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문화 17세기 중엽 이전과 이후의 가족가치와 이데올로기를 혼인풍속, 재산상속, 제사상속을 중심으로 비교해서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과 문화 17세기 중엽 이전과 이후의 가족가치와 이데올로기를 혼인풍속, 재산상속, 제사상속을 중심으로 비교해서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조선 초기 가족체계와 혼인 풍속의 이해
2, 조선시대 혼인풍속의 변화
3, 조선시대의 제사상속의 변화 양상
4, 조선시대 재산상속의 변화
5, 조선시대의 가족가치와 이데올로기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에 있어서 朱子學이 도입 소개의 시기를 지나 실제로 사회 전반에 튼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은 조선 중기 이후의 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물론 위정자들이 표방한 정치적 지도이념이나 제도의 측면에서는 주자학적 의식이 朝鮮 前期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민중의 일상생활에 뿌리를 두고 있는 풍속 습관의 변화는 정치 제도의 경우처럼 단시일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성리학이 조선시대 지도이념으로 그 위치를 공고히 한 것은 조선 전기부터였다고 할지라도 그것이 일반적인 사회 윤리 풍속에로 깊이 파고들게 되는 것은 16세기를 지나면서부터 가능했으리라고 생각된다. 그것은 朱子家禮, 小學 등 조선시대 사회 윤리의 2대 실천규범서가 16세기에 와서야 겨우 사대부 계층층 사이에 정착되었다는 점을 통해 알 수 있다. 조선 초기는 사회적으로 아직 本 사상이 확립되지 않은 시기였다.
조선의 건국세력인 士大夫階層은 性理學을 새로운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삼아 그 것을 도입하고 조선사회의 전반에 적용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했다. 법령집인 『經國大典』과 儀禮를 집대성한 『國朝五禮義』는 이러한 노력을 잘 보여준다. 민간의 저항이 있기는 했지만 15-16세기에 이르러 祭禮와 喪禮 등 生活儀禮가 士大夫를 중심으로 민간에 뿌리 내리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婚禮는 한국 고유의 풍습을 유지하면서 좀처럼 변화되지 않았다.
조선조 후기는 대내적으로는 壬辰·丙子 亂의 충격과 그 후유증이 혼란스럽게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났을 뿐 아니라, 대외적으로는 조선조에 후반부 도입부터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이로 인한 社會·政治制度의 素亂, 經濟的 打擊 등 수많은 사회적 문제들이 대두되고, 앞 시대의 모든 질서와 규율은 깨어지며 새로운 질서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기로 볼 수 있으며 16C 후반 ~ 17C 전반은, 거시적으로는 15세기 조선 전기 사회구조가 17세기 이후의 전통적인 조선적 사회구조로 변화하는 시기이며, 미시적으로는 임진왜란 이후로 사회변화를 추적해 볼 수 있는 시기적 특성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학문과 기술에 있어서도 새로운 발전과 모색이 있었으며, 무능했던 현실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자아의식을 바탕으로 개혁이 추진되는 가운데 우리 문화를 정리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문화의 정리 작업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대· 내외의 사회적 혼란 가운데 흐트러진 문물의 제도적 재정비로서, 유교경전을 체계적으로 정리, 유교를 더욱 강화시켜 나갔으며, 경전에 주석을 다는 작업 뿐 아니라 역사서 · 법전류·윤리서 등도 정리되어 서적편찬이 활발해지면서 전통적 유교사회를 더욱 강화 발전시켜 나간 것도 이 시기였다. 유교적인 학문정리와 강화 발전은 더불어 정치적으로 士林 朋黨政治가 정착하기 시작하며, 경제적으로는 지주제가 확고하게 자리 잡고, 국가 제조사 사업의 성공과 국제무역의 흑자 등은 상품 화폐의 발달과 도시의 팽창을 초래 하면서 사치풍조를 만연케 했었다. 이러한 사치풍조는 혼례에서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또한 상업을 통해 부를 축적한 새로운 계층의 대두와 전란으로 인한 奴婢 文書의 소각과 분실, 納栗策의 시행으로 종전의 신분에 관계없이 수직하거나 면천되는 경우도 있어 조선의 엄격한 신분제는 허물어지며 앞 시대의 질서를 유지해 왔던 신분제의 해이와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결론
조선전기의 친족체계를 보자면 당초 내·외친을 망라하는 兩系 親族體系였으나, 17C 중엽을 전후로 하여 유교적 질서 체계의 강화로 인해 長子 중심의 父系親族體系, 宗廟의 계통을 중시여기는 사회제도의 전환으로 말미암아 父系 繼承이 절대적이 되었고, 그에 따라 아들을 낳을 경우 모친의 지위와 조건은 거의 절대적이 될 만큼 父系중심, 男兒선호 사상은 상상을 초월하였다. 明淸의 교체와 淸의 침입 등 심각한 대외적 위기를 경험했던 17C 조선은 대외정책으로 北伐論을 추진하였고, 그 이면에는 尊周論에 근거한 對明義理論이 자리 잡고 있었으며, 조선 문화의 우수성에 대한 자신감을 가졌는데, 이는 明의 멸망 이후 조선만이 유일하게 中華文化의 정수를 간직하고 中華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는 小中華主義 사상이 팽배해 있었기 때문이다. 17세기 이후 조선 사상사를 지배했던 예학(禮學)은 16세기 후반 理氣心性論, 正統論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는 것과 동시에 발달하였고 性理學에서의 정통론의 심화는 宗法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禮學의 강조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현상은 16세기 후반부터 본격화되었고, 奉祀制, 相續制, 養子制, 家婦法 등 사회 전반에서 長子와 正統을 강조하였던 경향도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朝鮮前期의 婚禮制度 朝鮮朝 이전에 이미 禮記와 朱子家禮가 우리나라에 導入되었고, 朝鮮朝에 이르러서는 질서의 확립과 사회 慣習의 變化라는 目的을 가지고 朱子家禮를 사회의 規範으로 제시하였다. 조선 초기의 기록에 고려의 혼인을 언급하였다. \"高麗朝의 婚俗에 男歸女家 하여 子孫을 낳아 外家에서 성장하므로 外親의 恩惠가 중하여 外祖父母, 妻 父母의 服에 각각 30일의 休戰를 주었다.\"고 하는 기록을 보면 서류부가 의 기간이 상당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유교의 家禮 도입 이전에는 엄격한 儀式이 없이 女家에서 함께 지냈고 자녀를 낳아 장대해진 후 男家에 돌아갔다. 조선조에 들어와서도 “다른 衣冠文物은 전부 中國의 制度를 따랐으나 婚俗 만은 固有한 風俗 男歸女家가 그대로 지켜지니 우리의 婚姻風習이 中國人의 笑거리가 된다.”고 부끄럽게 생각하였다. 조선조에서는 국초부터 혼례 중 신랑이 신부를 맞이해 오는 이른바 親迎禮가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世宗은 朱子家禮에 따른 王子臣民婚儀를 제정 하는 한편 親迎禮를 적극 권장하였으며, 中宗도 이의 실행에 특별한 뜻을 두고 여러 번 교서를 내렸으나 잘 이행되지 않았으며 신하 중에는 전통적 인 혼속을 중국의 예법에 맞추려 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반론을 펴기도 하였다. 明宗 때에는 고래의 관습과 친영의 절충된 이른바 반영제의 운동이 일어났다. 이것은 혼인식은 여자 집에서 행하나 처가에 머무는 기간을 단축 하여 2~3일에 그친다는 내용이다.
참고문헌
가족과 문화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가격4,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0.05.14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0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