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특징
2. 포플의 모델
3.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개념
(1) 지역사회개발 모델
(2) 사회계획 모델
(3) 사회행동 모델
(4) 사회행동의 전략
4. 사회행동의 토대가 될 수 있는 힘의 원천
5. 웨일과 갬블의 모델
(1) 근린지역사회 조직화
(2) 지역사회 사회, 경제적 개발
(3) 사회계획
(4)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연결(=연계)
(5) 정치,사회행동
2. 포플의 모델
3.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개념
(1) 지역사회개발 모델
(2) 사회계획 모델
(3) 사회행동 모델
(4) 사회행동의 전략
4. 사회행동의 토대가 될 수 있는 힘의 원천
5. 웨일과 갬블의 모델
(1) 근린지역사회 조직화
(2) 지역사회 사회, 경제적 개발
(3) 사회계획
(4)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연결(=연계)
(5) 정치,사회행동
본문내용
체 또는 지역 대인서비스계획협의회 등에서 이루어지며 계획가의 중심역할은 대인서비스, 사회계획, 서비스의 통합과정에서 보다 합리성을 발휘하는 것이고 계획가는 대인서비스에 필요한 자원결정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하며 구체적인 기술과 책임성을 가져야 한다.
(4)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연결(=연계)
지역사회조직의 연결활동(=연계)은 프로그램 개발 측면에서 필수적이며 목표는 지역사회의 대상자에게 필요하다고 평가되는 서비스를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와 서비스 프로그램 간 상호 작용은 다양한 방식으로 교류가 될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계획가, 프로포절 기획가, 대변자, 중개자, 촉진자, 관리자, 점검자, 평가자들이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5) 정치,사회행동
정치, 사회행동모델은 지역사회에서 불평등을 극복하거나 지역사회의 욕구를 무시하는 의사결정자에게 대항하고 조직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불공평한 조건을 변화시키려는 기술을 활용하여 사람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눔 사회복지학 개론, 김형준 편저, 배움출판사 165-171쪽 정리
<참고문헌>
나눔 사회복지학 개론, 김형준 편저, 배움출판사
(4)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연결(=연계)
지역사회조직의 연결활동(=연계)은 프로그램 개발 측면에서 필수적이며 목표는 지역사회의 대상자에게 필요하다고 평가되는 서비스를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와 서비스 프로그램 간 상호 작용은 다양한 방식으로 교류가 될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계획가, 프로포절 기획가, 대변자, 중개자, 촉진자, 관리자, 점검자, 평가자들이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5) 정치,사회행동
정치, 사회행동모델은 지역사회에서 불평등을 극복하거나 지역사회의 욕구를 무시하는 의사결정자에게 대항하고 조직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불공평한 조건을 변화시키려는 기술을 활용하여 사람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눔 사회복지학 개론, 김형준 편저, 배움출판사 165-171쪽 정리
<참고문헌>
나눔 사회복지학 개론, 김형준 편저, 배움출판사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운동과 관악사회복지에 대하여
지역사회복지의 모델 로스만에서 포플까지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유형, 지역사회복지 로스만의 모델, 테일러와 로버츠의 모델, 웨일...
지역사회복지실천모형(모델)의 유형
[A+] 로스만, 웨일과 갬블, 포플의 지역사회 복지 실천 모델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을 비교 설명하시오 (로스만의 모델, 테일러와 로버츠의 모델, 웨일과 ...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교재에 소개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인 로스만의 모델, 웨일과 갬...
[지역사회복지론] 수업시간에 다룬 지역복지실천모델(로스만, 웨이과 갬블, 포플 등) 중 하...
[지역사회복지] 지역복지실천모델(로스만 웨인과 갬블 포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제 국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