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유방염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 사정, 계획, 진단, 수행, 평가
Ⅲ 결론
- 참고문헌 -
- 유방염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 사정, 계획, 진단, 수행, 평가
Ⅲ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4. 약물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에 따른 처치를 하기 위함이다
5. 통증을 덜 느끼는 체위를 유지시키고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준다
→통증감소와 합병증 방지를 위한 것이며 각 신체부위에 긴장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교육적계획
→통증에 대한 대상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수술후 처치, 간호에 협조를 하게 하기 위함이다.
6. 통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한다
수행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측정하였고 특이사항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2. 대상자의 통증 수준을 확인하고 통증기록지를 작성하였다
3.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체위변경을 도우며 통증을 느끼는 절개 및 배액 부위가 눌려 아프지 않도록 베개로 지지해 주었다.
4. 통증을 느낄 때 NRS로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고 통증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했다
-통증을 느낄 때 가장 심한정도 7점, 평균 5점
5. 통증을 호소할 때 PRN 처방된 트로돈 1amp을 IM 했다
6. 약 투여후 30분 후 다시 통증을 사정한 결과 NRS 2점으로 가라앉음을 관찰하였다.
7. 약투여후 부작용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지 관찰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13일부터 17일 전실 할 때 까지 드레싱 직후의 약한 통증호소 이외에
NRS 4점이상의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날짜: 2015년 8월 10일~17일
간호진단 3) 절개 및 배액 부위의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None
객관적 자료
- IV line, C-line, Foley catheter, 배액관을 삽입하고 있음
- 검사결과 감염 및 염증발생의 가능성이 있음
검사항목
정상치
(단위포함)
검사결과1
(8월11일)
검사결과2
(8월13일)
검사결과3
(8월17일)
WBC
4-10 k/ul
35.61
12.93
6.51
N-seg
30-76 %
94.1
87.8
72.2
Lymphocyte
16-49
4.4
9.7
21.2
Monocyte
4-13
1.4
2.1
5.5
CRP
0.5-1.0 mg/dl
9.45
5.33
1.23
배액관부위 에 잦은 oozzing 나타남 (거즈와 시트가 젖을 정도)
간호
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절개 및 배액부분에 감염이 나타나지 않는다
계획
1. 감염의 양상을 사정한다.
2. 모든 간호처치 전후로 손을 씻고 필요시 장갑을 착용한다.
3.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4. 침습적 시술 부위를 무균적으로 관리한다.
5. catheter 삽입 부위의 주기적인 드레싱 및 교환일을 지킨다.
6. catheter 삽입부위를 관찰하고 삼출물 유무를 확인한다.
7. 배액관 삽입 부위를 1일 2회 드레싱 한다.
8.감염의 징후와 증상이 나타날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며 예방적 처방된 항생제를 투약 후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사정한다.
8. lab검사 수치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침습적 부위의 발적, 발열, 통증, 부종의 증상을 사정함으로써 미연에 감염을 방지한다.
→의료행위로부터 교차감염이 일어날 수 있고, 손에는 많은 미생물들이 자랄 수 있으므로 손 씻기는 가장 기본적인 감염 예방법 중 하나이다.
→v/s은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본지표이다. 체온의 상승은 상처 감염 발병의 신호이다.
→catheter를 통한 채혈이나, 수액의 주입, 세트의 교환과정 등과 같은 catheter 조작과정에서 여러 박테리아가 내관을 타고 인체로 유입되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IV route는 3마다 드레싱을 해줌으로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IV 삽입부위를 체위변경이나 처치시 수시로 관찰하여 미리 발견하여 처치할수 있도록 한다
→WBC, lymphocyte, CPR 등은 감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수행
- 모든 간호처치 전후로 손소독제로 손을 씻고 필요시 장갑을 착용하였다.
- 매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 및 확인하였다.
- 환자의 IV 부분에 발적 부종 등이있는지 모든 간호 및 처치시 확인하였다
- 환자의 배액관 부분을 1일 2회 드레싱 하였고 oozzing이 심할 시 surgical guz를 수시로 갈아 주었다.
