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Appendix의 해부생리
1-1. GI tract
1-2. Appendix
2. Appendicitis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2-5. 치료
2-6. 간호
2-7. 예후 및 감별진단
Ⅱ. 본론
- ⅰ.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 ⅱ. 진행기록
- ⅲ. Problem List
- ⅳ. 간호과정
Ⅲ. 결론
◆ 참고문헌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Appendix의 해부생리
1-1. GI tract
1-2. Appendix
2. Appendicitis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2-5. 치료
2-6. 간호
2-7. 예후 및 감별진단
Ⅱ. 본론
- ⅰ.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 ⅱ. 진행기록
- ⅲ. Problem List
- ⅳ. 간호과정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03.16]
◆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감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감염이 없다.
간호계획
[16.03.16]
진단적 계획
1. 4시간마다 대상자의 v/s을 측정한다.
2. 매일 혈액검사결과를 확인한다.
3. 하루 3번 8시간 간격으로 감염증상을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
1.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2. 하루 3번 8시간 간격으로 카테터 및 line의 삽입부를 관찰하고 개방상태를 확인하며 삽입부 주위의 청결한 드레싱을 유지한다.
3. 하루 1번 수술 부위 dressing을 무균적으로 수행한다.
4. 모든 처치 전, 중, 후 및 환자 접촉 전, 후 철저한 손위생을 실시한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에게 도뇨관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 v/s은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이며 감염의 지표가 될 수 있다.
-2-1. 감염 시 WBC와 ESR, CRP 등의 수치가 상승한다.
-2-2. -3. 감염의 정도를 사정함으로써 적절한 간호계획을 수립하여 적절한 중재를 할 수 있다.
-1-1. 처방된 약물 투여하여 대상자의 감염 증상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1-2. 항생제는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킨다.
-2-1. 카테터 및 line의 삽입부를 관찰하고 개방상태를 확인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2-2. 관이 막히면 내부감염을 초래한다.
-2-3. 젖은 상태의 노출은 세균 배양의 적당한 배지가 될 수 있다.
-3. 수술부위에 감염예방을 예방하기 위해 무균적으로 드레싱이 필요하다
-4-1. 환자와 접촉하기 전 손의 오염을 제거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4-2. 철저한 손위생으로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1-1. 도뇨관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함으로서 잘못된 관리로 인한 감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간호수행
[16.03.16
~03.18]
03-16 18:10
03-17 05:51
03-18
15:37
WBC
9.28
8.83
8.2
Seg. neutrophil
80.2%▲
73.8%▲
67.3%▲
-1. 매일 4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v/s을 측정하였다.
-2.03-16, 03-17, 03-18 혈액검사결과를 확인하였다.
-3. 하루 3번 8시간 간격으로 감염증상(카테터, 배액관 및 line의 삽입부위의 발적, swelling 등)을 관찰하였다.
-1 처방된 항생제(yamatetan 1g(mix N/S 20ml) 2V#2)를 투여하였다.
-2. 하루 3번 8시간 간격으로 Foley catheter 및 peripheral line의 삽입부를 관찰하고 개방상태를 확인하고 삽입부 주위의 청결한 드레싱을 유지하였다.
-3. 하루 1번 수술 부위 dressing을 무균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주위의 감염 증상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4. 환자 접촉 전/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분비물 접촉 후 철저한 손위생을 실시하였다.
-1. 대상자에게 도뇨관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Urine bag는 항상 허리 아래쪽으로 차고 다님으로써 소변이 도뇨관에서 그리고 urine bag에서 다시 방광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튜브가 꺾이거나 둥글게 말리지 않도록 한다
주머니에 소변이 3분의 2정도 찼을 때 또는 매 8시간마다 비운다.
Urine bag이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한다.
간호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는 ‘16-03-18까지 WBC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03-16 18:10
03-17 05:51
03-18 15:37
WBC
9.28
8.83
8.2
대상자는 ‘16-03-19 퇴원 시 까지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16-03-19 퇴원 시 까지 감염 증상(발열, 발적, 염증 등)이 발생하지 않았다.
