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국가에서의 한국문화 홍보 전략 보고서 - Kpop을 중심으로, 맥도날드 사례를 통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타국가에서의 한국문화 홍보 전략 보고서 - Kpop을 중심으로, 맥도날드 사례를 통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문화가 해외 다문화사회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

2. 내가 기획자라면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 것인가?

3. 해외 다문화사회에서 한국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아이디어

4. 맥도날드를 통해 보는 세계화와 지구 지역화 그리고 한국문화에의 적용

5. SWOT 분석

6. SWOT 전략

본문내용

확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해외 다문화사회에서 한국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아이디어로서의 첫 시작은 케이팝에서 시작 해야한다한다. 왜냐하면, 케이팝은 한국이라는 국가에서 연상되는 가장 큰 부분이기 때문이다. 케이팝이 다문화사회에서 주류문화로 편입되고 나면 다른 한국의 문화들도 따라서 편입될 수 있을 것이다. 마치 일본에서 케이팝의 흥행이 한국 음식, 화장품등의 흥행을 낳았던 것처럼 말이다.
(하단에 케이팝이 다른 한국의 문화 흥행을 낳았단 주장과 관련된 자료, 케이팝의 한류 유형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는 것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출처: 이투데이, 기정아, 김다애 기자, [인포그래픽] 혐한이요? 10대가 이끄는 日신한류 “K-뷰티 사랑해”, 2018.11-20
2014년 해외한류 실태조사, 2015 (문화체육관광부)
3. 해외 다문화사회에서 한국 인지도 높일 수 있는 아이디어
그렇다면 케이팝이 다문화 사회에서 인지도를 얻는 것이 중요한데 그것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그것은 한국 기획사의 해외 진출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한국 기획사의 해외 진출 이후에 그 기획사에서 양성한 그룹들의 멤버를 무조건 한국인으로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해당 국가의 사람들로 구성해도 된다고 생각한다.
이 말은 즉, 케이팝이 ‘한국인’에 무조건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왜냐하면 케이팝은 말 그대로 문화 자체이기 때문이다. 한국인이 아니어도 케이팝을 결정짓는 요소들은 충분하다. 그 노래의 장르, 형식부터 시작하여 한국식 헤어, 한국식 스타일링, 한국식 칼군무, 그룹 등이 그 요소이다. 이러한 요소만으로도 충분히 케이팝을 대중들에게 인식 시킬 수 있고 케이팝=한국인이라는 공식의 틀을 깸으로서 케이팝을 좀 더 친숙하게 느껴 케이팝이 다문화 사회의 주류문화로 편입될 수 있을 것이다. 마치, 해외 패스트푸드 기업인 맥도날드, KFC 등이 우리나라에 진출한 결과로 패스트푸드가 오늘날 한국의 식문화의 주된 위치를 차지하게 된 것처럼 말이다. 오늘날 우리는 패스트푸드는 미국인들만 먹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어느 나라에서든지 누구나 보편적으로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고 생각한다. 케이팝 역시 케이팝 기획사의 해외 진출을 통해서 케이팝이라는 장르가 누구나 보편적으로 즐길 수 있는 장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맥도날드를 통해 보는 세계화와 지구 지역화 그리고 케이팝의 적용 김수자, 송태현, 장원호, 송정은, 글로컬 문화의 개념과 한류, dbpia, 2010. p.74
맥도날드는 현재 세계 120여개 나라에 진출하여 31,000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는 맥도날드 사훈에 따르면 “사고는 글로벌하게 행동은 지역적으로(Think globally, Act locally)”라고 한다. 이 말은 즉, 맥도날드의 세계화는 세계화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지역화 (현지 국가의 기업풍토를 존중하는 경영방식)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도날드의 목표는 가능한 한 지역문화의 부분이 되는 것”이라고 말하며 맥도날드가 각 지역의 조건, 현실, 입맛에 맞추어 나가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있다.
맥도날드의 성공요인은 여기에 있다. 바로, 세계화와 지역화의 병행이다. 어떤 국가든지 잘 알지 못한 음식을 파는 매장이 불쑥 등장하면 당장은 잠깐의 호기심은 가질지 모르겠지만 다시 그 나라의 고유 음식으로 돌아가기 마련이다. 하지만 맥도날드는 지역화를 통해서 그 국가의 고유 음식을 팔며 지역화를 꾀했다. 이를테면 우리나라에 불고기버거가 들어선 것 처럼 말이다.
케이팝 역시 이와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한다. 맥도날드가 전 세계로 발을 뻗을 수 있었던 요인은 ‘외국 음식을 파는 식당’ 이라는 특수성으로 야기된 신비주의와 사람들의 호기심 촉발을 기반으로, 그 국가의 현지 입맛을 존중하는 현지화(지역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는 이 레포트의 1번에서 말했었던 케이팝의 현지화, 특수화전략의 융합과 일맥상통함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케이팝. 더 이르러서 한국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3번에서 주지했던 바와 같이 해외에 자본을 진출하는 것이다. 마치 맥도날드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한국 기획사가 해외진출을 함으로서 도모할 수 있는 현지화 전략과 특수화 전략은 무엇일까?
현지화 전략으로는 해당 국가의 사람들로 그룹 멤버를 구성하는 점이다. 특수화 전략은 한국의 특이한 음악 구성과 한국식 스타일링이 있을 수 있다.
5. SWOT 분석 (2번+3번)
Strength
①다국적 멤버를 통한 다양한 국가 팬 층 다수 확보
②특수화를 통한 케이팝의 고급화
③케이팝의 세계화로 다른 한국 문화의 인지도도 상승 중인 현상황
Weakness
①다국가 동시 한국 아이돌 양성 프로그램의 낮은 브랜딩
②아직까지는 낮은 편에 속하는 케이팝의 인기
Opportunuty
①BTS와 블랙핑크를 통해 상승하는 중인 케이팝의 인기
②점점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동향
③유튜브 등의 전 세계 연결 플랫폼의 활성화
Threat
①몇몇 국가의 문화 수입 제한 가능 (eg. 중국)
②다국적 그룹이란 특수성으로 인한 멤버들 의사소통 문제 가능
③다국적 그룹 내 멤버들 간의 불신으로 인한 무단이탈이 해당 국가들 간의 불신으로 확장 가능
6. SWOT 전략 (2번+3번)
Strength
Opportunuty
①유튜브를 통해 케이팝, 다른 한국 문화 홍보 증진
②케이팝과 다른 한국 문화에 그 새로운 면을 부각시키고 일부 추가시킴
Weakness
Opportunuty
①유튜브를 통해 프로그램의 홍보 증진
②프로그램의 새로움을 부각시킴
③BTS와 블랙핑크의 기존 팬들을 활용하여 케이팝 홍보와 인기 증진시킴 (eg. 트위터에 태그하는 행위를 통해서)
Strength
Threat
①중국 국적을 가진 멤버들 다수 영입
②중국 연예기획사와 계약 체결
③문화 제한으로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케이팝, 한국 문화만의 판타지로 고급화 함
④멤버들 간 불신이 생겨도 내색하지 않게 하고, 만약의 무단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약을 엄격하게 체결함
⑤통역사를 둬서 멤버들 간 의사소통 해결
Weakness
Threat
①다국적 그룹 결성을 통해 케이팝의 인기 증진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0.07.17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3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