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 식용작물학1)우리나라 및 전 세계 쌀 생산 및 유통현황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쌀 농업의 전망에 대해 논하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 식용작물학1)우리나라 및 전 세계 쌀 생산 및 유통현황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쌀 농업의 전망에 대해 논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우리나라 쌀 생산 및 유통현황
1) 우리나라의 쌀 생산 현황
2)우리나라의 쌀 유통현황
2. 전 세계 쌀 생산 및 유통현황
3. 우리나라 쌀 농업 전망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위해 지급하는 각종 보조금에 대한 규제도 불가피하다. 한국에서 생산되는 쌀 가격은 국제 시세보다 약 2~2.5배 높다는 점에서 향후 쌀 시장이 개방되면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쌀 농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쌀을 비롯한 곡물 생산 기반을 확충하고 식량자급률에 대한 법제화 추진아 필요하다. 또한 쌀 농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예산을 확보하고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쌀농업의 혁신을 위해서는 관련 조직을 슬림화하고 임대차와 위탁 경영을 활성화하는 등 농업에 대한 대자본 참여의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현재의 영세한 경영방식으로는 외국의 대자본 농업과 경쟁이 어렵다.
또한 쌀의 생산과 유통에 정보통신기술을 도입해 쌀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일본은 농기계 제조업체, 벤처기업, 이동통신사간의 협력을 통해 IoT 대응 곡물수확 콤바인의 도입으로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15% 높이고 밥맛을 크게 개선하거나, 센서를 이용해 논의 물관리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등 첨단 기술을 쌀농사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정보통신기술 강국이다. 일본이 하는데 우리는 더 잘할 수 있다.
우리의 육종기술 또한 경쟁력이 있다. 현대인들은 건강에 관심이 많은 만큼 다양한 농업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기능성 쌀과 브랜드 쌀을 개발해서 고부가가치의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 IMF와 FTA 등으로 우리 산업은 위기를 받았지만, 오히려 우리 제조업은 이를 기회로 받아들여 경쟁력을 키우게 되면서, 지금은 세계가 인정하는 주요 공업생산국이 되었다. 우리 쌀 농업 또한 잠재력은 충분하다고 본다. 정부와 쌀 농업 종사자, 그리고 기업이 힘을 모으면 농업강국으로 가는 길이 멀지 않다고 생각한다.
Ⅲ. 결 론
지금까지 본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2020년 쌀 생산은 긴 장마와 태풍 등으로 조생종은 생산량의 감소가 예상된다. 다만, 전체적인 생산량을 좌우하는 중만생종 작황은 9월의 기상상황에 좌우되므로 최종적으로는 작년 수준의 생산량을 기대해본다. 다만, 쌀 소비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에 있고 해외 쌀 생산량도 큰 변화가 없지만, 코로나19 이후 주요 쌀 생산국들이 쌀 수출에 제한을 두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식량안보가 우려되고, 여기에 쌀 시장 개방 압력이 지속되고 있어 쌀을 포함해 우리 농업은 우루과이 라운드 이래 두 번째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보인다.
우리 농업이 스스로 주도적으로 변화해 경쟁력을 키우지 못하면, 우리 밥상에 외국 쌀이 올라올 것은 자명하다. 농업이 우리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제조업에 비해서는 크지 않다. 그러나 식량안보가 곧 국가안보가 되어 버린 상황에서, 지금의 상황은 비단 농업 종사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런 의미에서 본론에서 논한 것처럼, 쌀 농업의 경쟁력은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물론 쌀 농업 종사자 스스로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경쟁력을 키울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 언제까지 정부만 바라볼 수는 없다.
Ⅳ. 참고문헌
통계청 kostat.go.kr
한국농촌경제연구원 www.krei.re.kr
농업관측본부 국제곡물 2020년 9월호
유엔식량농업기구 한국협회 www.fao.or.kr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농산물유통정보 www.kamis.or.kr
농민신문 https://www.nongmin.com/news/NEWS/POL/ETC/326260/view
농민신문 https://www.nongmin.com/news/NEWS/POL/ETC/325880/view
www.yeosijae.org/research/969 [COVID-19 / 식탁 안보] ‘세계 농-식품 체제’에서 한국은 강한 고리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09.09
  • 저작시기2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5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