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범죄예방설계 정의와 기본원리
2) 사례분석
3. 결론
4. 참고자료
2. 본론
1) 범죄예방설계 정의와 기본원리
2) 사례분석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 그 적용 대상은 서울시 마포구 염리동이다.
적용 대상으로 선정한 마포구 염리동은 계획되었던 재개발 사업의 지연으로 인한 지역의 방치로 인해 주민들의 범죄에 대한 불안감이 상당히 높아졌던 지역이다. 2012년 4월, 이곳이 서울 범죄예방디자인 시범 마을로 선정되어 범죄예방설계의 적용한 이후 이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범죄예방설계의 다섯 가지의 기본 원칙의 각각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방범용 LED번호 표시등설치를 통한 자연적 감시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안심주택 지정을 통해 자연적 접근통제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곳곳에 안내표지판을 설치하여 지역 주민의 영역성을 강화하였고 곳곳에 운동 시설과 산책로 형성을 통해 활동성 강화와 유지관리를 이루었다. 이러한 범죄예방설계 적용의 결과 범죄에 대한 불안감이 9.1% 감소하였으며 애착심은 13.8%가 증가하였고 78.6%의 범죄예방 효과가 나타났다.
3. 결론
범죄는 발생하기 이전에 그를 예방하는 것이 발생한 이후에 그를 해결하는 것보다 중요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범죄예방설계는 도시를 건설함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영역이 아닐 수 없다. 범죄예방설계의 적용지역을 계속해서 확대하여 범죄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주민의 불안감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노력할 필요가 있다 생각된다.
4.참고자료
강의자료
범죄예방환경설계와 공동체의식이 주거환경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희옥, 2016, 홍익대학교건축도시대학원
범죄발생 위치데이터와 가로 세그먼트 분석단위를 활용한 CPTED 요소의 범죄예방효과 분석 : 마포구 염리동을 중심으로, 김다희, 2019, 세종대학교대학원
적용 대상으로 선정한 마포구 염리동은 계획되었던 재개발 사업의 지연으로 인한 지역의 방치로 인해 주민들의 범죄에 대한 불안감이 상당히 높아졌던 지역이다. 2012년 4월, 이곳이 서울 범죄예방디자인 시범 마을로 선정되어 범죄예방설계의 적용한 이후 이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범죄예방설계의 다섯 가지의 기본 원칙의 각각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방범용 LED번호 표시등설치를 통한 자연적 감시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안심주택 지정을 통해 자연적 접근통제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곳곳에 안내표지판을 설치하여 지역 주민의 영역성을 강화하였고 곳곳에 운동 시설과 산책로 형성을 통해 활동성 강화와 유지관리를 이루었다. 이러한 범죄예방설계 적용의 결과 범죄에 대한 불안감이 9.1% 감소하였으며 애착심은 13.8%가 증가하였고 78.6%의 범죄예방 효과가 나타났다.
3. 결론
범죄는 발생하기 이전에 그를 예방하는 것이 발생한 이후에 그를 해결하는 것보다 중요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범죄예방설계는 도시를 건설함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영역이 아닐 수 없다. 범죄예방설계의 적용지역을 계속해서 확대하여 범죄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주민의 불안감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노력할 필요가 있다 생각된다.
4.참고자료
강의자료
범죄예방환경설계와 공동체의식이 주거환경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희옥, 2016, 홍익대학교건축도시대학원
범죄발생 위치데이터와 가로 세그먼트 분석단위를 활용한 CPTED 요소의 범죄예방효과 분석 : 마포구 염리동을 중심으로, 김다희, 2019, 세종대학교대학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