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위해사고 □적신호
사고내용
□폭행 □투약 □낙상 □자살 □사망 □도주 □감염
□질식 □화상 □화재 □자해 □타해 □기타
※ 사건 발생경위 및 중재사항(육하원칙)
조치사항
추후관리
접수일시
부 서
보 고 자
(인)
별첨 2-3. 낙상위험 평가도구
낙상위험 평가도구
병록번호
환자이름
성별/나이
진료과/병동
분류일 :
No
분류
낙상위험오인사정
점수
예방적 중재
1
연령
65세 미만
0
□ 1. 환자 및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 교육
□ 2. 낙상주의 표지판 부착
□ 3. call bell 사용설명
□ 4. 이동시 도움 요청하도록 교육
□ 5. 보호자 상주 설명
□ 6. 침상 side rail 유지
□ 7. 환자 침대 바퀴고정
□ 8. 교육내용과 안전관리 시행 유무 확인
□ 9. 보조기구의 사용법 설명
□ 10. 휄체어 사용법 설명(휠체어 이동시 잠금장치)
□ 11. 석식이후 수분섭취 조절
□ 12. 질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 13. 보조기구 제공
□ 14. 정서적지지
□ 15. 체위이동과 보행시 단계적 움직일 것을 교육
□ 16. 조명 밝기 조절
□ 17. 장애물 제거
□ 18. 바닥 미끄럽지 않게 청소
□ 19. 발에 맞는 신발 착용
□ 20. 약물 부작용 사정
□ 21. 어지럼증 등의 가능성 설명
□ 22. 기타
65~70세
1
70~80세
2
80세이상
3
2
낙상
과거력
없음
0
지난 1년 이내
1
지난 1~5개월 이내
2
지난 4주 이내
3
3
활동수준
완전독립
0
부분독립
1
보행 보조 기구 사용
2
의존상태
3
4
의식
상태
명료 / 혼수
0
기면
1
혼돈
2
반혼수
3
5
의사
소통
정상
0
청력장애
1
언어장애
2
청력 및 언어장애
3
6
위험
요인
수면장애, 우울 - - -
없음
0
1~2개
1
3~4개
2
5개이상
3
7
관찰
질환
뇌졸중, 고혈압 - - -
1~2개
0
3~4개
1
5개이상
2
연령
3
8
약물
고혈압제, 이뇨제 - - -
없음
0
1개
1
2개
2
3개이상
3
합계
간호사 서명 :
별첨 2-4. 낙상 예방 교육
낙상 예방 교육(일반/고위험)
평가점수
등록번호
병실
환자명
설명후체크
□ 1. 도움이 필요할 때에 항상 주변의 호출벨을 찾아 사용합니다.
□ 2. 침상 난간은 항상 올려두고 난간 사이로 내려오지 않습니다.
□ 3. 침대에서 일어서거나 일어서서 옷을 갈아입지 않습니다.
□ 4.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가까이 두고 움직임을 최소화 합니다.
□ 5. 누워있는 자세에서 물건을 잡으시면 균형을 잃을 수 있습니다.
□ 6. 신발은 꼭 맞고 바닥이 미끄럽지 않는 것을 사용합니다.
□ 7. 계단, 화장실 또는 복도 등을 이동 할 때는 안전손잡이를 잡고 이동합니다.
□ 8. 보행이 불편하신 분은 보조 기구 또는 직원에게 도움을 받도록 합니다.
□ 9. 휠체어 사용 시 앉고 내릴 때는 반드시 고정 장치를 확인한 후 사용합니다.
□ 10. 수면 전 반드시 화장실을 다녀오도록 합니다.
□ 11. 시각청각이 불편하신 분은 안경이나 보청기 착용 후 이동합니다.
□ 12. 환자 침상에 낙상고위험 환자임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합니다.
작성일자 : 년 월 일
교육자 부서 성명 : (인)
환자 또는 보호자 : (인)
별첨 2-5. 낙상 예방 지침.
낙상 예방 지침
구분
내용
정상
○ 낙상예방 교육 및 안전한 환경유지
○ 입원시 낙상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 환자 및 보호자에게 낙상 가능성을 철저히 주지시킨다.
· 침상 난간 사용법을 교육하고 침상 난간을 올려준다
· 호출벨 사용법을 교육하고 호출벨은 항상 빠르게 응답한다.
· 침대에서 휠체어나 이동침대로 환자를 옮길 때 항상 바퀴를 고정 한다
· 환자 이동시 보호자나 간호사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 발에 꼭 맞으며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신도록 한다.
· 샤워실 이용은 항상 간병사나 보호자와 함께 하도록 한다.
○ 안전한 환경을 유지한다.
· 전화, 전기 줄, 수액 줄에 걸리지 않도록 관리한다.
· 침대 바퀴 고정 상태를 확인한다.
· 액체 등이 바닥에 쏟아지면 즉시 처리한다.
· 호출벨은 환자의 손에 닫는 위치에 놓는다.
· 밤에 수면 등으로 조명을 한다.
고위험군
· 하루에 한번 이상 환자를 모니터하고 보호자 부재 시 도움을 준다.
