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윤리적 갈등
II. 윤리적 갈등 상황
1.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2. 비밀 보장
3. 진실을 말할 의무
4. 제한된 자원의 공정한 분배
5. 상충되는 의무와 기대
III. 윤리적 갈등 해결을 위한 준거 틀
1. 윤리원칙1 - 생명보호의 원칙
2. 윤리원칙2 -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3. 윤리원칙3 - 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4. 윤리원칙4 - 최소 해악의 원칙
5. 윤리원칙5 - 삶의 질의 원칙
6. 윤리원칙6 - 사생활과 비밀 보장의 원칙
7. 윤리원칙7 - 진실과 사실을 완전히 알릴 원칙
* 참고문헌
II. 윤리적 갈등 상황
1.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2. 비밀 보장
3. 진실을 말할 의무
4. 제한된 자원의 공정한 분배
5. 상충되는 의무와 기대
III. 윤리적 갈등 해결을 위한 준거 틀
1. 윤리원칙1 - 생명보호의 원칙
2. 윤리원칙2 -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3. 윤리원칙3 - 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4. 윤리원칙4 - 최소 해악의 원칙
5. 윤리원칙5 - 삶의 질의 원칙
6. 윤리원칙6 - 사생활과 비밀 보장의 원칙
7. 윤리원칙7 - 진실과 사실을 완전히 알릴 원칙
*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등하게 처우되어야 하며, 동등하지 않은 상황의 사람들은 상황 그 자체가 사안이 되고 있다면 그에 따라 다르게 처우되어야 할 권리를 가진다.
아동학대의 경우, 학대당하는 아동은 성인과 동등한 위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비록 학대의 정도가 생명에 위협을 가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학대하는 성인에 대한 비밀 보장과 자율성의 원칙은 아동을 보호하는 의무에 비해 더욱 낮은 순위를 차지한다.
3) 윤리원칙 3 - 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사회복지사는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 그리고 자유를 신장시키는 결정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이 원칙은 생명보호의 원칙에 우선할 수 없다.
클라이언트가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해칠 위험이 있는 결정을 하려고 할 때, 사회복지사는 이에 개입해야 할 의무가 있다.
4) 윤리원칙 4 - 최소 해악의 원칙
사회복지사의 선택이 불가피하게 해를 초래할 수밖에 없는 경우, 손실이 가장 적거나, 발리 회복될 수 있는 경우를 선택해야 한다.
5) 윤리원칙 5 - 삶의 질의 원칙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개인들과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을 보다 향상
시키는 기회를 선택해야 한다.
6) 윤리원칙 6 - 사생활과 비밀 보장의 원칙
사회복지사는 모든 사람들의 사생활보호와 권리를 신장시키는 결정을 해야 한다. 비밀을 누설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은 이 의무를 지킨 직접적인 결과이다.
7) 윤리원칙 7 - 진실과 사실을 완전히 알릴 원칙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다른 사람들에게 진실을 말하고 모든 관련 정보를 충분히 개방하는 것을 허용하는 실천적 결정을 해야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아동학대의 경우, 학대당하는 아동은 성인과 동등한 위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비록 학대의 정도가 생명에 위협을 가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학대하는 성인에 대한 비밀 보장과 자율성의 원칙은 아동을 보호하는 의무에 비해 더욱 낮은 순위를 차지한다.
3) 윤리원칙 3 - 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사회복지사는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 그리고 자유를 신장시키는 결정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이 원칙은 생명보호의 원칙에 우선할 수 없다.
클라이언트가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해칠 위험이 있는 결정을 하려고 할 때, 사회복지사는 이에 개입해야 할 의무가 있다.
4) 윤리원칙 4 - 최소 해악의 원칙
사회복지사의 선택이 불가피하게 해를 초래할 수밖에 없는 경우, 손실이 가장 적거나, 발리 회복될 수 있는 경우를 선택해야 한다.
5) 윤리원칙 5 - 삶의 질의 원칙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개인들과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을 보다 향상
시키는 기회를 선택해야 한다.
6) 윤리원칙 6 - 사생활과 비밀 보장의 원칙
사회복지사는 모든 사람들의 사생활보호와 권리를 신장시키는 결정을 해야 한다. 비밀을 누설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은 이 의무를 지킨 직접적인 결과이다.
7) 윤리원칙 7 - 진실과 사실을 완전히 알릴 원칙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다른 사람들에게 진실을 말하고 모든 관련 정보를 충분히 개방하는 것을 허용하는 실천적 결정을 해야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