Ⅲ 결론
본 사례연구의 대상자는 필리핀에서 기거하는 분으로 내원 33시간 전부터(03/15 04:00) epigastric pain 있어 필리핀 병원에서 Lab만 시행 후 염증소견 있다는 이야기 듣고 03/16 11:00 본원 응급실 내원하였다. 도착 시 v/s 37.4℃(T) - 69회/분(P) - 20회/분(R) - 139/94mmHg(BP) - 97%(SpO₂) 였으며 abdominal pain(RLQ, 통증척도 NRS 4점), nausea, 복부 불편감 호소하였다. CBC, CT 등의 검사 결과 Acute appendicitis 진단 받고 03/16 15:00 Appendectomy 후 병동으로 입원하였다. 입원 시 Foley catheter(16Fr), peripheral line(18G, Rt. arm), PCA, 복대 있었으며 17일 03:00 Gas out 후 Foley catheter remove 하였으며 식이교육, OP site cover dressing 시행 하였다. 그 후 pain 호소 줄고 수술 부위 oozing 없는 등 상태 호전 보여 03/19 10:30 퇴원 하였다. 본 대상자는 Appendectomy 후 별다른 후유증이나 이상 없이 상태 호전되어 퇴원하였으나 OP site 관리(dressing, 발적이나 부종, 오한, 고열 시 방문, 샤워 시 주의 등)와 복압이 상승하거나 과도한 운동을 피하도록 하는 등의 세심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참고문헌
-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
- [KIMS 학술정보센터 ·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 Bulent Kaya(2012), “The Diagnostic Value of D-dimer, Procalcitonin and CRP in Acute Appendicitis” 9(10): 909915.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520016/
- 황옥남 외(2014),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321~326p, 397~398p
- 황옥남·김진경·최동희·조준아·박미영 공저(2015) ,성과기반 성인간호 실무지침 Ⅰ, 현문사
◆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감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감염이 없다.
간호계획
[16.03.16]
진단적 계획
1. 4시간마다 대상자의 v/s을 측정한다.
2. 매일 혈액검사결과를 확인한다.
3. 하루 3번 8시간 간격으로 감염증상을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
1.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2. 하루 3번 8시간 간격으로 카테터 및 line의 삽입부를 관찰하고 개방상태를 확인하며 삽입부 주위의 청결한 드레싱을 유지한다.
3. 하루 1번 수술 부위 dressing을 무균적으로 수행한다.
4. 모든 처치 전, 중, 후 및 환자 접촉 전, 후 철저한 손위생을 실시한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에게 도뇨관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 v/s은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이며 감염의 지표가 될 수 있다.
-2-1. 감염 시 WBC와 ESR, CRP 등의 수치가 상승한다.
-2-2. -3. 감염의 정도를 사정함으로써 적절한 간호계획을 수립하여 적절한 중재를 할 수 있다.
-1-1. 처방된 약물 투여하여 대상자의 감염 증상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1-2. 항생제는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킨다.
-2-1. 카테터 및 line의 삽입부를 관찰하고 개방상태를 확인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2-2. 관이 막히면 내부감염을 초래한다.
-2-3. 젖은 상태의 노출은 세균 배양의 적당한 배지가 될 수 있다.
-3. 수술부위에 감염예방을 예방하기 위해 무균적으로 드레싱이 필요하다
-4-1. 환자와 접촉하기 전 손의 오염을 제거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4-2. 철저한 손위생으로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1-1. 도뇨관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함으로서 잘못된 관리로 인한 감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간호수행
[16.03.16
~03.18]
03-16 18:10
03-17 05:51
03-18
15:37
WBC
9.28
8.83
8.2
Seg. neutrophil
80.2%▲
73.8%▲
67.3%▲
-1. 매일 4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v/s을 측정하였다.
-2.03-16, 03-17, 03-18 혈액검사결과를 확인하였다.
