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문제의 파악
1. 문제의 발견
2. 지역진단
II. 계획 수립
1. 사업계획, 조직계획, 재정계획 수립
2. 홍보활동의 전개
III. 계획의 실시
1. 지역조직화
2. 복지조직화
3. 주민집회
IV. 평가
1. 과제목표
2. 과정목표
* 참고문헌
1. 문제의 발견
2. 지역진단
II. 계획 수립
1. 사업계획, 조직계획, 재정계획 수립
2. 홍보활동의 전개
III. 계획의 실시
1. 지역조직화
2. 복지조직화
3. 주민집회
IV. 평가
1. 과제목표
2. 과정목표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어떤 기관 단체가 어느 정도 공헌했는가의 평가도 행해지는 것이다.
(2) 과정목표
과정목표(Process goal)는 \'계획 수립\'에서 \'계획 실시\'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주민의 주체형성의 정도, 관계한 기관 조직의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열거하면, (1) 활동에 대한 주민의 관심도나 참가도 및 연대감의 정도, (2) 기관 조직 간의 연계나 협력체제의 수준, (3) 지역사회 문제해결능력 향상의 정도 등이 평가의 포인트가 된다.
과정목표에 있어서 특히 주민의 권리의식이나 풀뿌리 민주주의의 정착이나 실행의 정도, 자치단체의 구조변혁이나 민주화의 정도를 관계목표(relationship goal)로서 별도의 평가지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역사회사업은 주민의 주체성 존중과 문제의 개별화, 사회자원의 최대 활용과 인간관계의 조직화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사들이 연관되어 있는 거시적 노력의 종류에 따라 집단결정 기술, 지역사회 인식 기술, 대중접근법, 모금 기술, 그리고 로비정책 등의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문제해결의 모델은 지역사회 문제들을 알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지역사회 문제해결모델의 다양한 단계들이 아래 3단계로 요약되어 있다.
거시적 접근법을 사용할 때는 지역사회의 가치 및 사회에서의 사회복지의 역할과 같은 가치의 문제들과 윤리적 문화적 민감성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거시적 실천의 모델들은 지역사회개발, 지역개발, 사회계획, 사회행동, 지역사회중개자활동 등을 포함한다(Zastrow, 1992, P. 250).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2) 과정목표
과정목표(Process goal)는 \'계획 수립\'에서 \'계획 실시\'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주민의 주체형성의 정도, 관계한 기관 조직의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열거하면, (1) 활동에 대한 주민의 관심도나 참가도 및 연대감의 정도, (2) 기관 조직 간의 연계나 협력체제의 수준, (3) 지역사회 문제해결능력 향상의 정도 등이 평가의 포인트가 된다.
과정목표에 있어서 특히 주민의 권리의식이나 풀뿌리 민주주의의 정착이나 실행의 정도, 자치단체의 구조변혁이나 민주화의 정도를 관계목표(relationship goal)로서 별도의 평가지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역사회사업은 주민의 주체성 존중과 문제의 개별화, 사회자원의 최대 활용과 인간관계의 조직화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사들이 연관되어 있는 거시적 노력의 종류에 따라 집단결정 기술, 지역사회 인식 기술, 대중접근법, 모금 기술, 그리고 로비정책 등의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문제해결의 모델은 지역사회 문제들을 알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지역사회 문제해결모델의 다양한 단계들이 아래 3단계로 요약되어 있다.
거시적 접근법을 사용할 때는 지역사회의 가치 및 사회에서의 사회복지의 역할과 같은 가치의 문제들과 윤리적 문화적 민감성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거시적 실천의 모델들은 지역사회개발, 지역개발, 사회계획, 사회행동, 지역사회중개자활동 등을 포함한다(Zastrow, 1992, P. 250).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