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m Staining 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ram Staining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Introduction)
2. 재료 및 방법 (Materials & Method)
3. 결과 (Result)
4. 고찰 (Discussion)
5. 참고문헌 (Reference)

본문내용

olet-iodine) complex가 형성된다. CV-I는 crystal violet 시약을 세포에 더욱 강하게 고정시켜주는데 그램양성균은 세포벽 중 peptidoglycan층이 두꺼워 CV-I complex가 peptidoglycan에 강하게 결합되어 제거가 어렵다. 이때 모든 세포는 그대로 보라색이다. 착색이 완료되면 탈색제인 alcohol을 처리한다. Alcohol은 지방용해, 단백질 탈수작용을 하는데 세포벽 중 지방함유량이 높은 그램음성균은 지방이 alcohol에 녹아 세포벽에 큰 구멍이 생기고, 세포벽에 있는 단백질의 탈수가 진행된다. 또한 peptidoglycan이 얇기 때문에 CV-I complex가 쉽게 탈색되어 세포벽이 무색이 된다. 세포벽에 지방함유량이 낮은 그램양성균은 지방이 알코올에 용출되어 미세한 구멍이 생겨 알코올에 의한 탈수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CV-I complex는 peptidoglycan과 강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가 잘되지 않아 여전히 보라색으로 남아있다. 마지막으로 탈색이 완료되었으면 분홍색의 염기성 시약인 Safranin O로 탈색된 세포를 염색하면 그램음성균은 분홍색으로 염색이 되고, 그람양성균은 보라색이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Gram staining을 완료한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그림 6]과 [그림 7]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염색이 되진 않았지만 부분적으로 보라색을 띄는 것으로 보아 그램양성균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조원들에 비해 미생물이 비교적 적었는데 이에 대한 원인은 배지에 미생물이 제대로 배양되자 않아 미세하게 보이는 colony를 채취하여 도말하는 과정에서 colony를 확실하게 채취하지 못했고 염색과정에서 water로 rinse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증류수로 하지 않고 실험실 내 세면대의 물로 rinse처리를 하여 미생물이 씻겨져 나갔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건조를 시키는 과정에서 자연건조를 해야 하는데 중간에 티슈로 물기를 흡수할 때 미생물이 빠져나갔을 것으로 추측된다. 염색이 부분적으로 된 원인은 실험과정에서 시약으로 염색을 할 때와 탈색을 할 때 정확히 시간을 준수하지 않고 진행하여 염색이 제대로 안됐던 것으로 추측된다.
5. 참고문헌 (Reference)
Reference 1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9912&cid=40942&categoryId=32330
Reference 2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6138&cid=60261&categoryId=60261
Reference 3 : 미생물 면역분과학회, 『실험 미생물학』, ㈜ 라이프 사이언스, 2013
Reference 4 :
https://peanutl.blog.me/220339742273
Reference 5 : 한국미생물학회, 『미생물학실험서』, 을유문화사, 1998
[그림 1] : https://blog.naver.com/cyonnext/10190323297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6.19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