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실 케이스스터디(황달,미숙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2. phototherapy를 16일부터 현재까지 사용.
3. phototherapy Tx schedule : 9am~11am, 12MD~2pm, 3pm~5pm, 6pm~8pm, 9pm~11pm, 12pm~2am, 3am~5am, 6am~8am
4. 치료 시 안대착용으로 인한 얼굴의 발진이 있다.
5. 피부의 소양증으로 인해 긁으려고 한다.
간호진단
황달과 관련된 Phototherapy로 인한 피부손상의 위험성
간호목표
1. 대상자의 피부가 정상을 유지한다.
2. Phototherapy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3. V/S이 정상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피부변화를 자주 사정한다.
2. 피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다.
3. 피부간호를 시행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간호수행
1. ① 수시로 대상자의 피부를 확인한다.
② 손으로 눌러보나 황달의 정도를 확인한다.
③ 체온을 2시간 마다 측정하여 체온의 변화를 확인한다.
2. ① 소양감으로 인해 손으로 긁지 않도록 한다.
② 손을 헝겊으로 감아주어 피부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한다.
③ 1~2시간 간격으로 자세를 변화시킨다.
④ 한곳에만 집중적으로 빛이 쬐이지 않도록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⑤ 피부마찰을 최소화 하고 테이프의 사용을 절제한다.
⑥ 빛과의 거리를 15~20cm로 유지한다.
⑦ 빛의 조도를 적절히 유지한다.(병원마다 조도는 다르나 이 병원의 경우 5~6)
3. ①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며, 분비물이나 배설물이 없도록 한다.
② 미지근한 물로 목욕을 해주고, 알칼리성 비누의 사용을 피한다.
이론적 근거
황달의 증상으로 대표적인 것이 소양증이다. 몸을 긁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청결하게 해주고 손을 헝겊같은 것으로 감싸주어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황달치료로서 Phototherapy를 하는데 빛이 간접 빌리루빈을 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시켜 빌리루빈을 몸 밖으로 배출시킨다.
너무 높은 빛을 쬐이게 되면 열상이나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적당한 거리를 두고 적당한 빛의 세기로 치료해야 한다.
평가
1. 정상상태의 피부를 유지했다.
2. 피부손상으로 인한 감염이 생기지 않았다.
3. Phototherapy로 인한 고체온이 되지 않았다.
사정
주관적 자료
none
객관적 자료
1. 출생시 체중이 1.64kg으로 LBW이고, 현재 체중이 1.58kg이다.
※ 출생이후 체중이 주는 것은 정상반응이나, 저체중 출생아이므로 영양에 대한 요구가 주목된다.
2. 수유 후 소량의 regurgitation이 있다.
3. 수액과 PO를 포함한 하루 평균 intake는 200cc output 소변 7회, 대변 1회 미만.
4. T.Protein 5.0g/dl (정상: 6.5~8.3g/dl), Albumin 3.6g/dl (3.8~5.3g/dl)
Glucose 42mg/dl (70~120mg/dl), Mg 1.8mg/dl (1.9~2.4mg/dl)
간호진단
미성숙으로 인한 음식물의 섭취, 소화 또는 흡수 불능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간호목표
1환아는 지속적으로 체중이 증가한다.
2환아는 수유 후 잘 소화시킨다.
3환아는 정해진 수유량을 잘 먹는다.
간호계획
1. 매일 대상자의 성장정도를 사정한다.
2. 영양섭취정도를 확인한다.
3. Feeding 후 대상자의 변화를 확인한다.
4. 대상자에게 적절한 Feeding을 한다.
5.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준다.
간호수행
1. ① 대상자의 체중과 신장을 매일 측정한다.
② 빠는 능력과 삼키는 능력을 확인한다.
2. ① 하루에 세 번 섭취량과 배설량을 확인한다.
② 그때 그때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기록한다.
③ 매일 혈당치 및 전해질 검사를 시행한다.
3. ① Feeding을 한후에 오심이나 구토증세를 확인한다.
② V/S의 변화, 표정의 변화등을 관찰한다.
4. ① 대상자의 수준에 맞게 천천히 Feeding 한다.
② feeding 시 대상자의 욕구정도를 관찰하면서 한다.
④ 소량씩 자주 feeding 한다.
5. ① 종합비타민이나 무기질을 공급한다.
②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 정맥영양을 한다.
이론적 근거
미숙아의 위장관은 여러 면에서 정상아와 구별된다. 위장관이 움직임의 감소로 복부가 팽만되고 대변횟수가 적다. 식도의 기능은 흡철 및 연하반사와 같이 발달하나 하식도 괄약근의 발달은 체중보다는 교정연령과 비례하며, 이 때문에 미숙아에서는 위-식도 역류가 많이 나타난다.
정상아가 쉽게 소화시키는 지방도 미숙아는 잘 소화하지 못한다. 미숙아는 담즙산과 lipase가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림프관을 통한 지방질의 흡수가 적다.
평가
1. 대상자는 체중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2. 대상자의 영양섭취가 대사요구를 충족한다.
3. feeding후 오심이나 구토증세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정
주관적 자료
none
객관적 자료
1. WBC 3.8k/ul (4~10k/ul), RBC 3.81M/ul (4.4~5.6M/ul)
Lympho 67.0% (17~45%)
2. 침습적 시술에의 노출
3.미숙아로서의 부적절한 면역획득
간호진단
부적절한 면역획득, 외부환경노출로 인한 감염의 위험성
간호목표
대상자에게 감염이 생기지 않는다
간호계획
1. 감염원으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한다.
2. 감염의 증상을 사정한다.
3. 적절한 영양섭취를 한다.
4. 청결한 환경을 유지한다.
간호수행
1. ① 소독액으로 철저히 손세척을 한다.
② 시술 수행 시 철저한 무균법을 적용한다.
③ 가족이나 병원 직원의 철저한 손씻기에 대해 설명하고 교육한다.
2. ① 4시간 간격으로 V/S을 체크한다.
② 매일 WBC수치를 확인한다.
3. ① 수분을 충분히 제공한다.
②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고 확인한다.
③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4. 주변 환경을 깨끗이 소독하고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였다.
이론적 근거
미숙아는 정상아보다 면역력이 약하다. 엄마로부터 태반을 통해 받아야 할 여러 면역성을 다 받지 못하고 일찍 출생하기 때문이다. 특히 28주 이전에 출생한 경우는 항체가 태아에게 넘어오지 않은 상태이고 또한 백혈구 기능의 미숙함으로 인하여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평가
환아에게서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02.04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7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