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부서 (병동 또는 가족 등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숙도를 진단하고,
1.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1) 이론의 개요
(2) 부하의 준비성
(3) 준비성에 따른 리더십의 선택
(4) 리더십 실천전략
(5) 성숙도 이론의 특성
① 성숙도 이론의 강점
② 성숙도이론의 비판점
2. 내가 속한 간호조직 구성원 성숙도와 지도자 사정
(1) 간호조직 구성원의 특징
(2) 구성원의 성숙도 조사 방법
3.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을 활용한
구성원 성숙도 분석, 지도자 행동스타일, 현재 지도자와 비교
(1) 구성원의 성숙도 분석
(2) 구성원 분석결과 지도자의 행동스타일
(3) 지도자의 행동스타일과 현재 지도자 비교
▣ (1)에서 진단한 집단에 가장 적합한 지도자 행동 유형 (리더십 스타일)은 무엇인지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을 기초로 하여 결정하시오. 그리고 현재의 지도자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바람직한 지도자(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등)와 비교하여 논하시오.
1.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
(1)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 개념
(2)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의 기본적인 리더십 유형
2. (1)에서 진단한 집단에 가장 적합한 지도자 행동 유형
3. 현재의 지도자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바람직한 지도자와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부서 (병동 또는 가족 등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숙도를 진단하고,
1.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1) 이론의 개요
(2) 부하의 준비성
(3) 준비성에 따른 리더십의 선택
(4) 리더십 실천전략
(5) 성숙도 이론의 특성
① 성숙도 이론의 강점
② 성숙도이론의 비판점
2. 내가 속한 간호조직 구성원 성숙도와 지도자 사정
(1) 간호조직 구성원의 특징
(2) 구성원의 성숙도 조사 방법
3.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을 활용한
구성원 성숙도 분석, 지도자 행동스타일, 현재 지도자와 비교
(1) 구성원의 성숙도 분석
(2) 구성원 분석결과 지도자의 행동스타일
(3) 지도자의 행동스타일과 현재 지도자 비교
▣ (1)에서 진단한 집단에 가장 적합한 지도자 행동 유형 (리더십 스타일)은 무엇인지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을 기초로 하여 결정하시오. 그리고 현재의 지도자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바람직한 지도자(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등)와 비교하여 논하시오.
1.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
(1)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 개념
(2)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의 기본적인 리더십 유형
2. (1)에서 진단한 집단에 가장 적합한 지도자 행동 유형
3. 현재의 지도자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바람직한 지도자와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으로 보아 현재 병동에 속해있는 지도자 스타일은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에 나타 중도형 리더십과 많이 일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 내용을 중심으로 지도자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현재 지도자 스타일]
중도형 리더 지도자 스타일
[동기부여]
다양한 상황에서 업무 능력에 맞게 동기 부여를 하고 있다. 10년차 이상 연차의 책임간호사들에게는 병원의 질 향상 활동의 분기별 보고서 및 구성원들과 발표회, 5~10년차 간호사들에게는 병원의 낙상과 환경에 관한 점검 및 병동 업무분담, 5년차 이하의 간호사들에게는 응급카트물품 및 일일 점검을 통해 업무를 분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조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하거나 활력을 불어넣는다. 간호직원들에게 작업에 임하게 되면 그들이 양적으로든 질적으로든 작업을 행하도록 동기부여가 되는 것이다.
[자율적 관리]
구성원 성숙도가 가장 높은 단계에서는 위임하는 방식의 리더십을 보여 자율적 능력을 크게 높여주고 있다. 효율성 있는 리더십을 발휘하여 간호조직 내 리더는 조직원들을 환경 지향적, 자율적 관리능력을 배양시켜준다. 따라서 간호직원들은 자율적, 능동적으로 자기 일에 임하고 거기에 따라 조직이 탄력을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이다.
