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조사실습 실험 레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질조사실습 실험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함수비 시험
시험 목적
이 시험을 통해 구하는 것
실험 방법
쓰이는 곳
실험 결과

2. 흙의 비중시험
시험 목적
이 시험을 통해 구하는 것
실험 방법
쓰이는 곳
실험 결과

3. 액성한계 및 소성한계시험
시험 목적
이 시험을 통해 구하는 것
실험 방법
쓰이는 곳
실험 결과

4. 체분석 시험
시험 목적
이 시험을 통해 구하는 것
실험 방법
쓰이는 곳
실험 결과

5. 비중계시험
시험 목적
이 시험을 통해 구하는 것
실험 방법
쓰이는 곳
실험 결과

6. 흙 분류(통일분류법)
결론
고찰

본문내용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통해서 입도분포 곡선에서 유효입경(D)과 균등계수(Cu), 곡률계수(Cc)를 구해 흙의 분포와 상태 분석을 통하여 골재의 특성을 구하기위함.
시험 방법
1. No.4, No.10, No.20, No.40, No.60, No.100, No.200 각 체의 무게를 측정한다.
2. 흙을 건조 시킨 후 잘게 부수어 적절한 양의 시료를 준비한다.
3. 체 크기에 따라 가는체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포개어 놓고 시료를 흘리지 않게 부은 후 흔들어 체가름을 실시한다.
4. 체에 물을 뿌려서 흘려 내리고 체의 눈이 작은 체의 시료는 손으로 비벼가면 서 시료가 정확하게 체의 크기에 맞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5. 각 체에 담긴 시료를 건조 시킨 후 무게를 측정한다.
쓰이는 곳
- 입도는 조립토의 판별분류 및 흙의 공학적 성질을 판별하는데 쓰여진다.
실험 결과
체크기
체무게
(g)
각 체에 남은 시료
각 체에 남은 누가량
통과율
(g)
(%)
(g)
(%)
(%)
No.4
(4.75mm)
527.9
36.8
3.7
36.8
3.7
96.3
No.10
(2.00mm)
471
125.7
12.6
162.5
16.3
83.7
No.20
(0.84mm)
378.1
187.4
18.8
349.9
35.1
64.9
No.40
(0.425mm)
361.3
200.8
20.1
550.7
55.3
44.7
No.60
(0.250mm)
363.2
102.8
10.3
653.5
65.7
34.3
No.100
(0.150mm)
345.7
96.3
9.6
749.8
75.3
24.7
No.200
(0.075mm)
325.6
98.9
9.9
848.7
85.3
14.7
Pan
1441.1
145.9
14.6
99.46
100
0
결과
입도분포곡선
5. 비중계시험
시험목적
- 토립자가 침강하는 속도를 Stoke’s 법칙을 적용해 체분석 시험에서 알아 낼수 없는 200번체를 통과하는 가는 입자의 입도분포를 알아 내기 위함
이 시험을 통해 구하는 것
- 비중계 시험은 세립토로 만든 흙탕물의 비중을 측정하여 토립자가 칭강하는 속도를 그린것을 구하고자 한다.
실험 방법
1. No.200을 통과한 시료와 비커에 물을 준비한다.
2, 시료에 분산제를 넣고 분산기를 10분이상 교반한다.
3. 메스실린더, 비중계의 지름을 측정하고 비중계를 물에 넣고 구부의 부피를 측정한다.
4. 분산용기를 해체하여 시료를 실런더로 옮긴다.
5. 메스실린더를 손바닥으로 막고 뒤집어 골고루 섞는다.
6. 메스실린더 속 혼탁택의 비중을 비중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30초 / 1분 / 2분 / 5분 / 15분 / 30분 / 1시간 / 2시간 / 4시간 / 8시간 / 24시간 기준)
쓰이는 곳
- 세립토의 입자크기(D)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실험 결과
균등계수 Cu = D(60)/D(10) = 0.7393/0.0511 = 14.468
곡률계수 Cg = [D(30)]^2/[D(10)*D(60)]= 0.2052^2/(0.0511*0.7393)= 1.116
Cu ≥ 6
1< Cg <3 이 동시에 만족됨으로 입도분포가 양호하다.
6. 흙 분류(통일분류법)
결론
통일분류법에 의한 흙의 분류
- No.200체(0.075mm) 통과율이 14.7%
N0.4체(4.75mm)통과율이 96.3%
No.200체(0.075mm) 통과율이 12% 초과
4 < PI < 7 (PI ≒ 4)
AASHTO 분류법에 의한 흙의 분류
군지수(GI)=(F-35)[0.2+0.005(LL-40)]+0.01(F-15)(PI-10)
F : No.200체 통과율(%), LL : 액성한계(%), PI :소성지수
GI = (14.7-35)*[0.2+0.005(28.45-40)]+0.01(14.7-15)*(3.94-10)
= -2.87 음수이므로 GI = 0
No.10체 = 83.7(%), No.40체 = 44.7(%), No.200체 = 14.7(%)
액성한계 = 28.45, 소성지수 = 3.94
고 찰
함수비 실험은 건조된 시료의 무게를 잴 때 시료가 얼마나 건조되었냐에 따라 무게가 달라 질 수 있다.
절대건조를 시키지 않고 무게를 재었을 경우 시료의 함수비의 값이 달라 질 수 있으며, 시료의 채취장소등 환경적 요인에 따라 오차가 발생 할 수 있을 것이다. 함수비 실험은 했던 실험중에서 제일 간단한 실험인 것 만큼 오차가 발생할 요인이 그렇게 많지 않은거 같다.
2. 흙의 비중실험은 증류수를 넣고 가열할 때에 기포를 제거하지 못하거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등의 요인으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가열시킨 비중병을 식혔을 때의 온도에 따라서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액성한계시험에서 황동접시에 시료를 홈파기 날로 갈라주는데, 이 때 수동적으로 가르기 때문에, 회전횟수에 요인을 끼쳐 알맞은 함수비가 나오지 않을 수 있으며, 시료가 붙었는지를 사람의 눈으로 확인을 하는 과정에서 정확히 식별되지 않아 근사하게 판별을 하는데 이때 타격횟수에 오차가 발생한다.
소성한계시험에서 국수모양의 시료를 직경3mm정도 균열이 생기게끔 만드는데 이 때 균열이 3mm정도 생겼다고해서 이 시료가 소성한계에 도달했다 할 수 없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시료가 머금고 있는 물의 양이 달라져 소성한계값의 오차가 발생한다.
4. 체가름시험에서 체들을 크기 순서에 맞게 조립을 하여 시료가 정확히 자기의 크기에 맞는 체에 걸리게끔 하기위해 물을 뿌려 손으로 비벼가며 시료를 통과시키는데, 이 때 물을 뿌려 시료를 내려도 정확하게 내려가지 않는 시료들이 있을것이며, 물의 소량이 체밖으로 빠져나오면서 무게에 손실을 주는등 체에 담긴 무게에 오차가 발생한다.
5. 비중계시험에서 발생하는 오차요인들을 생각해보면 메스실린더의 지름,구부의 부피를 측정할 때 눈대중으로 측정하여 미소한 오차가 발생하며, 메스실린더 속 혼탁액의 비중을 측정할때에도 비중계를 눈으로 보고 측정을 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수치를 읽을 수 없어 값을 읽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마다 측정을 하는데 처음 측정시간 때에 준비를 하거나 정해진시간대에 경과시간을 맞추지 못하여 측정하여 침강깊이에 오차를 발생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20.07.08
  • 저작시기2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3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