- 예방적으로 처방된 항생제 훌그램과 인반즈를 투약하였다
- 예방적 항생제 투약 후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확인하였다
- lab검사 수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감염 및 염증 징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검사항목
정상치
(단위포함)
검사결과1
(8월11일)
검사결과2
(8월13일)
검사결과3
(8월17일)
WBC
4-10 k/ul
35.61
12.93
6.51
N-seg
30-76 %
94.1
87.8
72.2
Lymphocyte
16-49
4.4
9.7
21.2
Monocyte
4-13
1.4
2.1
5.5
CRP
0.5-1.0 mg/dl
9.45
5.33
1.23
- catheter 부위의 주기적인 드레싱 및 교환하시는 것을 관찰하였다.
평가
- 8월 10일부터 17일 까지 대상자는 절개 및 배액 부위의 발적 및 발열 등의 감염양상은 보이지 않았으나 수차례 체온상승과 통증 미열이 나타났으나 11일 이후 체온상승은 나타나지 않았고, 배액부위의 통증도 13일 이후 완화되었고 lab검사 상 WBC, CRP등의 수치가 감소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배액부위의 oozzing이 지속되었다. 그러므로 대상자는 아직 감염의 위험성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감염에 대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성미혜외(2010),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김금순외(2012), 성인간호학1, 서울: 수문사
김금순외(2012), 성인간호학2, 서울: 수문사
송경애외(2010), 기본간호학, 서울: 수문사
송미순외(2002), 진단적 검사와 간호, 서울시 : 현문사
http://www.druginfo.co.kr/ (의약품종합전문정보 사이트)
http://www.kimsonline.co.kr/(의약정보 센터 킴스 온라인)
강영희외(2012), 인체해부학, 정문각
김매자 외(2003), 간호과정론,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간호본부(201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4. 약물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에 따른 처치를 하기 위함이다
5. 통증을 덜 느끼는 체위를 유지시키고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준다
→통증감소와 합병증 방지를 위한 것이며 각 신체부위에 긴장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교육적계획
→통증에 대한 대상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수술후 처치, 간호에 협조를 하게 하기 위함이다.
6. 통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한다
수행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측정하였고 특이사항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2. 대상자의 통증 수준을 확인하고 통증기록지를 작성하였다
3.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체위변경을 도우며 통증을 느끼는 절개 및 배액 부위가 눌려 아프지 않도록 베개로 지지해 주었다.
4. 통증을 느낄 때 NRS로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고 통증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했다
-통증을 느낄 때 가장 심한정도 7점, 평균 5점
5. 통증을 호소할 때 PRN 처방된 트로돈 1amp을 IM 했다
6. 약 투여후 30분 후 다시 통증을 사정한 결과 NRS 2점으로 가라앉음을 관찰하였다.
7. 약투여후 부작용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지 관찰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13일부터 17일 전실 할 때 까지 드레싱 직후의 약한 통증호소 이외에
NRS 4점이상의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날짜: 2015년 8월 10일~17일
간호진단 3) 절개 및 배액 부위의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None
객관적 자료
- IV line, C-line, Foley catheter, 배액관을 삽입하고 있음
- 검사결과 감염 및 염증발생의 가능성이 있음
검사항목
정상치
(단위포함)
검사결과1
(8월11일)
검사결과2
(8월13일)
검사결과3
(8월17일)
WBC
4-10 k/ul
35.61
12.93
6.51
N-seg
30-76 %
94.1
87.8
72.2
Lymphocyte
16-49
4.4
9.7
21.2
Monocyte
4-13
1.4
2.1
5.5
CRP
0.5-1.0 mg/dl
9.45
5.33
1.23
배액관부위 에 잦은 oozzing 나타남 (거즈와 시트가 젖을 정도)
간호
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절개 및 배액부분에 감염이 나타나지 않는다
계획
1. 감염의 양상을 사정한다.
2. 모든 간호처치 전후로 손을 씻고 필요시 장갑을 착용한다.
3.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4. 침습적 시술 부위를 무균적으로 관리한다.
