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현병 개념
2. 조현병 증상 및 특징
3. 조현병 발생원인
4. 조현병 진단기준
5. 조현병 조기치료의 중요성
6. 조현병 간호중재
(1) 양성증상 간호
(2) 음성증상 간호
(3) 주요 치료방법
1) 인지행동치료(CBT)
2) 환경치료
3) 정신치료
4) 약물치료
2. 조현병 증상 및 특징
3. 조현병 발생원인
4. 조현병 진단기준
5. 조현병 조기치료의 중요성
6. 조현병 간호중재
(1) 양성증상 간호
(2) 음성증상 간호
(3) 주요 치료방법
1) 인지행동치료(CBT)
2) 환경치료
3) 정신치료
4) 약물치료
본문내용
생각과는 달리 조현병은 조기에 진단해서 치료를 받으면 별다른 장애 없이 사회로 복귀가 가능한 질병이다. 하지만 너무 늦게 치료를 시작하거나 치료를 중단해서 재발한 경우에는 그만큼 치료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결국 조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면 조현병이 만성화되고 사회로 복귀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6. 조현병 간호중재
(1) 양성증상 간호
1) 환자 안전: 정신분열병을 가진 환자의 10%가 자살할 수 있다
2) 사고장애에 대한 관리 : 망상관리
- 신뢰감 형성이 매우 중요
-> 언어처리에 문제 있으므로 비언어적 표현이 중요
-> 침착, 공감, 부드러운, 분명, 일관, 직접, 간단.
- 망상을 말할 때 경청하지만
-> 논리적 설명을 시도하거나,망상을 지지 또는 강화하는 것을 피하라
- 망상에서 벗어나도록 현실에 초점 두어 주의 전환을 이끈다
- 항정신병 약물이 치료적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면 대상자와 망상적 사고에 대해 얘기할
수 있으며 망상이 대상자의 일상을 어떻게 방해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지각장애에 대한 간호
- 간호사는 대상자가 주장하는 환각을 듣거나 보지 않았다는 것을 대상자에게 분명히 이야기.
하지만, 환자가 느낄 불안이나 공포와 같은 감정은 공감하고 표현유도
“두려우실 거예요.”
- 지시를 내리는 환각은 잠재적으로 매우 위험한 유형
- “목소리여 사라져라”라고 소리치는 것 같은 제거요법 등 이용
4) 현실감 강화
hear and now에 초점을 둔 대화나 활동 유도(지금 보이는 하늘, 잡지의 사진 등)
5) 명료화 촉진
연상의 해이로 산만한 이야기의 경우 질문을 명료하게 할 것
경청을 통해 반복되는 관념이나 주제를 확인하고 그 의미를 추적
(2) 음성증상 간호
1) 정서장애에 대한 간호
감정의 적절성에 대한 모델이 되어야
2) 행동장애에 대한 간호
- 신뢰감 증진
표정, 눈맞춤, 목소리, 자세 등
대상자들은 타인에 태도에 매우 민감
대상자에 대한 간호사 자신의 태도는?
- 자가간호촉진
의사결정 기회를 제공
단 환자의 수준을 고려해서 (예: 오렌지 쥬스 드실래요 우유 드실래요
자가간호 기술을 격려하고 일상생활 참여를 강화하고 보상하는 것은 독자적 행동을 증진 시킬 것
(3) 주요 치료방법
1) 인지행동치료(CBT)
검증 능력 강화, 목표설정과 대처 능력 강화 등.
2) 환경치료
- 함께 의사소통하고 노력하는 팀의 능력을 사용해 - 대상자를 치료하려는 노력
- 안전, 신체적 돌봄, 안정감, 주의 깊은 관찰과 조정, 사회적 여가 능력 및 의사결정 능력 증진 등
3) 정신치료
- 치료자에 대한 믿음과 이해를 바탕으로
대상자가 점진적이고 긍정적으로 자신을 수용토록.
- 초점 : 병식을 갖게 하는 것
4) 약물치료
- 재발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가 약물관리. but 꾸준한 약물이행에도 재발 가능
불이행시 60-70%, 꾸준한 투약시 40%, 약물과 다른 치료 병행시 15% 재발율
- 분류 : 전형 약물, 비전형 약물(양성, 음성증상 모두 효과, EPS 증상이 적음).
Depot주사도 있어요(2~4주 마다 IM)
6. 조현병 간호중재
(1) 양성증상 간호
1) 환자 안전: 정신분열병을 가진 환자의 10%가 자살할 수 있다
2) 사고장애에 대한 관리 : 망상관리
- 신뢰감 형성이 매우 중요
-> 언어처리에 문제 있으므로 비언어적 표현이 중요
-> 침착, 공감, 부드러운, 분명, 일관, 직접, 간단.
- 망상을 말할 때 경청하지만
-> 논리적 설명을 시도하거나,망상을 지지 또는 강화하는 것을 피하라
- 망상에서 벗어나도록 현실에 초점 두어 주의 전환을 이끈다
- 항정신병 약물이 치료적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면 대상자와 망상적 사고에 대해 얘기할
수 있으며 망상이 대상자의 일상을 어떻게 방해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지각장애에 대한 간호
- 간호사는 대상자가 주장하는 환각을 듣거나 보지 않았다는 것을 대상자에게 분명히 이야기.
하지만, 환자가 느낄 불안이나 공포와 같은 감정은 공감하고 표현유도
“두려우실 거예요.”
- 지시를 내리는 환각은 잠재적으로 매우 위험한 유형
- “목소리여 사라져라”라고 소리치는 것 같은 제거요법 등 이용
4) 현실감 강화
hear and now에 초점을 둔 대화나 활동 유도(지금 보이는 하늘, 잡지의 사진 등)
5) 명료화 촉진
연상의 해이로 산만한 이야기의 경우 질문을 명료하게 할 것
경청을 통해 반복되는 관념이나 주제를 확인하고 그 의미를 추적
(2) 음성증상 간호
1) 정서장애에 대한 간호
감정의 적절성에 대한 모델이 되어야
2) 행동장애에 대한 간호
- 신뢰감 증진
표정, 눈맞춤, 목소리, 자세 등
대상자들은 타인에 태도에 매우 민감
대상자에 대한 간호사 자신의 태도는?
- 자가간호촉진
의사결정 기회를 제공
단 환자의 수준을 고려해서 (예: 오렌지 쥬스 드실래요 우유 드실래요
자가간호 기술을 격려하고 일상생활 참여를 강화하고 보상하는 것은 독자적 행동을 증진 시킬 것
(3) 주요 치료방법
1) 인지행동치료(CBT)
검증 능력 강화, 목표설정과 대처 능력 강화 등.
2) 환경치료
- 함께 의사소통하고 노력하는 팀의 능력을 사용해 - 대상자를 치료하려는 노력
- 안전, 신체적 돌봄, 안정감, 주의 깊은 관찰과 조정, 사회적 여가 능력 및 의사결정 능력 증진 등
3) 정신치료
- 치료자에 대한 믿음과 이해를 바탕으로
대상자가 점진적이고 긍정적으로 자신을 수용토록.
- 초점 : 병식을 갖게 하는 것
4) 약물치료
- 재발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가 약물관리. but 꾸준한 약물이행에도 재발 가능
불이행시 60-70%, 꾸준한 투약시 40%, 약물과 다른 치료 병행시 15% 재발율
- 분류 : 전형 약물, 비전형 약물(양성, 음성증상 모두 효과, EPS 증상이 적음).
Depot주사도 있어요(2~4주 마다 I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