한 전문가 6인이 이번 북한과 관련하여 자신만의 담아 글을 적었다. 어떤 분은 현재 변화하고 있는 북한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 말하였고 어떤 분은 다양한 사진과 함께 북한에 살고 있는 시민들의 모습과 그들의 생활 변화를 알려주었다. 또한 작년 전 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던 비핵화와 그를 둘러싼 군사안보에 대한 쟁점을 말하였다. 그리고 비핵화가 이루어 졌을 때 중국과 일본 등 우리나라의 주변국과 아직까지 많은 영향을 미친 미국 과 같은 강대국의 대처는 어떻게 될까 하는 예상을 담아내고 있었다. 앞으로 한반도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는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한다. 그러기에 계속 전세계적으로 북한의 행동 하나하나를 주시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아무쪼록 사회문제인 이념 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문제 그리고 국가적인 안보문제, 경제 문제 등 좋은 흐름으로 지나가길 바란다.
Ⅳ참고도서
정세현, 이종석, 박영자, 김동엽, 송민순, 김준형 (지은이) | 한반도 특강 - 2020 대전환의 핵심현안 | 창비 | 2018년 10월
정영철, 분단과 통일 그리고 사회학적 상상력, 2013, 경제와사회, p 161-182
추천자료
(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
공통교양 ) 사회문제론 -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
[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
2019년 1학기 사회문제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
사회문제론 B)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는 어떤...
사회문제론 )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