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방통대 교육평가 기말고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0년 방통대 교육평가 기말고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공통문제>
1. 만 3세 유아의 ‘또래관계측정도구’를 개발하려고 하는데 이 측정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지(2번으로 감) 혹은 개발할 수 없는지(3번으로 감)를 결정하고, 그렇게 결정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10점)
2. ①어떤 형식의 검사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15점)

<개별문제>(학번 끝자리 숫자에 따른 문제)
A형(학번 끝자리 1,2,3) - 평정척도의 오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20점)

본문내용

일반적으로 아는 사람에 대해서는 실제보다 높게 점수를 주는 경향이 있으며, 또는 타인을 더욱 관대하게 평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말한다.
둘째, 중심화 경향의 오류이다. 이것은 평정을 할 때 극단적으로 판단하기보다 중간수준 혹은 보통수준의 정도로 판단하는 경향을 말한다.
셋째, 후광효과이다. 후광효과는 1920년에 손다이크가 밝힌 개념으로, 평정에 다른 정보가 영향을 미치는 경우 평정자가 이에 영향을 받아 평정하게 됨을 말한다. 흔히 관찰대상을 평정할 때 주위의 어떤 요소가 작용하여 그 행동의 정도를 평정하는 것으로, 관찰대상에 대한 사전 정보나 호감 등이 평정을 과대평정 혹은 과소평정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넷째, 논리의 오류이다. 논리적으로 서로 관련이 있어 보이는 항목을 서로 비슷하게 평정하는 경향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교성’과 ‘사회성’을 논리적으로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평정자는 이 문항들에 대해 유사하게 평정하게 된다.
다섯째, 비교의 오류이다. 이 개념은 길포드가 발전시킨 것으로, 평정자가 평정할 사람을 어떻게 지각하고 그 사람이 지닌 특성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자신과 유사하게 또는 정 반대로 평정하는 경향이다.
여섯째, 근접성의 오류이다. 이것은 평정자들이 평정척도상의 문항들이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가까이 배치되어 있을 때 이 항목들에 대해 비슷하게 평정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②이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관찰자가 평정척도법을 이용할 때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점을 매기기 전에 그 누구에게도 유아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지 않는다. 그리고 평점을 매기기 전에 모든 항목을 다 읽어 보고, 한 가지 특성에 대하여 모든 대상자를 평정한 후에 다음 특성을 평정하도록 한다. 평정을 매길 때 유아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하고, 가능하면 평정할 대상이 모르는 상태에서 평정하도록 한다. 평정척도 양식의 마지막인 유아의 발달에 요약을 간단하게 적어 놓고, 관찰과 평정상황을 주의 깊게 선택한다. 평정의 타당도는 관찰 시간과 관찰 장면과 상황의 수에 따라 결정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숙련된 관찰자나 교사에 의해 사용되어야한다. 또한 평정자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 객관성을 유지하려는 태도를 훈련할 필요가 있고, 등급의 판단에 있어 관찰자의 편견이나 여러 가지 다른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관찰자의 엄정한 태도가 요구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7.20
  • 저작시기2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4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