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주민에 대한 반감과 관련된 내용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용을 보류중인 예멘 난민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갖게 했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정치적인 부분, 남 녀 성별 부분 등에 있어서 다양한 갈등이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그러한 다양한 갈등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두가 동일하게 불안하단 이유로 수용을 반대한다.
하지만 우리는 알아야한다. 우리도 이 대한민국이라는 땅만 벗어나면 이주민이 된다는 것을. 그리고, 모든 한국인이 범죄자는 아니듯이 예멘, 이란 등의 국민들도 모두 범죄자는 아니라는 것을. 또한 그들도 우리와 똑같이 눈물을 흘리고 웃을 수 있는 사람으로서, 단지 행복과 자유를 찾고 싶어서 피난을 왔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우리에게 그들의 자유와 행복을 무너뜨릴 권리는 없다. 때문에 우리는 난민을 당연히 수용해야하며 또한 그들이 우리 문화에 동화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들을 통합하는 방향을 지향해야한다. 그리고 기존 한국인들에게 통합에 관한 교육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이 영화는 위와 같은 생각들을 갖게 만들어줬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 영화의 구성이 완벽했던 것은 아니다. 단 하나의 아쉬운점이 있다면, 마르잔이 빈에서 유학 중 쓰러지고 병원에 가서 피를 토하는 장면이다. 이 장면은 마르잔이 겪는 이주민으로서의 아픔을 조금 벗어나서 과장한 느낌이 든다. 다시 말해서 마르잔을 억지로 극한상황으로 밀어넣은 느낌이 들었다. 물론 내용상 나쁘지 않은 전개였지만 피를 토하는 장면보다는 열로 인해서 쓰러진 장면만을 충실하게 묘사하는게 좀 더 현실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우리는 알아야한다. 우리도 이 대한민국이라는 땅만 벗어나면 이주민이 된다는 것을. 그리고, 모든 한국인이 범죄자는 아니듯이 예멘, 이란 등의 국민들도 모두 범죄자는 아니라는 것을. 또한 그들도 우리와 똑같이 눈물을 흘리고 웃을 수 있는 사람으로서, 단지 행복과 자유를 찾고 싶어서 피난을 왔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우리에게 그들의 자유와 행복을 무너뜨릴 권리는 없다. 때문에 우리는 난민을 당연히 수용해야하며 또한 그들이 우리 문화에 동화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들을 통합하는 방향을 지향해야한다. 그리고 기존 한국인들에게 통합에 관한 교육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이 영화는 위와 같은 생각들을 갖게 만들어줬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 영화의 구성이 완벽했던 것은 아니다. 단 하나의 아쉬운점이 있다면, 마르잔이 빈에서 유학 중 쓰러지고 병원에 가서 피를 토하는 장면이다. 이 장면은 마르잔이 겪는 이주민으로서의 아픔을 조금 벗어나서 과장한 느낌이 든다. 다시 말해서 마르잔을 억지로 극한상황으로 밀어넣은 느낌이 들었다. 물론 내용상 나쁘지 않은 전개였지만 피를 토하는 장면보다는 열로 인해서 쓰러진 장면만을 충실하게 묘사하는게 좀 더 현실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