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가스터빈엔진이란---------------------------------------------3
Ⅱ. 본론
- 가스터빈엔진의 종류-------------------------------------------3
➀ 추력발생엔진
➀ 터보제트엔진----------------------------------------------3
➁ 터포팬엔진------------------------------------------------3
- 저바이패스엔진
- 중간바이패스엔진
- 고바이패스엔진
- 초고바이패스엔진
➁ 토크발생엔진
➀ 터보프롭엔진----------------------------------------------5
- UHB프롭팬엔진
➁ 터보 축 엔진----------------------------------------------6
Ⅲ 결론------------------------------------------------------6
Ⅳ 참고문헌---------------------------------------------------6
- 가스터빈엔진이란---------------------------------------------3
Ⅱ. 본론
- 가스터빈엔진의 종류-------------------------------------------3
➀ 추력발생엔진
➀ 터보제트엔진----------------------------------------------3
➁ 터포팬엔진------------------------------------------------3
- 저바이패스엔진
- 중간바이패스엔진
- 고바이패스엔진
- 초고바이패스엔진
➁ 토크발생엔진
➀ 터보프롭엔진----------------------------------------------5
- UHB프롭팬엔진
➁ 터보 축 엔진----------------------------------------------6
Ⅲ 결론------------------------------------------------------6
Ⅳ 참고문헌---------------------------------------------------6
본문내용
엔진과 같은 순간적인 동력발생이 어렵다는 것이다.
- UHB프롭팬엔진
이 엔진은 기존 터보프롭과는 매우 다르게 생겼으며 6~10개의 후퇴각을 갖는 곡면 브레이드 형상의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프로펠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최근의 금속재료기술의 발달 및 경량 스테인리스강과 복합소재기술의 발달 등에 의해 가능해졌다. 기존의 프로펠러로 이와 같은 성능을 내려면 직경이 매우 커야하는데 이는 구조의 하중계수 조건과 프로펠러 팁에서의 소음발생 등으로 인해 금지되고 있다. 이 엔진은 현용 가스터빈엔진 중에서도 가장 우수한 연료절약형 엔진이다.
터보 축 엔진
생성된 힘을 축을 통해 프로펠러 이외의 다른 구성품을 작용시키는 엔진을 터보축엔진이라고 부른다. 초기 터보축엔진의 동력출력축은 가스발생기 터빈휠과 직접 연결되어 있었으나오늘날에는 분리된 다른 터빈휠로 출력축이 구동된다. 이 디자인을 프리동력터빈이라 한다. 터보축엔진은 두 개의 주요 부분인 가스발생기와 동력터빈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가스발생기의 기능은 동력터빈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발생하는 것이다. 가스발생기 부분은 자체적으로 연소에너지의 2/3를 소모하고 나머지 1/3로 항공기 변속장치를 구동하는 동력터빈을 구동한다.
변속장치는 사실상 감속비가 높은 감속기어박스이다. 설계에 따라 때로는 터보축엔진도 고온배기가스에 의한 추력을 내기도 한다. 이러한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로터 자체추력만으로도 원하는 비행속도를 낼 수 있느냐는 것과 헬리콥터가 일정전방추력상태에서 제자리비행이 가능한가의 여부이다.
Ⅲ 결론
가스터빈엔진은 추력발생엔진과 토크발생엔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류에는 터보제트엔진, 터보팬엔진, 터보프롭엔진, 터보축엔진이 있다. 이번 관제를 통해 가스터빈의 종류와 그 엔진들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가스터빈엔진은 그냥 다 같은 엔진인줄 알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점이 다른 것도 알게 되었다. 가스터빈엔진의 기본 구동방식은 작용-반작용의 법칙을 이용한다. 여기서 프로펠러를 추가한 것도 있다. 팬이 있는 엔진은 바이패스비에 따라 저, 중, 고바이패스 엔진으로 구분된다.
Ⅳ 참고문헌
인터넷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13393&cid=42327&categoryId=42327
단행본
노명수 지음,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BM주식회사 성안당, 2019, 30p~38p
- UHB프롭팬엔진
이 엔진은 기존 터보프롭과는 매우 다르게 생겼으며 6~10개의 후퇴각을 갖는 곡면 브레이드 형상의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프로펠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최근의 금속재료기술의 발달 및 경량 스테인리스강과 복합소재기술의 발달 등에 의해 가능해졌다. 기존의 프로펠러로 이와 같은 성능을 내려면 직경이 매우 커야하는데 이는 구조의 하중계수 조건과 프로펠러 팁에서의 소음발생 등으로 인해 금지되고 있다. 이 엔진은 현용 가스터빈엔진 중에서도 가장 우수한 연료절약형 엔진이다.
터보 축 엔진
생성된 힘을 축을 통해 프로펠러 이외의 다른 구성품을 작용시키는 엔진을 터보축엔진이라고 부른다. 초기 터보축엔진의 동력출력축은 가스발생기 터빈휠과 직접 연결되어 있었으나오늘날에는 분리된 다른 터빈휠로 출력축이 구동된다. 이 디자인을 프리동력터빈이라 한다. 터보축엔진은 두 개의 주요 부분인 가스발생기와 동력터빈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가스발생기의 기능은 동력터빈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발생하는 것이다. 가스발생기 부분은 자체적으로 연소에너지의 2/3를 소모하고 나머지 1/3로 항공기 변속장치를 구동하는 동력터빈을 구동한다.
변속장치는 사실상 감속비가 높은 감속기어박스이다. 설계에 따라 때로는 터보축엔진도 고온배기가스에 의한 추력을 내기도 한다. 이러한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로터 자체추력만으로도 원하는 비행속도를 낼 수 있느냐는 것과 헬리콥터가 일정전방추력상태에서 제자리비행이 가능한가의 여부이다.
Ⅲ 결론
가스터빈엔진은 추력발생엔진과 토크발생엔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류에는 터보제트엔진, 터보팬엔진, 터보프롭엔진, 터보축엔진이 있다. 이번 관제를 통해 가스터빈의 종류와 그 엔진들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가스터빈엔진은 그냥 다 같은 엔진인줄 알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점이 다른 것도 알게 되었다. 가스터빈엔진의 기본 구동방식은 작용-반작용의 법칙을 이용한다. 여기서 프로펠러를 추가한 것도 있다. 팬이 있는 엔진은 바이패스비에 따라 저, 중, 고바이패스 엔진으로 구분된다.
Ⅳ 참고문헌
인터넷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13393&cid=42327&categoryId=42327
단행본
노명수 지음,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BM주식회사 성안당, 2019, 30p~38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