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이론 개념 특성 등장배경분석과 행동주의이론 이론설명 및 행동주의이론에 대한 평가와 비판 및 새롭게 알게된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주의이론 개념 특성 등장배경분석과 행동주의이론 이론설명 및 행동주의이론에 대한 평가와 비판 및 새롭게 알게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행동주의이론 개념

2. 행동주의이론 등장배경

3. 행동주의 이론에 대한 설명

4. 행동주의이론 특징

5. 주요학자들의 행동주의이론 소개
(1)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
(2) 반두라의 행동주의이론
(3) 왓슨의 행동주의이론

6. 행동주의 학습이론이란?

7. 행동주의이론에 대한 평가 및 비판

8. 결론 및 새롭게 알게된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게 되는데 이는 갑작스런 소음과 다른 하나는 신체를 지탱하는 힘을 상실할 때(아기의 머리가 갑자기 뒤로 젖혀지는 경우처럼) 무조건 자극은 단 두 가지뿐이라고 보았다.
반면에. 나이가 든 아동은 낯선 사람, 개, 쥐, 어둠 등 같은 것을 무서워하게 되므로 공포 반응을 일으키는 대부분의 자극은 학습된 것임(예: 어린 소년이 뱀을 무서워하는 것은 그가 뱀을 볼 때마다 비명소리에 놀랐기 때문이며 이때 뱀이 조건 자극이 된 것이다)
2) 분노에 대한연구
신체동작을 구속하는데 대한 반응실험- 예를 들면 2세 여아를 붙잡고 서서 가고 싶은 곳을 가지 못하게 하면 소리를 지르고 몸을 경직시킴--> 나중에는 다른 여러 가지 상황에서도 나타남. 이는 처음에 경험한 상황과 신체적 구속이라는 상황이 연합이 되기 때문이다.
3)사랑에 대한연구
유아는 처음에는 어떤 특정인에게 애정을 느끼지 않지만 곧 애정을 느끼도록 조건형성이 됨 - 예를 들면 엄마의 피부를 쓰다듬거나 간지럽히거나 가볍게 흔드는 행동에 대해 좋은 감정을 경험하면서 엄마의 얼굴은 그 자체로서 엄마에 대한 좋은 감정을 일으키는 조건 자극이 되고 이후, 어떤 식으로건 엄마와 연합된 사람들이면 모두 이와 같은 반응을 일으키게 되며 타인에 대한 부드럽거나 긍정적인 감정은 2차 조건형성을 통해 학습되어진다고 보았다.
6. 행동주의 학습이론이란?
개체가 그들의 특정 환경 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다는 점에서 학습을 행동의 변화라고 주장한다. 오로지 관찰 가능한 행동과 행동변화에만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관찰 가능한 것을 연구대상으로 삼으며 학습이 반복적인 연습과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즉 행동주의 관점에서의 학습이란 학습자가 수업의 결과로써 사전에 만들어진 목표, 즉 명세화된 지식, 기능 및 태도 목표를 완전 학습할 수 있도록 수업을 하여 관찰할 수 있고, 측정할 수 있는 학습자의 반응이 학습의 성과로 나타난다. 또한 교사에 의해 주어진 정보를 모든 학습자들이 동일하게 학습하고 차이점을 확인하는 것이 수업의 목적이다.
7. 행동주의이론에 대한 평가 및 비판
행동주의적 접근이 상담에 기여한 점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 중 하나는 상담을 과학으로 발전시킨 점이다. 행동주의적 접근에서는 겉으로 드러나는 구체적인 행동을 소거시키거나 새로운 행동을 획득하도록 상담 목표를 정한다. 그래서, 이 접근에서는 상담의 목표가 달성 되었는지의 여부를 분명히 알 수 있는 뿐만 아니라 어떤 행동이 소거되고 획득되었는지도 객관적으로 분명히 알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이렇게 객관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담은 과학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 다른 기여점은 내담자와 상담자의 합의에 따라 개개인에게 맞는 구체적인 상담기술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단지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통찰을 얻도록 하는 것과는 달리 행동주의적 접근에서는 행동하는 것(doing)을 강조하기 때문에, 이 접근에 익숙한 상담자는 내담자의 행동을 바꾸는데 도움을 주는 많은 행동적 기법 또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 즉 이 접근에 익숙한 상담자는 강화나 소거 등의 학습원리를 다양하게 적용시켜 개개인에게 맞는 상담과정이나 기술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내담자가 가진 어떤 문제가 행동주의적 접근에 의해 일시적으로 사라진다고 해도, 이 접근은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 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접근에 의해 일시적으로 사라진 행동은 곧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고 이 접근을 비판하는 정신분석가들이 있다. 물론 이러한 일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어떤 문제 행동이 다른 형태로 대치됨이 없이 문제 행동을 수정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도 또한 사실이다.
행동주의 접근은 상담에 있어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를 경시하고 기술을 지나치게 강조한다는 비판이다. 비판가들은 이 접근에서는 상담자가 내담자를 냉정하게 대하고, 상담자의 생각대로 내담자의 행동을 조정하려 하며, 상담자와 내담자는 기계적인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다. 사실 행동주의적 접근에서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에 일차적인 비중을 두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이 접근이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가 기계적이고 비인간적이라는 비판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행동주의적 접근에서도 상담자와 내담자가 협력적인 관계일 때 상담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상담자들 중에는 그 들이 내담자에게 지시를 하고 상담자 자신이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내담자와 인간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서 올 수 있는 상담자 자신의 불안감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행동주의적 접근에 더 끌리는 사람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점들은 이 접근의 본래적인 특징은 아니다.
행동주의적 접근에서는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현재의 문제에 대한 내력(historical causes)을 경시한다는 비판이다. 문제 행동의 내력을 경시하는 것은 정신분석적 접근과는 상치되는 것이다. 행동주의적 접근을 하는 사람들은 비록 내담자의 문제 행동이 어떤 내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할지라도 그들은 내담자의 문제 행동이 계속 정적인 강화를 받기 때문에 계속 유지된다고 보고 있다. 즉 내담자의 문제 행동은 그 행동이 계속 유지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접근에는 문제 행동의 내력을 알려고 하는 것보다도 그 문제 행동이 현재 어떤 강화를 받고 있는지를 알아 이 강화 자극을 제거할 수 있도록 환경을 변화시키거나 문제 행동과 대치될 수 있는 새로운 행동을 학습시키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8. 결론 및 새롭게 알게된점
행동주의 이론은 현시대에도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학문적인 폭도 여전히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번 조사는 행태주의가 폐쇄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즉, 감각, 인지, 의지, 본능과 같은 심리적 요인을 배제하는 객관적 실험 중심의 딱딱한 학문에 불과할거라는 우리의 좁은 시각에서 벗어나, 알아갈수록 유연하고 활용 가능성이 높은 이론임을 깨달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인간의 마음과 행동- 한덕웅
현대이상심리학 - 권석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이인정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0.06.30
  • 저작시기2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3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