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 1p
2. 문헌고찰 ․․․․․․․․․․․․․․․․․․․․․․․․․․․․․․․․․․․․․․․․․․․․․․․․․․․․․․․․․․․․․․․․․․ 1p~3p
Ⅱ. 본 론
1. 자료수집 ․․․․․․․․․․․․․․․․․․․․․․․․․․․․․․․․․․․․․․․․․․․․․․․․․․․․․․․․․․․․․․․․ 4p~23p
2. 간호문제 ․․․․․․․․․․․․․․․․․․․․․․․․․․․․․․․․․․․․․․․․․․․․․․․․․․․․․․․․․․․․․․․․․․․․․․․․15p
3. 간호진단 ․․․․․․․․․․․․․․․․․․․․․․․․․․․․․․․․․․․․․․․․․․․․․․․․․․․․․․․․․․․․․․․․․․․․․․․․15p
4. 간호과정 적용 ․․․․․․․․․․․․․․․․․․․․․․․․․․․․․․․․․․․․․․․․․․․․․․․․․․․․․ 16p~19p
Ⅲ. 결론
1. 연구결과를 정리 ․․․․․․․․․․․․․․․․․․․․․․․․․․․․․․․․․․․․․․․․․․․․․․․․․․․․․․․․․․․․․․․․․․․․․․․․․․․․․․․․․․ 20p
2. 제언 ․․․․․․․․․․․․․․․․․․․․․․․․․․․․․․․․․․․․․․․․․․․․․․․․․․․․․․․․․․․․․․․․․․․․․․․․․․․․․․․․․․․․․․․․․․․․․․․․․․․․․․․․․․․․․․․․․․ 20p
3. 실습소감 ․․․․․․․․․․․․․․․․․․․․․․․․․․․․․․․․․․․․․․․․․․․․․․․․․․․․․․․․․․․․․․․․․․․․․․․․․․․․․․․․․․․․․․․․․․․․․․․․․․․․․․ 20p~21p
※ 참고문헌 ․․․․․․․․․․․․․․․․․․․․․․․․․․․․․․․․․․․․․․․․․․․․․․․․․․․․․․․․․․․․․․․․․․ 21p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 1p
2. 문헌고찰 ․․․․․․․․․․․․․․․․․․․․․․․․․․․․․․․․․․․․․․․․․․․․․․․․․․․․․․․․․․․․․․․․․․ 1p~3p
Ⅱ. 본 론
1. 자료수집 ․․․․․․․․․․․․․․․․․․․․․․․․․․․․․․․․․․․․․․․․․․․․․․․․․․․․․․․․․․․․․․․․ 4p~23p
2. 간호문제 ․․․․․․․․․․․․․․․․․․․․․․․․․․․․․․․․․․․․․․․․․․․․․․․․․․․․․․․․․․․․․․․․․․․․․․․․15p
3. 간호진단 ․․․․․․․․․․․․․․․․․․․․․․․․․․․․․․․․․․․․․․․․․․․․․․․․․․․․․․․․․․․․․․․․․․․․․․․․15p
4. 간호과정 적용 ․․․․․․․․․․․․․․․․․․․․․․․․․․․․․․․․․․․․․․․․․․․․․․․․․․․․․ 16p~19p
Ⅲ. 결론
1. 연구결과를 정리 ․․․․․․․․․․․․․․․․․․․․․․․․․․․․․․․․․․․․․․․․․․․․․․․․․․․․․․․․․․․․․․․․․․․․․․․․․․․․․․․․․․ 20p
2. 제언 ․․․․․․․․․․․․․․․․․․․․․․․․․․․․․․․․․․․․․․․․․․․․․․․․․․․․․․․․․․․․․․․․․․․․․․․․․․․․․․․․․․․․․․․․․․․․․․․․․․․․․․․․․․․․․․․․․․ 20p
3. 실습소감 ․․․․․․․․․․․․․․․․․․․․․․․․․․․․․․․․․․․․․․․․․․․․․․․․․․․․․․․․․․․․․․․․․․․․․․․․․․․․․․․․․․․․․․․․․․․․․․․․․․․․․․ 20p~21p
※ 참고문헌 ․․․․․․․․․․․․․․․․․․․․․․․․․․․․․․․․․․․․․․․․․․․․․․․․․․․․․․․․․․․․․․․․․․ 21p
본문내용
시간 정도 잤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단기목표 부분 성취됨
대상자는 1일 후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말로 표현했다.