[의사소통개선]
구성원 성숙도에 따라 위임하는 정도가 달라 성숙도가 낮은 구성원에서는 의사소통 수준이 약간 낮을 수 있다. 의사소통의 단계를 효율화시키고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을 채택하게 한다. 따라서 간호스테이션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조직원의 스트레스 감소]
구성원의 스트레스를 관리해 줄 수 있는 리더십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구성원 성숙도가 낮은 단계에서는 자칫 스트레스 관리를 못하게 방해하는 역할을 할지도 모른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의 패턴을 찾는 여유를 알게 해 간호직원들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법을 스스로 캐치하게 한다. 따라서 간호조직 내 효율적 리더십은 간호직원의 직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전략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현재 병동 수간호사는 Hersey와 blanchard의 상황모형에 근거하면 참여형리더십,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에 근거하면 중도형 리더십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3교대로 인해 간호사 개개인의 작업 활동을 주의 깊게 감독하지 못하고 있어서, 자칫 성숙도가 낮은 구성원의 업무 비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일을 연차별로 분담하고 주 1회, 월 1회마다 감독하여 점검을 받게 하고있다. 지도자는 신규 간호사의 기본적인 교육과정을 7년차 간호사에게 위임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업무 실행 능력은 다시 3~5년차 간호사에게 위임하여 제대로 된 부서내 업무분담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내가 속한 조직에 적합하고, 바람직한 지도자라면 중도형 리더십 모델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의 성숙도에 따라 조금씩 다른 리더십과 행동 스타일을 보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지도자가 업무와 성과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고 구성원에 대한 관심과 지지도도 높은 바람직한 리더가 되기 위해 이상형인 팀형(9.9)에 이르기까지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목표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리더십 행동개발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을 기초로 하여 병동의 구성원에 대한 성숙도와 리더인 수간호사의 지도자 행동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간호지도자들의 스타일에 따라 조직의 분위기가 크게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은 현재 직장에서 근무를 하면서도 느낄 수 있다. 다른 직종과는 달리 간호사는 다른 전문 직종들과 협업하여 일해야하는 환경으로 간호리더십은 큰 역할과 중간다리가 되어준다고 생각한다. 수간호사는 환자 간호와 병동 관리의 책임자로서 간호사가 수행하는 활동을 지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사람과의 관계형성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을 리더하여 변화를 촉진하며 갈등관리나 다른 사람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변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과정에 있어서 수간호사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므로 수간호사의 리더십은 일반 간호사들의 업무에 대한 만족감과 일할 수 있는 의욕을 갖도록 하는데 직결되며, 아울러 질적 간호 수행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때 간호조직에서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수간호사가 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와 믿음과 신뢰를 주는 리더십을 보여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관심을 갖고, 이해하며 구성원들의 문제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진 배려적인 리더십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므로 병원관리자로서 수간호사는 간호사의 성숙수준과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리더십을 다양하게 발휘할 수 있는 교육 및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본다. 앞으로도 이 과제는 병원조직에서 일하는 구성원과 관리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 교재 : 이상미 외(2017), 『간호지도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2~50쪽
- 기타 :
① 박오수(2015), 『조직행동』, 수문사, 525~526쪽, 534~536쪽
② 김성국(2008), 『조직과 인간행동』, 명경사, 334~337쪽, 346~349쪽
③ 최수형(2012), 『조직행동론』, 대명, 284~285쪽
④ 이인석(2015), 『조직행동이론』, (주)시그마프레스, 320~327쪽, 344~348쪽
⑤ 강정애 외(2010), 『리더십론』, (주)시그마프레스, 82~90쪽
⑥ 염영희 외(2013), 『간호관리학』, 수문사, 429~430쪽, 435~436쪽
⑦ 이성희(1991), 수간호사의 리더쉽 유형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국내석사]
⑧ 박영배(2010), 『현대조직행동관리』, 청람, 192~195쪽
⑨ 이수광(2008), 『서비스기업의 조직행동론』
⑩ 이명보(2012), 기독교교육행정에서 본 교회학교 교사의 리더십 :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을 중심으로, 나사렛대학교 신학대학원[국내석사]
⑪ https://blog.naver.com/jng02/221347124562
이 내용을 중심으로 지도자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현재 지도자 스타일]
중도형 리더 지도자 스타일
[동기부여]
다양한 상황에서 업무 능력에 맞게 동기 부여를 하고 있다. 10년차 이상 연차의 책임간호사들에게는 병원의 질 향상 활동의 분기별 보고서 및 구성원들과 발표회, 5~10년차 간호사들에게는 병원의 낙상과 환경에 관한 점검 및 병동 업무분담, 5년차 이하의 간호사들에게는 응급카트물품 및 일일 점검을 통해 업무를 분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조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하거나 활력을 불어넣는다. 간호직원들에게 작업에 임하게 되면 그들이 양적으로든 질적으로든 작업을 행하도록 동기부여가 되는 것이다.
[자율적 관리]
구성원 성숙도가 가장 높은 단계에서는 위임하는 방식의 리더십을 보여 자율적 능력을 크게 높여주고 있다. 효율성 있는 리더십을 발휘하여 간호조직 내 리더는 조직원들을 환경 지향적, 자율적 관리능력을 배양시켜준다. 따라서 간호직원들은 자율적, 능동적으로 자기 일에 임하고 거기에 따라 조직이 탄력을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이다.
