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미디어에 따른 선거운동의 역사
본론
미디어 선거법
미디어 파급력과 문제점
미디어의 파급력의 외국의 사례
결론
미디어 선거운동의 개선방안
미디어에 따른 선거운동의 역사
본론
미디어 선거법
미디어 파급력과 문제점
미디어의 파급력의 외국의 사례
결론
미디어 선거운동의 개선방안
본문내용
1. 정치적 관심도 및 선거 관심도의 변화
언론보도에 대한 만족도, SNS의 정치사회적 유용도, 정치적 관심도 → SNS상의 투표참여운동 관심도에 정(+)의 영향, 정치 냉소주의 정도는 부(-)의 영향.
SNS상의 투표참여운동 관심도 → 선거에 대한 관심도에 정(+)의 영향, SNS 이용자의 이념성향 변화도는 영향 X .
2. 이념 성향 변화 영향 - 진보적 변화 > 보수적 변화
트위터 이용자 중 37.6%가 트위터를 이용하면서 자신의 주관적 이념성향이 변했다고 응답. 그 중 84.0%는 진보적으로 변했다고 응답.
트위터 외 타 SNS 이용자 중 46.0%가 자신의 주관적 이념성향이 변했다고 응답. 그 중 80.0%가 진보적으로 변했다고 응답.
3. 투표 참여 의지 제고
2012년 총선과 대선에서 트위터 이용자 90.0%와 트위터 이외 SNS 이용자 80.4%가 투표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 특히 트위터 이용자의 49.6%은 투표할 의향이 매우 많다고 응답하여 높은 투표참여 의사를 보여줌.
언론보도에 대한 만족도, SNS의 정치사회적 유용도, 정치적 관심도 → SNS상의 투표참여운동 관심도에 정(+)의 영향, 정치 냉소주의 정도는 부(-)의 영향.
SNS상의 투표참여운동 관심도 → 선거에 대한 관심도에 정(+)의 영향, SNS 이용자의 이념성향 변화도는 영향 X .
2. 이념 성향 변화 영향 - 진보적 변화 > 보수적 변화
트위터 이용자 중 37.6%가 트위터를 이용하면서 자신의 주관적 이념성향이 변했다고 응답. 그 중 84.0%는 진보적으로 변했다고 응답.
트위터 외 타 SNS 이용자 중 46.0%가 자신의 주관적 이념성향이 변했다고 응답. 그 중 80.0%가 진보적으로 변했다고 응답.
3. 투표 참여 의지 제고
2012년 총선과 대선에서 트위터 이용자 90.0%와 트위터 이외 SNS 이용자 80.4%가 투표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 특히 트위터 이용자의 49.6%은 투표할 의향이 매우 많다고 응답하여 높은 투표참여 의사를 보여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