대상자는 3일 후 수면을 방해하는 식품을 말로 표현했다.
대상자는 5일 후 전보다는 나아졌지만 아직 잘 자지 못했다고 말로 표현했다.
2. 대상자의 에게 수면을 방해하는 식품에 대해 교육한다.
2-1. 대상자에게 수면을 방해하는 식품에 대해 교육했다.
(9/19 “커피를 안 드시면 잠자리가 좀 더 편해지실 수 있어요.” 교육함)
카페인이 있는 음식 (커피, 콜라 등)은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에 잠자기 4~5시간은 금한다.
3.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2-2. 대상자에게 수면에 방해되는 요인을 제거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평소 쓰시던 이불 같은 건 가져오셔도 괜찮아요.”교육함, 간호 처치 후 신경 써서 커튼 쳐드림)
대상자에게 친숙한 물건을 배치하거나 소음을 줄이고 어두운 환경을 제공하는 등 수면에 방해되는 요인을 줄이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준다. 이로 인해 대상자가 심적 안정을 취하고 수면이 증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환경요인의 변화와 관련된 수면패턴 장애
간호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O.D
9/19 TFCA
9/20neck clipping
9/24 Hb 10.6,
Hct 31.5
TFCA, neck clipping op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출혈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의 Hb, Hct 수치가 2일 내로 정상 범위 내에 들어간다.
2. 대상자는 드레싱 교체 시 거즈에 혈액이 묻어나오지 않는다.
3. 대상자는 2일 후 출혈의 징후가 보이면 간호사에게 즉시 알릴 것을 말로 설명할 수 있다.
Hb, Hct 수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1-1. 2일 1회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Hb, Hct 수치를 확인한다.
(9/24 Hb 10.6, Hct31.5)
9/26 Hb12.2 , Hct37.8)
출혈이 생길 경우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수치의 감소는 가장 빠른 지표가 된다.
장기목표 성취됨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출혈이 일어나지 않았다.
단기목표 성취됨
대상자의 Hb, Hct 수치가 2일 후 정상 범위로 유지되었다.
대상자는 9월 25일 드레싱 교체 시 출혈 징후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상자는 2일 뒤 출혈의 징후가 보이면 간호사에게 알려야 함을 말로 표현하였다.
2. 출혈 양상을 확인한다.
2-1. 대상자의 거즈 교체일마다 거즈를 교체하며 출혈 양상을 확인하였다.
(9/25 드레싱 교체 시 출혈 징후 없었음)
출혈이 일어나는지 수시로 확인하여 출혈 발견 시 즉시 처치할 수 있도록 한다.
3.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3-1. 대상자 활력징후를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이상 징후가 있는지 확인했다.
(입원 기간 내 이상 없음)
빈맥과 저혈압은 출혈의 보상기전으로 순환하는 체액 감소의 지표가 될 수 있다.
4. 대상자에게 출혈의 징후가 보이면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한다.
4-1. 대상자에게 출혈의 징후가 보이면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하였다.
