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1) 매슬로우의 기본욕구
① 생리적 욕구
② 안전 욕구
③ 애정소속 욕구
④ 자존 욕구
⑤ 자아실현 욕구
⑥ 인지 욕구
⑦ 심미 욕구
2) 교육적 시사점
Ⅲ. 결 론
Ⅳ. 참 고 문 헌

Ⅰ. 서 론
Ⅱ. 본 론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15점 만점)
Ⅱ. 본 론
1. 강화(reinforcement)란?
2. 계속적 강화의 유용성
3.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4. 고정 간격계획(FI, Fixed-Interval schedule)
1)고정 간격계획의 예
5. 변동 간격계획(VI, Variable-Interval schedule)
1) 변동 간격계획의 예
6. 고정비율계획(FR, Fixed-Ratio schedule)
1) 고정비율계획의 예
7. 변동비율계획(VR, Variable-Ratio schedule)
1) 변동비율계획의 예
Ⅲ. 결 론
Ⅳ.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있다. 변동 간격 강화계획을 사용하는 도중에 학생들은 강화의 시점을 예측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학기 중간에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 상태를 점검하는 일을 그만두어도, 즉 소거가 발생하여도 학생들은 남은 기간 도안 계속해서 최선을 다하는 행동을 지속하게 될 것이다
1) 변동 간격계획의 예
① 착한 일이나 모범적인 행동을 많이 하는 학생에게는 수시로 칭찬과 그에 따르는 보상을 내린다.
② 낚시
③ 5분 안에 아무때나 한번의 강화를 준다
④ 비주기적인 간격으로 선물을 보내면 받는 사람은 기다리게 되는 경우와 예고하지 않고 불시에
시험 을 치르는 경우를 생각 해 볼 수 있다.
6. 고정비율계획(FR, Fixed-Ratio schedule) :
고정비율 강화계획이란 강화물이 미리 정해진 횟수에 근거하여 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칠판에 적힌 10문제를 모두 푼 사람은 나가서 놀아도 좋아요!”라고 한다면 학생들은 문제를 푸는데 걸린 시간에 관계없이 10문제를 푸는 즉시 나가서 노는 강화물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이때 교사는 고정비율 강화계획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수업 중에 학생이 교사의 질문에 정답을 말할 때마다 “좋았어요! 참 잘하네!”라는 식으로 매번 칭찬을 하는 경우는 연속적 강화(continuous reinforcement)라 하며, 이러한 강화 역시 비율 간격이 1로 설정된 고정비율 강화계획의 일종으로 이해할 수 있다.
1) 고정비율계획의 예
① 기간을 정해서 학생이 책을 10권 읽으면 문화상품권 1장을 지급한다.
② 생산공장에서 일정한 수 만큼 생산할 때마다 일정한 액수의 보수를 지불하는 성과급 보수제도
③ 학생이 10문제를 풀때마다 한번의 강화를 준다.
④ 쿠폰10장을 모아오면 사은품을 주는 경우, 일정한 수만큼의 제품을 만들었을 때 보상을 해주는
경우가 있다.
⑤ 완제품을 일정한 수만큼 만들었을 때마다 특정한 액수의 보수를 지불하는 경우 과수원에서
사과를 딸 때마다 일꾼에게 2,000원씩 지급하는 경우
7. 변동비율계획(VR, Variable-Ratio schedule) :
변동비율 강화계획은 학생들이 강화물을 획득하기 위해 수행하여야 하는 수행 횟수를 예측하지 못하도록 강화물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카지노에 설치된 슬롯머신이 변동비율 강화의 대표적인 예다. 슬롯머신을 하는 경우 천천히 하건 아주 급하게 하건 당첨이 되어 상금을 획득하는 일은 슬롯머신을 하는 시간에 관계없이 손잡이를 당기는 횟수와 관계가 있으며, 우리는 몇 번을 당겨야 상금에 당첨되는지 전혀 예측할 수 없다. 우리가 아는 것은 다만 몇 번인가 계속해서 당기다 보면 언젠가는 반드시 당첨이 되긴 된다는 사실뿐이다. 도박에 중독성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이는 변동비율 강화계획의 사용이 소거에 매우 강하게 저항하기 때문이다. 즉, 변동비율 강화계획이 사용되는 상황에서 형성된 행동은 더 이상 그 행동에 대해 강화가 주어지지 않아도 매우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1) 변동비율계획의 예
① 도박에서 딸 수 있는 확률
② 학생이 2문제를 풀면 한번, 3문제를 풀면 또 한번 이런식으로 강화를 준다. 즉 한 문제에서
10문제 사이 중에 사탕을 주는 것과 같은 경우.
③ 제비뽑기를 해서 선생님이 부르는 숫자를 뽑은 학생부터 자기가 앉고 싶은 짝을 선택하도록 한다.
④ 행사장에서 무작위로 선택을 할 경우 당첨되기 위해 손을 들었을 경우 첫 번째로 뽑힐 수도 있지만 여러번후에 뽑히거나 안 뽑힐 가능성도 있는 경우
<그림. 강화계획의 종류와 예시>
출처: G.D.Borich, & M. L. Tombari(1995). Educational psychology. New York: Harper collins College Pubrisher,p. 151
Ⅲ. 결 론
행동은 강화가 주어지면 그 강도가 유지되거나 증가하며 강화가 중단되면 그 강도가 떨어진다. 그러나 우리가 살고 있는 가정, 사회, 학교환경에서 주어지는 강화는 항상 일관성이 있거나 계속적인 것은 아니다. 계속적 강화계획과 간헐적 강화계획을 공부하면서 실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는 것을 느꼈다. 아침에 출근하기 전 카페에 가서 커피를 사면 쿠폰을 찍어주는데 10번 찍으면 아메리카노를 무료로 먹을 수 있는게 고정비율계획이라고 배우니까 더 와닿는 것 같다.
Ⅳ. 참 고 문 헌
이성진, 박성수(2018) 『교육심리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조화태, 김계현, 전용오(2017) 『인간과 교육』,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임규혁,임옹(2018) 『교육심리학』(주) 학지사
송명자(2017) 『발달심리학』(주) 학지사
교육심리학- (공)저: 임효진, 선혜연, 황매향 (2016)
강화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 이자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2017]
https://walkrail.tistory.com/29 - 〔교육학〕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출처: 강화의-정의와-종류 [그냥...한 번만...] 2015 -
https://gif90.tistory.com/entry/%EA%B0%95%ED%99%94%EC%9D%98-%EC%A0%95%EC%9D%98%EC%99%80-%EC%A2%85%EB%A5%98
출처 : [PPT]변동간격 강화계획- contents.kocw.or.kr document lec ChungBuk ByunHoSeung
출처 : [PPT]인간행동과 심리학 정적/부적 강화 - web.yonsei.ac.kr _ezaid board download
출처 : [PDF]교수-학습 이론의 적용 https://ep.knou.ac.kr comm downloadFile
출처 :
[PDF]7주차 : 교육의 심리적 기초 contents.kocw.or.kr contents4 lec Hankyong ChungMikyung 7.pdfhttp://www.childcare.co.kr/technote70/technote72/board.php?board=Notice&command=body&no=31&category=6 - 김영희 교수의 행동치료 (한남대학교 대학원)
  • 가격4,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0.09.24
  • 저작시기201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6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