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로스만(Rothamn)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3가지
Ⅱ. 테일러와 로버츠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
Ⅲ. 포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Ⅱ. 테일러와 로버츠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
Ⅲ. 포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본문내용
로 볼 수 있다. 이 모델은 특정 이슈에 대해 권력자와의 협상을 위해 직접행동을 선호하고 있다.
7) 여권주의적 지역사회사업모델(feminist community work)
: 여권주의적 지역사회사업모델은 지역사회에 대한 페미니즘의 적용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모델로 여성 불평등의 사회적 요인에 대한 집합적 대응을 통해 여성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8) 인종차별철폐 지역사회사업모델(black and anti-racist community work)
: 인종차별철폐 지역사회사업모델은 지역사회실천에 있어서 인종차별에 저항하거나 차별받는 구성원의 권리보호를 위해 조직화와 상호원조를 행한다. 교육·주택·건강·고용 등의 영역에서 차별을 시정하는데 있으며 캠페인, 자조집단형성, 직접행동, 보충적인 급여 제공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모델
특징
사회복지사 역할
지역사회보호
·사회적 관계망과 자발적 서비스 증진
·자조개념 개발
조직가, 자원봉사자
지역사회조직
·타 복지 기관 간의 상호 협력
·중복서비스 방지
조직가, 촉매자, 관리자
지역사회개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과 신뢰를 습득할 수 있도록 집단 원조
조력자, 지역사회활동가, 촉진자
사회/지역사회계획
·지역사회의 프로그램계획, 자원동원, 집행 및 평가에 중점
조력자, 촉진자
지역사회교육
·교육과 지역사회 간 동등한 관계로 방향설정을 모색
교육자, 촉진자
지역사회행동
·갈등과 직접적인 행동을 활용
·권력이 없는 집단에 집단원의 효과성을 증가
행동가
여권주의적 지역사회사업
·성불평등의 해소
·여성의 복지를 향상
행동가, 조력자, 촉진자
흑인 및 반인증주의자
지역사회 사업
·인종 차별에 저항하거나 차별받는 구성원의 권리 보호를 위한 조직화와 상호원조
행동가, 자원봉사자
<표 2> 포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참고 문헌>
김범수, 신원우「지역사회복지론」공동체(2016).
박용순, 송진영「지역사회복지론」학지사(2012).
지역사회복지론 2017년 대비 1급 기본서, 나눔의 집(2016)
오정삼 지역사회복지론 실천모델 비교분석(2014). http://baro.kr/m/post/525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에 대한 이해(2015).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urfn&logNo=220584298079&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7) 여권주의적 지역사회사업모델(feminist community work)
: 여권주의적 지역사회사업모델은 지역사회에 대한 페미니즘의 적용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모델로 여성 불평등의 사회적 요인에 대한 집합적 대응을 통해 여성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8) 인종차별철폐 지역사회사업모델(black and anti-racist community work)
: 인종차별철폐 지역사회사업모델은 지역사회실천에 있어서 인종차별에 저항하거나 차별받는 구성원의 권리보호를 위해 조직화와 상호원조를 행한다. 교육·주택·건강·고용 등의 영역에서 차별을 시정하는데 있으며 캠페인, 자조집단형성, 직접행동, 보충적인 급여 제공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모델
특징
사회복지사 역할
지역사회보호
·사회적 관계망과 자발적 서비스 증진
·자조개념 개발
조직가, 자원봉사자
지역사회조직
·타 복지 기관 간의 상호 협력
·중복서비스 방지
조직가, 촉매자, 관리자
지역사회개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과 신뢰를 습득할 수 있도록 집단 원조
조력자, 지역사회활동가, 촉진자
사회/지역사회계획
·지역사회의 프로그램계획, 자원동원, 집행 및 평가에 중점
조력자, 촉진자
지역사회교육
·교육과 지역사회 간 동등한 관계로 방향설정을 모색
교육자, 촉진자
지역사회행동
·갈등과 직접적인 행동을 활용
·권력이 없는 집단에 집단원의 효과성을 증가
행동가
여권주의적 지역사회사업
·성불평등의 해소
·여성의 복지를 향상
행동가, 조력자, 촉진자
흑인 및 반인증주의자
지역사회 사업
·인종 차별에 저항하거나 차별받는 구성원의 권리 보호를 위한 조직화와 상호원조
행동가, 자원봉사자
<표 2> 포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참고 문헌>
김범수, 신원우「지역사회복지론」공동체(2016).
박용순, 송진영「지역사회복지론」학지사(2012).
지역사회복지론 2017년 대비 1급 기본서, 나눔의 집(2016)
오정삼 지역사회복지론 실천모델 비교분석(2014). http://baro.kr/m/post/525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에 대한 이해(2015).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urfn&logNo=220584298079&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