· 지남력에 문제가 있거나 시력, 청력이 나쁜 환자는 수시로 교육한다.
· 필요시 침상 옆에 이동식 변기를 둔다.
· 보행을 처음 시작하는 경우 보호자나 간병사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 식별 가능하도록 환자 침상에 “낙상위험” 표지판을 부착한다.
○ 정상군과 저위험군에 있는 중재들에 추가
· 거동이 가능하면 수면 전에 화장실을 미리 다녀오게 하거나 배설하도록 한다.
· 침상에서 배설하도록 변기를 대주고 기저귀를 교환하도록 한다.
· 휠체어나 이동 침대로 옮기는 경우 반드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반복 교육시킨다.
· 24시간 간병사나 보호자가 함께 하도록 교육한다.
· 낙상 위험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월1회 재평가한다.
별첨 2-6. 일일 낙상예방 시설 및 환경 점검표( 월)
일일 낙상예방 시설 및 환경 점검표( 월)
구분
점검 항목
합격 : ○ 불합격 : × 관리과로 즉시 보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
호출벨 점검
(작동 여부, 사용하기 쉬운 위치배치)
2
침대 부속물 점검
( side rail작동여부, 바퀴잠금 장치작동 여부)
3
고 위험 환자 확인
(낙상 주의표 부착, 낙상 주의 스티커 부착)
4
stretcher cart 부속물 점검
(side rail 작동 여부, 바퀴 잠금장치 작동여부)
5
휠 체어 부속물 점검
(손잡이, 등받이, 안전띠, 바퀴 잠금장치 작동여부 등)
6
보행 보조기구 부속품 점검
(팔 걸이, 고무파킹)
7
조명확인
(병실 야간등)
8
침상주변 정리 여부 확인
(부속 기구, 전기코드, 환자 부착물등)
9
화장실과 샤워 실 점검
(조명, 미끄러질 위험이 있는 물질 즉시 처리)
10
병실 바닥 확인
(물 등 미끄러질 위험이 있는 물질 즉시 처리)
점
검
자
D 점검자 sign
별첨 2-6 통제구역 및 환자안전사고 발생가능 구역 지정도
통제구역 및 환자안전사고 발생가능 구역 지정도
사고내용
□폭행 □투약 □낙상 □자살 □사망 □도주 □감염
□질식 □화상 □화재 □자해 □타해 □기타
※ 사건 발생경위 및 중재사항(육하원칙)
조치사항
추후관리
접수일시
부 서
보 고 자
(인)
별첨 2-3. 낙상위험 평가도구
낙상위험 평가도구
병록번호
환자이름
성별/나이
진료과/병동
분류일 :
No
분류
낙상위험오인사정
점수
예방적 중재
1
연령
65세 미만
0
□ 1. 환자 및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 교육
□ 2. 낙상주의 표지판 부착
□ 3. call bell 사용설명
□ 4. 이동시 도움 요청하도록 교육
□ 5. 보호자 상주 설명
□ 6. 침상 side rail 유지
□ 7. 환자 침대 바퀴고정
□ 8. 교육내용과 안전관리 시행 유무 확인
□ 9. 보조기구의 사용법 설명
□ 10. 휄체어 사용법 설명(휠체어 이동시 잠금장치)
□ 11. 석식이후 수분섭취 조절
□ 12. 질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 13. 보조기구 제공
□ 14. 정서적지지
□ 15. 체위이동과 보행시 단계적 움직일 것을 교육
□ 16. 조명 밝기 조절
□ 17. 장애물 제거
□ 18. 바닥 미끄럽지 않게 청소
□ 19. 발에 맞는 신발 착용
□ 20. 약물 부작용 사정
□ 21. 어지럼증 등의 가능성 설명
□ 22. 기타
65~70세
1
70~80세
2
80세이상
3
2
낙상
과거력
없음
0
지난 1년 이내
1
지난 1~5개월 이내
2
지난 4주 이내
3
3
활동수준
완전독립
0
부분독립
1
보행 보조 기구 사용
2
의존상태
3
4
의식
상태
명료 / 혼수
0
기면
1
혼돈
2
반혼수
3
5
의사
소통
정상
0
청력장애
1
언어장애
2
청력 및 언어장애
3
6
위험
요인
수면장애, 우울 - - -
없음
0
1~2개
1
3~4개
2
5개이상
3
7
관찰
질환
뇌졸중, 고혈압 - - -
1~2개
0
3~4개
1
5개이상
2
연령
3
8
약물
고혈압제, 이뇨제 - - -
없음
0
1개
1
2개
2
3개이상
3
합계
간호사 서명 :
별첨 2-4. 낙상 예방 교육
낙상 예방 교육(일반/고위험)
평가점수
등록번호
병실
환자명
설명후체크
□ 1. 도움이 필요할 때에 항상 주변의 호출벨을 찾아 사용합니다.
□ 2. 침상 난간은 항상 올려두고 난간 사이로 내려오지 않습니다.
□ 3. 침대에서 일어서거나 일어서서 옷을 갈아입지 않습니다.
□ 4.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가까이 두고 움직임을 최소화 합니다.
