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케이스 copd 만성폐쇄성 폐질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 케이스 copd 만성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합병증
5. 진단검사
6. 치료
7. 노인을 위한 고려

Ⅱ. Case Study
1. 간호력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4. 소감

본문내용

호흡곤란, 지각장애, 미각질환, 혼란, 지남력장애, 수면질환, 떨림, 현기증, 졸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IMICIL KIT INJ 250mg
[약리작용]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만성호흡기질환의 2차감염, 폐렴 등의 치료
[용법 및 용량]
성인 0.5-1/g/day를 2-3회 분할하여 점적정주.
[부작용]
구역,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감량, 휴약을 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Privituss Suspension
[약리작용]
기침의 완화
[용법 및 용량]
1일 3회복용하며 1회 5㎖ 복용
[부작용]
졸음, 구역, 구갈, 식욕부진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간호진단
우선순위
간호진단
발생날짜
해결날짜
#1
질병 및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3/18
3/20
#2
점액생산 증가, 비효율적 기침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3/18
3/20
#3
고령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3/18
3/18
#4
만성질환과 관련된 불안
3/18
~
#5
폐기능의 저하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3/18
~
#6
호흡운동의 지식부족으로 인한 호흡곤란
3/18
3/18
#7
기동성 제한으로 인한 자가 간호 결핍
3/18
~
#8
면역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3/18
~
#9
보호자 부재로 인한 불안
3/18
3/18
#10
입원과 관련된 불안
3/18
3/18
3. 간호과정
사정
주관적 자료
“숨 쉬기 힘드세요?”라는 물음에 ‘끄덕 끄덕’
객관적 자료
숨차보이는 모습
3/18 주증상 Dyspnea로 입원하심.
ABGA 결과
3/18 O2Sat : 90▼
3/18 입원시 활력징후 측정 결과 분당 24 이상으로 빈호흡 나타남.
진단 #1 질병 및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목표
장-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정상범위 내 ABGA 결과(O2 SAT 95~100%)를 유지한다.
단- 48시간 내로 대상자의 호흡수와 SaO2 수치가 정상범위 내를 나타낸다.
(정상 호흡수 : 분당 12~20회 , 정상 SPO2 : 95%~100%)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Vital sign 3시간 마다 측정한다.
[근거]→ 빈맥, 빈호흡, 등을 사정하여 저산소증을 감시할 수 있다.
심장 리듬을 모니터 한다.
→ 빠른 맥박, 심전도 율동장애, 혈압의 변화는 전신 저산소혈증과
심장기능 상실의 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필요시 또는 routine으로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 진해거담제, 기관지 확장제, COPD 관련 치료제 등으로 증상을 조절하여
호흡을 용이하도록 도울 수 있다.
호흡수와 깊이를 사정하고 부속근육 사용, 얼굴 빨개짐, 땀흘림, 말하기 어려움
등의 증상을 확인한다.
→ 호흡장애 정도와 질병 과정의 만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기 때문이다.
호흡이 편안한 체위나 자세를 취하도록 돕고 머리 쪽을 상승시킨다.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한다.
→ 산소 공급은 앉은 자세에서 증진되고, 기침과 심호흡은 폐 확장을 돕는다.
호흡운동은 기도 허탈과 호흡곤란을 감소시킨다.
간호 수행
Vital sign 3시간 마다 측정하였으며, abnormal 할 경우 선생님께 보고함.
심장리듬을 모니터 하였다.
필요시 또는 routine으로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하고 투약에 대한 교육을 함.
( 항생제, 진해거담제,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제, 부신호르몬제 등. )
호흡수와 깊이를 사정하고 부속근육 사용, 얼굴 빨개짐, 말하기 어려움 등의 증상을 확인,
땀흘림, 기록하였음
호흡이 편안한 체위나 자세를 취하도록 돕고 머리 쪽을 상승시켜주었음.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하였음.
평가
ABGA 결과
O2Sat : : 3/18 → 90% 에서
3/19 → 93%
3/20 → 95%로 점차 개선됨.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황색의 객담 배출, 객담량의 증가
호흡 시 그르렁 그르렁 비정상적인 호흡음.
진단 #2 점액생산 증가, 비효율적 기침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목표
장- 대상자는 정상 호흡음과 기도 개방성을 유지한다.
단- 분비물의 적절한 관리로 대상자는 48시간 내로 호흡이 편안해짐을 표현한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호흡음을 청진하여 비정상 호흡음을 확인한다.
→ 기관지 연축으로 기도 폐쇄가 발생하면 비정상 호흡음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환자에게 호흡이 편안한 체위를 취해준다.
(침대 상부 올려주기, 테이블에 팔을 올리고 상체를 앞으로 기대기)
→ 침대 상부를 올리면 중력 작용으로 호흡이 용이해지고 팔과 다리 지지와 테이블에
기대는 것은 근육의 피로를 감소시키며 가슴의 팽창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기침과 가래 양상을 확인하고 효율적인 기침을 하도록 지지한다.
→ 기침은 똑바로 앉은 자세 또는 가슴 두드리기 후에 머리가 아래로 향하게 되면 효율적이다.
가래 배출을 돕고 필요시 흡인을 시행한다.
→ 진하고 점도가 높은 가래는 가스 교환장애의 주원인이다.
기침이 비효율적이면 깊은 기도까지의 흡인이 필요하다.
식간에 (따뜻한 물)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 가래의 점성을 감소시키고 자가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따뜻한 물은
기관지 연축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식간에 수분섭취 권장하는 이유는
식사 중에 수분을 섭취하면 위의 팽만이 증가되고 가로막을 누르기 때문이다.
간호 수행
호흡음을 청진하여 비정상 호흡음을 확인하였다.
환자에게 편안한 체위에 대해 교육하였으며 시행하였다.
처방된 치료제를 투여하였다.
(아드레날린 작용제, 기관지확장제,항염증제,항생제,아미노필린 등).
가습과 분무기를 이용한 분무요법을 실시하였다.
필요할때마다 흡인을 시행하였다.
평가
3/20 산소요법, 흡인, 약물 투여 결과 대상자는 “숨 쉬기가 좀 편해졌어요?”라는 질문에 고개를 끄덕이며 편해짐을 표현하였다.
4. 소감
오랜만에 성인 실습을 해서 많은 점들이 어색하고 서툴렀습니다. 하지만 날이 갈수록 간호가 손에 익어가는 제 모습이 뿌듯하였습니다. 케이스 대상자를 잡고 공부를 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앞으로도 대상자들을 간호하고 많은 케이스들을 연구하여 남은 일주일동안 많은 것을 얻어가는 실습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11.30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17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