5. catheter 삽입 부위의 주기적인 드레싱 및 교환일을 지킨다.
6. catheter 삽입부위를 관찰하고 삼출물 유무를 확인한다.
7. 배액관 삽입 부위를 1일 2회 드레싱 한다.
8.감염의 징후와 증상이 나타날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며 예방적 처방된 항생제를 투약 후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사정한다.
8. lab검사 수치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침습적 부위의 발적, 발열, 통증, 부종의 증상을 사정함으로써 미연에 감염을 방지한다.
→의료행위로부터 교차감염이 일어날 수 있고, 손에는 많은 미생물들이 자랄 수 있으므로 손 씻기는 가장 기본적인 감염 예방법 중 하나이다.
→v/s은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본지표이다. 체온의 상승은 상처 감염 발병의 신호이다.
→catheter를 통한 채혈이나, 수액의 주입, 세트의 교환과정 등과 같은 catheter 조작과정에서 여러 박테리아가 내관을 타고 인체로 유입되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IV route는 3마다 드레싱을 해줌으로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IV 삽입부위를 체위변경이나 처치시 수시로 관찰하여 미리 발견하여 처치할수 있도록 한다
→WBC, lymphocyte, CPR 등은 감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수행
- 모든 간호처치 전후로 손소독제로 손을 씻고 필요시 장갑을 착용하였다.
- 매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 및 확인하였다.
- 환자의 IV 부분에 발적 부종 등이있는지 모든 간호 및 처치시 확인하였다
- 환자의 배액관 부분을 1일 2회 드레싱 하였고 oozzing이 심할 시 surgical guz를 수시로 갈아 주었다.
- 예방적으로 처방된 항생제 훌그램과 인반즈를 투약하였다
- 예방적 항생제 투약 후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확인하였다
- lab검사 수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감염 및 염증 징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검사항목
정상치
(단위포함)
검사결과1
(8월11일)
검사결과2
(8월13일)
검사결과3
(8월17일)
WBC
4-10 k/ul
35.61
12.93
6.51
N-seg
30-76 %
94.1
87.8
72.2
Lymphocyte
16-49
4.4
9.7
21.2
Monocyte
4-13
1.4
2.1
5.5
CRP
0.5-1.0 mg/dl
9.45
5.33
1.23
- catheter 부위의 주기적인 드레싱 및 교환하시는 것을 관찰하였다.
평가
- 8월 10일부터 17일 까지 대상자는 절개 및 배액 부위의 발적 및 발열 등의 감염양상은 보이지 않았으나 수차례 체온상승과 통증 미열이 나타났으나 11일 이후 체온상승은 나타나지 않았고, 배액부위의 통증도 13일 이후 완화되었고 lab검사 상 WBC, CRP등의 수치가 감소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배액부위의 oozzing이 지속되었다. 그러므로 대상자는 아직 감염의 위험성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감염에 대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성미혜외(2010),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김금순외(2012), 성인간호학1, 서울: 수문사
김금순외(2012), 성인간호학2, 서울: 수문사
송경애외(2010), 기본간호학, 서울: 수문사
송미순외(2002), 진단적 검사와 간호, 서울시 : 현문사
http://www.druginfo.co.kr/ (의약품종합전문정보 사이트)
http://www.kimsonline.co.kr/(의약정보 센터 킴스 온라인)
강영희외(2012), 인체해부학, 정문각
김매자 외(2003), 간호과정론,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간호본부(201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추천자료
OBGY 산욕부 case study-간호과정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박테리아성 뇌수막염
신경정신과 Depression case study-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케이스!! 대동맥 박리 간호관리학 케이스 스터디(Nursing Management Case Study) - 과도한 업무분담 (책임간호사들...
담석증(cholelithiasis)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모성간호학 IIOC STUDY CASE - 자궁목 무력증 ; 자궁경부 무력증 ; 자궁경관 무력증 (Incompe...
COPD 환자 사례 보고서/Case study/간호과정
[모성간호A+]자연분만 케이스 자연분만 간호과정 자연두정태위분만 간호과정 자연분만 case 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