출혈은 조기에 발견하여 처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4) TFCA, neck clipping op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Ⅲ. 결론
1. 연구결과 정리
본 연구의 대상자는 타 병원에서 건강 검진 시 검사한 MRA에서 MCA 소견을 보여 본원으로 의뢰되었고 외래에서 CTA 검사 시행 unruptured MCA bifurcation 소견보여 외래 통해 입원해서 OR TFCA 검사 및 clip op를 하신 분이다. 수술 후 수술부위를 붙잡고 인상을 쓰고 수술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여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으로 간호진단을 내리고 대상자에게 약물을 제공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이완요법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는 더 이상 통증을 호소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대상자는 뇌수술과 관련하여 인지기능 등을 사정하기 위해 또한 수술과 관련된 뇌조직 관류 저하라는 간호진단을 내리고 대상자의 활력징후, 근력, 신경학적, 의식수준 변화를 관찰하고, 적절한 체위를 취하고 산소요법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는 뇌조직 관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상자는 또한 갑작스럽게 잠자리가 변하고 생활패턴이 변하자 밤에 수면을 취하지 못해 낮에 조는 모습을 보이고 피로함을 호소하여서 환경요인 변화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수면양상을 간호진단으로 잡고 대상자에게 수면에 방해되는 요인을 말하게 하고, 수면에 방해되는 식품을 교육하고,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주었다. 그 결과 대상자는 비교적 정상적인 수면패턴을 되찾았다. 마지막으로 대상자는 침습적 처치를 통한 시술과 수술을 했기 때문에 TFCA, neck clipping op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간호진단을 내리고 혈액 검사, 출혈 징후 확인, 활력징후 측정,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출혈이 일어나지 않았다.
2. 제언
본 연구의 case의 경우 대상자의 사정 상 오래 입원하지 못해 추후 외래에서 다시 진료를 약속하고 퇴원했다. 때문에 대상자의 주요 질병인 대동맥류 완치 및 예후에 관한 자료가 부족했고, 이로 인해 관련된 간호 중재 또한 부족하다. 뇌동맥류에 대해 알아보고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더불어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의의를 만족시키기 위해 같은 케이스의 다른 대상자를 연구하는 등 자료를 추가하여 관련된 간호중재를 추가할 필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김근순 외 4명(2015). 성인간호학1. 제4판, 파주, 수문사.
송경애 외 11명. 최신 기본간호학 하. 제1판, 파주, 수문사.
송경애 박형숙 홍영혜 이강이 정승교 외 7명, 최신기본한호학(하)(2014년 2월 14일).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099&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 http://www.snuh.org/pub/ihosp/sub05/sub01/
드러그인포 - http://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 http://www.health.kr/
단기목표 부분 성취됨
대상자는 1일 후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말로 표현했다.
대상자는 3일 후 수면을 방해하는 식품을 말로 표현했다.
대상자는 5일 후 전보다는 나아졌지만 아직 잘 자지 못했다고 말로 표현했다.
2. 대상자의 에게 수면을 방해하는 식품에 대해 교육한다.
2-1. 대상자에게 수면을 방해하는 식품에 대해 교육했다.
(9/19 “커피를 안 드시면 잠자리가 좀 더 편해지실 수 있어요.” 교육함)
카페인이 있는 음식 (커피, 콜라 등)은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에 잠자기 4~5시간은 금한다.
3.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2-2. 대상자에게 수면에 방해되는 요인을 제거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평소 쓰시던 이불 같은 건 가져오셔도 괜찮아요.”교육함, 간호 처치 후 신경 써서 커튼 쳐드림)
대상자에게 친숙한 물건을 배치하거나 소음을 줄이고 어두운 환경을 제공하는 등 수면에 방해되는 요인을 줄이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준다. 이로 인해 대상자가 심적 안정을 취하고 수면이 증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환경요인의 변화와 관련된 수면패턴 장애
간호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O.D
9/19 TFCA
9/20neck clipping
9/24 Hb 10.6,
Hct 31.5
TFCA, neck clipping op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출혈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의 Hb, Hct 수치가 2일 내로 정상 범위 내에 들어간다.
2. 대상자는 드레싱 교체 시 거즈에 혈액이 묻어나오지 않는다.
3. 대상자는 2일 후 출혈의 징후가 보이면 간호사에게 즉시 알릴 것을 말로 설명할 수 있다.
Hb, Hct 수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1-1. 2일 1회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Hb, Hct 수치를 확인한다.