-3. 하루 3번 8시간 간격으로 감염증상(카테터, 배액관 및 line의 삽입부위의 발적, swelling 등)을 관찰하였다.
-1 처방된 항생제(yamatetan 1g(mix N/S 20ml) 2V#2)를 투여하였다.
-2. 하루 3번 8시간 간격으로 Foley catheter 및 peripheral line의 삽입부를 관찰하고 개방상태를 확인하고 삽입부 주위의 청결한 드레싱을 유지하였다.
-3. 하루 1번 수술 부위 dressing을 무균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주위의 감염 증상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4. 환자 접촉 전/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분비물 접촉 후 철저한 손위생을 실시하였다.
-1. 대상자에게 도뇨관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Urine bag는 항상 허리 아래쪽으로 차고 다님으로써 소변이 도뇨관에서 그리고 urine bag에서 다시 방광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튜브가 꺾이거나 둥글게 말리지 않도록 한다
주머니에 소변이 3분의 2정도 찼을 때 또는 매 8시간마다 비운다.
Urine bag이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한다.
간호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는 ‘16-03-18까지 WBC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03-16 18:10
03-17 05:51
03-18 15:37
WBC
9.28
8.83
8.2
대상자는 ‘16-03-19 퇴원 시 까지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16-03-19 퇴원 시 까지 감염 증상(발열, 발적, 염증 등)이 발생하지 않았다.
Ⅲ 결론
본 사례연구의 대상자는 필리핀에서 기거하는 분으로 내원 33시간 전부터(03/15 04:00) epigastric pain 있어 필리핀 병원에서 Lab만 시행 후 염증소견 있다는 이야기 듣고 03/16 11:00 본원 응급실 내원하였다. 도착 시 v/s 37.4℃(T) - 69회/분(P) - 20회/분(R) - 139/94mmHg(BP) - 97%(SpO₂) 였으며 abdominal pain(RLQ, 통증척도 NRS 4점), nausea, 복부 불편감 호소하였다. CBC, CT 등의 검사 결과 Acute appendicitis 진단 받고 03/16 15:00 Appendectomy 후 병동으로 입원하였다. 입원 시 Foley catheter(16Fr), peripheral line(18G, Rt. arm), PCA, 복대 있었으며 17일 03:00 Gas out 후 Foley catheter remove 하였으며 식이교육, OP site cover dressing 시행 하였다. 그 후 pain 호소 줄고 수술 부위 oozing 없는 등 상태 호전 보여 03/19 10:30 퇴원 하였다. 본 대상자는 Appendectomy 후 별다른 후유증이나 이상 없이 상태 호전되어 퇴원하였으나 OP site 관리(dressing, 발적이나 부종, 오한, 고열 시 방문, 샤워 시 주의 등)와 복압이 상승하거나 과도한 운동을 피하도록 하는 등의 세심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참고문헌
-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
- [KIMS 학술정보센터 ·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 Bulent Kaya(2012), “The Diagnostic Value of D-dimer, Procalcitonin and CRP in Acute Appendicitis” 9(10): 909915.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520016/
- 황옥남 외(2014),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321~326p, 397~398p
- 황옥남·김진경·최동희·조준아·박미영 공저(2015) ,성과기반 성인간호 실무지침 Ⅰ, 현문사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case - 응급실 (상황, 우선순위, case, 비상약품종류와 간호),case study-뇌졸중
Case study ( Appendicitis ) 급성충수염
급성림프구성백혈병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ase study
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
위장관계 환자의 사정과 간호 (위장계, 게실질환, 맥켈게실, appendicitis, PUD, 위궤양, 십...
맹장염 case (맹장염 간호과정, 맹장염 사례연구, 맹장염 케이스, 맹장염, appendicitis case...
Acute Pharyngitis 급성 인두염 케이스 스터디 A+ 간호과정 A+
강력추천) 흉부외과 , 심혈관 중환자실 Case study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심근...
Acute hepatitis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