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재면사업
II. 은면사업
III. 4궁의 보호
IV. 행려의 보호
V. 납속보관사업
VI. 구빈을 위한 외자 도입
* 참고문헌
II. 은면사업
III. 4궁의 보호
IV. 행려의 보호
V. 납속보관사업
VI. 구빈을 위한 외자 도입
*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종 15년(1274)에 원나라 세조는 고려조정에 기근이 극심하였기에 일본 정벌의 목적으로 동경(경주)에 비축하여 두었던 군량미 2만 석으로 기민을 진휼케 했던 것이다. 그 당시의 사정은 원의 세조가 고려 조정과 연합하여 일본을 정벌하려 했기 때문에 고려는 과분한 원군을 보내기 위한 수만의 농민들을 결발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농민들은 이중 삼중으로 수탈을 당하게 되고 병역과 부역으로 농사의 시기를 잃게 되어 결국 극빈을 초래하게 되니 원나라는 회유책의 일환으로 군량을 풀어서까지 구휼하지 않을 수 없는 사정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후 충렬왕 6년(1280)에 고려 조정은 군량미 4만 석을 발하여 전라도 기민을 진휼하는 동시에 김부윤 장군을 원의 세조에 보내어 군량미 2만 석을 차용하고 경상도와 전라도의 기민을 진휼케 하였고 가율에 상환하였다.
또한 충렬왕 18년(1292)에 원나라는 서흥상 등에게 10만 석을 싣고 가 고려의 기민을 진휼케 하였으나 대부분 풍랑을 만나 잃어버리고 겨우 4천 2백석을 상륙시켜 매 가구 1석씩 배급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런가 하면 동 20년에 원나라는 일본을 정벌키 위하여 강화도에 비축해 두었던 10만석 중 5만 석으로 진휼토록 하였던 것이다. 고려는 백성들의 빈곤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수차에 걸쳐 원나라로부터 대량의 곡식을 하사받거나 또는 차용까지 하여 진휼 사업에 최선을 다하였으나 요구호자인 기근자보다 오히려 상층계급에 우선권을 주었던 감이 있다. 물론 이 당시 원나라의 원조는 국가의 우의적 관계에서보다는 정략적인 의미에서 이루어졌던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따라서 농민들은 이중 삼중으로 수탈을 당하게 되고 병역과 부역으로 농사의 시기를 잃게 되어 결국 극빈을 초래하게 되니 원나라는 회유책의 일환으로 군량을 풀어서까지 구휼하지 않을 수 없는 사정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후 충렬왕 6년(1280)에 고려 조정은 군량미 4만 석을 발하여 전라도 기민을 진휼하는 동시에 김부윤 장군을 원의 세조에 보내어 군량미 2만 석을 차용하고 경상도와 전라도의 기민을 진휼케 하였고 가율에 상환하였다.
또한 충렬왕 18년(1292)에 원나라는 서흥상 등에게 10만 석을 싣고 가 고려의 기민을 진휼케 하였으나 대부분 풍랑을 만나 잃어버리고 겨우 4천 2백석을 상륙시켜 매 가구 1석씩 배급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런가 하면 동 20년에 원나라는 일본을 정벌키 위하여 강화도에 비축해 두었던 10만석 중 5만 석으로 진휼토록 하였던 것이다. 고려는 백성들의 빈곤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수차에 걸쳐 원나라로부터 대량의 곡식을 하사받거나 또는 차용까지 하여 진휼 사업에 최선을 다하였으나 요구호자인 기근자보다 오히려 상층계급에 우선권을 주었던 감이 있다. 물론 이 당시 원나라의 원조는 국가의 우의적 관계에서보다는 정략적인 의미에서 이루어졌던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