[의사소통개선]
구성원 성숙도에 따라 위임하는 정도가 달라 성숙도가 낮은 구성원에서는 의사소통 수준이 약간 낮을 수 있다. 의사소통의 단계를 효율화시키고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을 채택하게 한다. 따라서 간호스테이션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조직원의 스트레스 감소]
구성원의 스트레스를 관리해 줄 수 있는 리더십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구성원 성숙도가 낮은 단계에서는 자칫 스트레스 관리를 못하게 방해하는 역할을 할지도 모른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의 패턴을 찾는 여유를 알게 해 간호직원들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법을 스스로 캐치하게 한다. 따라서 간호조직 내 효율적 리더십은 간호직원의 직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전략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현재 병동 수간호사는 Hersey와 blanchard의 상황모형에 근거하면 참여형리더십,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에 근거하면 중도형 리더십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3교대로 인해 간호사 개개인의 작업 활동을 주의 깊게 감독하지 못하고 있어서, 자칫 성숙도가 낮은 구성원의 업무 비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일을 연차별로 분담하고 주 1회, 월 1회마다 감독하여 점검을 받게 하고있다. 지도자는 신규 간호사의 기본적인 교육과정을 7년차 간호사에게 위임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업무 실행 능력은 다시 3~5년차 간호사에게 위임하여 제대로 된 부서내 업무분담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내가 속한 조직에 적합하고, 바람직한 지도자라면 중도형 리더십 모델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의 성숙도에 따라 조금씩 다른 리더십과 행동 스타일을 보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지도자가 업무와 성과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고 구성원에 대한 관심과 지지도도 높은 바람직한 리더가 되기 위해 이상형인 팀형(9.9)에 이르기까지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목표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리더십 행동개발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매니지리얼 그리드 이론을 기초로 하여 병동의 구성원에 대한 성숙도와 리더인 수간호사의 지도자 행동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간호지도자들의 스타일에 따라 조직의 분위기가 크게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은 현재 직장에서 근무를 하면서도 느낄 수 있다. 다른 직종과는 달리 간호사는 다른 전문 직종들과 협업하여 일해야하는 환경으로 간호리더십은 큰 역할과 중간다리가 되어준다고 생각한다. 수간호사는 환자 간호와 병동 관리의 책임자로서 간호사가 수행하는 활동을 지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사람과의 관계형성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을 리더하여 변화를 촉진하며 갈등관리나 다른 사람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변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과정에 있어서 수간호사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므로 수간호사의 리더십은 일반 간호사들의 업무에 대한 만족감과 일할 수 있는 의욕을 갖도록 하는데 직결되며, 아울러 질적 간호 수행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때 간호조직에서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수간호사가 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와 믿음과 신뢰를 주는 리더십을 보여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관심을 갖고, 이해하며 구성원들의 문제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진 배려적인 리더십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므로 병원관리자로서 수간호사는 간호사의 성숙수준과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리더십을 다양하게 발휘할 수 있는 교육 및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본다. 앞으로도 이 과제는 병원조직에서 일하는 구성원과 관리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 교재 : 이상미 외(2017), 『간호지도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2~50쪽
- 기타 :
① 박오수(2015), 『조직행동』, 수문사, 525~526쪽, 534~536쪽
② 김성국(2008), 『조직과 인간행동』, 명경사, 334~337쪽, 346~349쪽
③ 최수형(2012), 『조직행동론』, 대명, 284~285쪽
④ 이인석(2015), 『조직행동이론』, (주)시그마프레스, 320~327쪽, 344~348쪽
⑤ 강정애 외(2010), 『리더십론』, (주)시그마프레스, 82~90쪽
⑥ 염영희 외(2013), 『간호관리학』, 수문사, 429~430쪽, 435~436쪽
⑦ 이성희(1991), 수간호사의 리더쉽 유형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국내석사]
⑧ 박영배(2010), 『현대조직행동관리』, 청람, 192~195쪽
⑨ 이수광(2008), 『서비스기업의 조직행동론』
⑩ 이명보(2012), 기독교교육행정에서 본 교회학교 교사의 리더십 :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을 중심으로, 나사렛대학교 신학대학원[국내석사]
⑪ https://blog.naver.com/jng02/221347124562
추천자료
간호지도자론] 1)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의 구성원 성...
간호지도자론] 1)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 구성원 성...
2019년 방송대 간호지도자론] 1)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구성원 성숙도 진단...
간호지도자론] 1) 허시블랜차드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부서 구성원 성숙도 진...
간호지도자론] 1)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구성원 성숙도 진단 허시블랜차드...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 (병동 또는 가족 등 어느 집...
간호지도자론 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