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임상실습 뇌수막염 스터디케이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임상실습 뇌수막염 스터디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정하였다.
(통증이 줄어든 것 같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단기목표-달성>
12/18 대상자는 진통제를 먹고 있어서 두통이 심하지 않고 줄어들었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장기목표-달성>
12/20 퇴원 시에 통증 평가시 1점으로 퇴원하였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1. 통증의 양상 및 빈도를 q4hr 사정한다.
2. 뇌압상승 증상을 사정한다.
3.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4. 이완요법을 사용하도록 교육하고 격려한다.
5. 대상자가 안정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절 해 준다.
6.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여 효과를 사정한다.
7. 필요시 처방된 약물로 뇌부종을 감소시킴으로서 뇌압이 감소시킨다.
1. 통증의 양상, 정도, 빈도를 사정한다.
(성인간호학 226p)
2. 뇌압 상승은 두통을 유발하므로 사정하여 적절한 간호를 시행한다.
(전남대학교병원 학생실습메뉴얼 8동 6층병동)
3. 활력징후를 사정하여 통증이 일어날 시 비정상적인 소견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를 시행할 수 있다.
(전남대학교병원 학생실습메뉴얼 8동 6층병동)
4. 기타 통증 관리 방법으로는 이완요법, 마사지, 냉 요법, 음악감상, 티비 보기 등의 전환요법이 있다.
(성인간호학 233p)
5. 통증이 있는 대상자는 대개 주위환경이 조용할 때 더욱 편안하게 느낀다.
(기본간호학 2 481p)
6. 통증관리를 위한 약물에는 아편약물, 비아편유사 약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보조진통제를 쓴다.
(기본간호학 495p)
7. 뇌압 상승은 두통을 유발하므로 사정하여 적절한 간호를 시행한다.
(전남대학교병원 학생실습메뉴얼 8동 6층병동)
간호진단 : 뇌압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 뇌 조직 관류의 위험성
사정자료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자료
-“머리가 계속 아프고 어지러워요”
-“아침이면 더 지끈거려요.”
-“힘도 없고...”
객관적자료
-M/S : Alert
-지남력(시간, 장소, 사람) 있음
-12/9 R/O viral meningitis 진단
-하루 종일 침대에 누워 두통을 호소하며 인상을 찌푸린 모습을 종종 보임
-dizziness 있음
-피부가 창백하고 차가움
-Creatinine 0.4 감소소견
<정상치0.50-1.40(mg/dL)>
-v/s
날짜
시간
BP(mmHg)
T(℃)
P(회/분)
R(회/분)
12/16
18:00
120/50
8.8▲
72
20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두개내압이 감소되어 관류의 정상화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2일 이내에 두개내압 상승을 예방하는 체위와 생활습관을 2가지 이상 말하고 시행한다.
M/S : Alert하고 지남력 있다.
사정 인상을 찌푸리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ICP의 징후인 두통도 있었고 ICP상승 활동(목의 과도한 굴곡, 회전, 발사바법)을 피하도록 교육하였고 베개를 낮게 하며 목의 과도한 굴곡을 피하는 대상자를 관찰하였다.
SaO₂가 95~100%로 측정되었다.
병실의 문을 닫아 로비의 소음을 줄여주었고 옆 환자에게 티비 시청하실 때 소리를 줄여주실 것을 부탁드렸다.
침대 머리를 30도 올려드려 정맥혈의 귀환 촉진을 수행하였다.
<단기목표-달성>
12/18 대상자는 목을 과하게 굴곡시키면 좋지않고 침상을 조금 올려주면 뇌 조직관류에 좋다고 말로 표현하고 낮은베개를 사용하는 등 시행하였다.
<장기목표-부분달성>
12/20 퇴원 시에 두 개내압을 측정하지 못하였지만 의식과 지남력, 두통의 호전등을 보아 뇌 조직관류는 정상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1. M/S와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2. ICP의 징후를 사정하고 ICP상승 활동을 피하도록 교육하고 실행을 관찰한다.
3. SaO₂를 유지하고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4. 안정적이고 조용한 환경을 유지한다.
5. 환자의 머리는 바르게 고정하고 30도 정도 상승시킨다.
1. 의식수준의 저하는 두 개내 혈압의 증가를
의미하며 뇌출혈이나 뇌혈관연축의 지표가 된다.
(전남대학교병원 학생실습메뉴얼 8동 6층병동)
2. ICP 상승 증상인 의식수준의 저하, 서맥,
혈압상승 , 동공의 확대, 호흡의 변화 등을
관찰.
3. 적절한 산소화를 위함이다.
(전남대학교병원 학생실습메뉴얼 8동 6층병동)
4. 안정적이고 조용한 환경은 두개내압의
증가를 예방한다.
(전남대학교병원 학생실습메뉴얼 8동 6층병동)
5. 경부의 과도한 굴곡이나 신전은
정맥혈의 배액을 방해하며 경정맥압과
두개내압 높일 수 있으므로 피하고 두부의
상승은 정맥혈의 귀환을 촉진시킨다.
(전남대학교병원 학생실습메뉴얼 8동 6층병동)
Ⅲ. 결론
본 연구는 전남대병원 8동6층에서 김oo님을 대상으로 2014년 12월 15일부터 12월 20일까지 R/O viral meningitis을 EMR을 통한 검사소견, 의학적 진단, 간호기록과 환자와 보호자와의 면담, 대상자 관찰, 참고문헌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사정하고 고체온/ 통증/ 비효율적 뇌 조직 관류의 위험성/ 감염위험성/ 보행장애/ 낙상위험성/ 불안/ 지식부족/을 간호진단으로 내리고 그중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질병과 관련된 통증/ 뇌압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 뇌 조직 관류의 위험성/ 세가지를 간호 중재에 따른 수행을 통해 간호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고
ID consult 결과 TB meningitis 보다는 viral에 Bacteremia 동반소견보고 Antibiotics 사용하였고 현재 증상 호전된 상태로 퇴원 후 외래 관찰해 보기로 하였다.
Ⅳ.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Ⅰ(수문사), 김금순, 최경옥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Ⅱ(수문사), 김금순, 최경옥 외 공저
기본간호학 Ⅰ(현문사), 손정태, 장은희, 하나선, 이현주
기본간호학 Ⅱ(현문사), 손정태, 장은희, 하나선, 이현주
간호과정(현문사), 최순희 외 공저
전남대학교병원 EMR
·http://www.naver.com/
전남대학교병원 학생실습메뉴얼 8동 6층병동
[네이버 지식백과] 뇌수막염 [mening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타나민주17.5mg/5ml [Tanamin Injection 17.5mg/5ml]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 가격7,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0.08.06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44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