□ 5. 누워있는 자세에서 물건을 잡으시면 균형을 잃을 수 있습니다.
□ 6. 신발은 꼭 맞고 바닥이 미끄럽지 않는 것을 사용합니다.
□ 7. 계단, 화장실 또는 복도 등을 이동 할 때는 안전손잡이를 잡고 이동합니다.
□ 8. 보행이 불편하신 분은 보조 기구 또는 직원에게 도움을 받도록 합니다.
□ 9. 휠체어 사용 시 앉고 내릴 때는 반드시 고정 장치를 확인한 후 사용합니다.
□ 10. 수면 전 반드시 화장실을 다녀오도록 합니다.
□ 11. 시각청각이 불편하신 분은 안경이나 보청기 착용 후 이동합니다.
□ 12. 환자 침상에 낙상고위험 환자임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합니다.
작성일자 : 년 월 일
교육자 부서 성명 : (인)
환자 또는 보호자 : (인)
별첨 2-5. 낙상 예방 지침.
낙상 예방 지침
구분
내용
정상
○ 낙상예방 교육 및 안전한 환경유지
○ 입원시 낙상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 환자 및 보호자에게 낙상 가능성을 철저히 주지시킨다.
· 침상 난간 사용법을 교육하고 침상 난간을 올려준다
· 호출벨 사용법을 교육하고 호출벨은 항상 빠르게 응답한다.
· 침대에서 휠체어나 이동침대로 환자를 옮길 때 항상 바퀴를 고정 한다
· 환자 이동시 보호자나 간호사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 발에 꼭 맞으며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신도록 한다.
· 샤워실 이용은 항상 간병사나 보호자와 함께 하도록 한다.
○ 안전한 환경을 유지한다.
· 전화, 전기 줄, 수액 줄에 걸리지 않도록 관리한다.
· 침대 바퀴 고정 상태를 확인한다.
· 액체 등이 바닥에 쏟아지면 즉시 처리한다.
· 호출벨은 환자의 손에 닫는 위치에 놓는다.
· 밤에 수면 등으로 조명을 한다.
고위험군
· 하루에 한번 이상 환자를 모니터하고 보호자 부재 시 도움을 준다.
· 지남력에 문제가 있거나 시력, 청력이 나쁜 환자는 수시로 교육한다.
· 필요시 침상 옆에 이동식 변기를 둔다.
· 보행을 처음 시작하는 경우 보호자나 간병사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 식별 가능하도록 환자 침상에 “낙상위험” 표지판을 부착한다.
○ 정상군과 저위험군에 있는 중재들에 추가
· 거동이 가능하면 수면 전에 화장실을 미리 다녀오게 하거나 배설하도록 한다.
· 침상에서 배설하도록 변기를 대주고 기저귀를 교환하도록 한다.
· 휠체어나 이동 침대로 옮기는 경우 반드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반복 교육시킨다.
· 24시간 간병사나 보호자가 함께 하도록 교육한다.
· 낙상 위험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월1회 재평가한다.
별첨 2-6. 일일 낙상예방 시설 및 환경 점검표( 월)
일일 낙상예방 시설 및 환경 점검표( 월)
구분
점검 항목
합격 : ○ 불합격 : × 관리과로 즉시 보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
호출벨 점검
(작동 여부, 사용하기 쉬운 위치배치)
2
침대 부속물 점검
( side rail작동여부, 바퀴잠금 장치작동 여부)
3
고 위험 환자 확인
(낙상 주의표 부착, 낙상 주의 스티커 부착)
4
stretcher cart 부속물 점검
(side rail 작동 여부, 바퀴 잠금장치 작동여부)
5
휠 체어 부속물 점검
(손잡이, 등받이, 안전띠, 바퀴 잠금장치 작동여부 등)
6
보행 보조기구 부속품 점검
(팔 걸이, 고무파킹)
7
조명확인
(병실 야간등)
8
침상주변 정리 여부 확인
(부속 기구, 전기코드, 환자 부착물등)
9
화장실과 샤워 실 점검
(조명, 미끄러질 위험이 있는 물질 즉시 처리)
10
병실 바닥 확인
(물 등 미끄러질 위험이 있는 물질 즉시 처리)
점
검
자
D 점검자 sign
별첨 2-6 통제구역 및 환자안전사고 발생가능 구역 지정도
통제구역 및 환자안전사고 발생가능 구역 지정도
추천자료
(정신건강론) 자살현황과 개입방법 보고서
약물 오남용의 실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및 예방방안
생활과건강4공통) 평균혈압, 혈압단계, 고혈압의 예방행위, 협심증의 위험요인 및 증상에 대...
생활과건강) 충분한 휴식을 취한 상태에서 혈압을 2회 측정 후 평균혈압 분석, 고혈압 진단기...
난청 (hearing loss)
[노인복지론] 치매관련제도 / 치매가족과 치매환자 복지서비스의 문제점 / 개선방안
[동서협진과 CASE] 호흡곤란을 주소로 하는 뇌경색 후유증 환자 1례
생활과건강2019)현재 자신이 갖고 있는 건강문제(질병 혹은 증상)를 2가지 제시하고 각 건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