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기본개념과 사례분석 및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성과 및 한계점과 비평 및 나의의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기본개념과 사례분석 및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성과 및 한계점과 비평 및 나의의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이란?

2.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기본개념
(1) 정신결정론
(2) 성격의 구성
(3) 성격구조

3.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발달 5단계

4.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방어기제

5. 사례분석

6.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과

7.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비평

8. 결론 및 나의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을 말함.
(3) 전이(transference)
과거에 알았던 사람에 대한 감정과 태도를 근래에 알게 된 사람에게 옮기는 것이다.
(4) 반동 형성(reaction-formation)
개인이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을 억압하고 부정하며 본래의 경향과 정반대로 표현하는 것이다
(5) 보상(compensation)
자신의 결함이나 부족에 대한 극도의 불안을 보완하려는 시도이다.
(6) 합리화(rationalization)
자신의 자존심을 유지하고 죄책감을 없애는 가장 흔한 방어기제
(7) 대치(subtsitution)
좌절로 인한 긴장을 감소시키는 방어기제
(8) 전치(displacement)
어떤 대상에 대해 가졌던 감정이 대체물에게 향하는 것
(9) 투사(projection)
불안에 대한 방어기제로 자신이 부인하고 싶은 자신의 성격, 특성, 태도, 동기,욕구 등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고 남을 탓하는 것
(10) 고착(fixation)
발달단계 중 불완전한 단계에서 정지하여 불완전과 미숙함을 나타내는 것.
(11) 퇴행(regression)
불안이나 공포로 인해 자신의 발달 단계보다 하위단계로 후퇴하는 것
(12) 해리(dissociation)
인격적인 통합을 이루지 못해 인격의 특정한 측면 이 개인의 통제를 벗어나 분리되는 것
(13) 부인(denial)
의식 상태에서 견딜 수 없는 지각을 무시하는 방어기제
5. 사례분석
대표적인 예로 오페라의 유령에 나오는 팬텀 역을 맡은 에릭의 심리분석을 할 수 있다.
가정환경의 부재로 인해 팬텀은 성장기에 각 단계의 애착관계 및 심리적 발달을 얻지 못했다.
그 분석을 남근기에서 시작해 본다면 가장 중요한 오이디프스 콤플렉스의 단계를 유연하게 넘기지 못하여 과시적이고 거만하고 공격적인 성격이 드러나게 되었다. 또한 잠복기에 또래관계를 형성하지 못하여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행동양식을 형성하지 못하였으며 5단계 성기기에 이르러 사춘기에 일어나는 신체, 감성적인 변화를 소화하지 못하고 보다 성숙한 성적 애착을 형성하지 못함으로써 젊고 아름다운 오페라가수 크리스틴에게 과도하게 집착하게 된다.
이러한 팬텀의 성격은 원초아의 기능이 강화되어 자신의 욕구나 충동을 자제할 수 없는 성격으로 발달한 것으로 사회 통합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욕구를 판단할 수 있는 자아를 발달 시켜 주고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초자아의 발달을 이루어 주어야 한다.
6.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과
확실히 정신분석이론은 심리학뿐만 아니라 현대의 지적 사조의 전 분야에 걸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아동기 사건들과 성인기 행동 사이를 연계시킨 최초의 학자가 프로이드이며, 그는 또한 심리적 고통과 장애가 발생하는 데 갈등의 역할을 인정한 최초의 사람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재의 행동이 과거의 사건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결정주의적인 전제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과거 시대에는 이 전제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음을 상기할 때 프로이드의 이론은 그 당시 획기적인 것이었다.
7.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비평
프로이드는 개인이 심리성적 발달 단계를 거치면서 성격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았다. 특히, 5세 이전의 초기 단계, 즉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는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기로, 이때의 경험은 지속적으로 그 흔적이 남는다고 하였다. 즉, 각 단계의 특징적인 욕구가 지나치게 많이 좌절되었다거나 지나칠 정도로 충족되었을 경우, 그 단계에 고착(fixation)되어 그 단계 특유의 성격적 특징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강기에 고착된 사람은 의존적이고 흡연이나 음주 등의 구강을 통한 만족을 추구하게 되고, 항문기에 고착된 사람은 인색하고 꼼꼼하고 철저한 성격을 갖기 쉽다는 것이다. 또한 프로이드는 성격평가기법으로 자유연상, 꿈의 분석과 같은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정신분석의 목표를 중요한 무의식적 자료를 의식으로 가져오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므로 치료자의 주요 역할은 무의식에시 의식으로의 \'전이\', 다시 말해 억압되어 무의식에 묻혀 있던 생각, 감정, 욕망을 치료자에게 자신도 모르게 표현하는 \'전이\'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저항 이 출현하면 그것을 해결하는 것이 치료의 법칙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은 연구 피험자가 주로 여성이며 표본 크기 또한 작고 자신을 찾아온 내담자 중심이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정신분석 이론은 개인의 과거 문제에 대한 원인 규명에는 많은 도움이 되나 미래 지향적이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8. 결론 및 나의의견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은 인간발달에 있어 무의식의 영역을 매우 강조한 반면 자아의 역할을 너무 과소 평가하고 있다. 인간을 무의식의 지배를 받아 비합리적이고 수동적인 존재로 보았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생각한다. 난 인간은 합리적이고 능동적이라 생각한다. 자아가 본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성적인 존재라 생각한다. 물론 무의식의 지배를 받지만, 스스로 합리적으로 결정 내릴 수 있다고 본다.
사람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좋든, 싫든 주변에서 많은 영향력을 받는다. 그로 인해 성격도 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프로이드의 이론에선 인생초기(만5세)에 형성된 성격은 불가역적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적절한 환경이 주어진다면 초기에 형성된 성격이라도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프로이드가 성격발달에 있어 사회적 영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내 의견은 다르다. 난 성격발달에 있어 대인과의 관계, 사회적 부분이 상당히 많은 영향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자아방어기제는 많은 부분 공감한다.
나도 무의식 중에 많은 자아방어기제를 사용하고 있었고, 앞으로도 알게 모르게 사용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프로이드의 이론은 인간의 본성인 무의식을 강조했다는 점, 자아방어기제 등, 많은 부분 공감이 가지만, 성격발달에 있어 사회환경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나에겐 약간 아쉬운 부분으로 남는다.
<참고문헌>
정신장애와 사회사업, 양옥경문인숙
인간발달, 백지숙박성연
정신의학, 이정균김용식
심리학의 이해, 방선욱
  • 가격3,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0.05.26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1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