(9/24 Hb 10.6, Hct31.5)
9/26 Hb12.2 , Hct37.8)
출혈이 생길 경우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수치의 감소는 가장 빠른 지표가 된다.
장기목표 성취됨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출혈이 일어나지 않았다.
단기목표 성취됨
대상자의 Hb, Hct 수치가 2일 후 정상 범위로 유지되었다.
대상자는 9월 25일 드레싱 교체 시 출혈 징후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상자는 2일 뒤 출혈의 징후가 보이면 간호사에게 알려야 함을 말로 표현하였다.
2. 출혈 양상을 확인한다.
2-1. 대상자의 거즈 교체일마다 거즈를 교체하며 출혈 양상을 확인하였다.
(9/25 드레싱 교체 시 출혈 징후 없었음)
출혈이 일어나는지 수시로 확인하여 출혈 발견 시 즉시 처치할 수 있도록 한다.
3.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3-1. 대상자 활력징후를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이상 징후가 있는지 확인했다.
(입원 기간 내 이상 없음)
빈맥과 저혈압은 출혈의 보상기전으로 순환하는 체액 감소의 지표가 될 수 있다.
4. 대상자에게 출혈의 징후가 보이면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한다.
4-1. 대상자에게 출혈의 징후가 보이면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하였다.
출혈은 조기에 발견하여 처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4) TFCA, neck clipping op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Ⅲ. 결론
1. 연구결과 정리
본 연구의 대상자는 타 병원에서 건강 검진 시 검사한 MRA에서 MCA 소견을 보여 본원으로 의뢰되었고 외래에서 CTA 검사 시행 unruptured MCA bifurcation 소견보여 외래 통해 입원해서 OR TFCA 검사 및 clip op를 하신 분이다. 수술 후 수술부위를 붙잡고 인상을 쓰고 수술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여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으로 간호진단을 내리고 대상자에게 약물을 제공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이완요법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는 더 이상 통증을 호소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대상자는 뇌수술과 관련하여 인지기능 등을 사정하기 위해 또한 수술과 관련된 뇌조직 관류 저하라는 간호진단을 내리고 대상자의 활력징후, 근력, 신경학적, 의식수준 변화를 관찰하고, 적절한 체위를 취하고 산소요법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는 뇌조직 관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상자는 또한 갑작스럽게 잠자리가 변하고 생활패턴이 변하자 밤에 수면을 취하지 못해 낮에 조는 모습을 보이고 피로함을 호소하여서 환경요인 변화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수면양상을 간호진단으로 잡고 대상자에게 수면에 방해되는 요인을 말하게 하고, 수면에 방해되는 식품을 교육하고,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주었다. 그 결과 대상자는 비교적 정상적인 수면패턴을 되찾았다. 마지막으로 대상자는 침습적 처치를 통한 시술과 수술을 했기 때문에 TFCA, neck clipping op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간호진단을 내리고 혈액 검사, 출혈 징후 확인, 활력징후 측정,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출혈이 일어나지 않았다.
2. 제언
본 연구의 case의 경우 대상자의 사정 상 오래 입원하지 못해 추후 외래에서 다시 진료를 약속하고 퇴원했다. 때문에 대상자의 주요 질병인 대동맥류 완치 및 예후에 관한 자료가 부족했고, 이로 인해 관련된 간호 중재 또한 부족하다. 뇌동맥류에 대해 알아보고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더불어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의의를 만족시키기 위해 같은 케이스의 다른 대상자를 연구하는 등 자료를 추가하여 관련된 간호중재를 추가할 필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김근순 외 4명(2015). 성인간호학1. 제4판, 파주, 수문사.
송경애 외 11명. 최신 기본간호학 하. 제1판, 파주, 수문사.
송경애 박형숙 홍영혜 이강이 정승교 외 7명, 최신기본한호학(하)(2014년 2월 14일).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099&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 http://www.snuh.org/pub/ihosp/sub05/sub01/
드러그인포 - http://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 http://www.health.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