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확률표본추출] 확률표집의 종류
I. 단순무작위 표본설계
가. 추첨법
나. 난수표 활용법
II. 체계적 표본설계
III. 층화적 표본설계
가. 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
나.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
IV. 집락적 표본설계(군집적 표본설계)
* 참고문헌
I. 단순무작위 표본설계
가. 추첨법
나. 난수표 활용법
II. 체계적 표본설계
III. 층화적 표본설계
가. 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
나.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
IV. 집락적 표본설계(군집적 표본설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출된 표본을 결합하여 통합된 층화적 표본을 작성한다. 즉, 앞의 2단계에서 무작위로 선출된 555의 남자표본과 %의 여자표본을 결합하여 100%의 통합표본을 만든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층화적 표본설계는 다시 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e design)와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e design)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가. 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e design)
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는 층화적 표본추출(stratified sampling)에 의존하는 설계이다. 그리고 층화적 표본추출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에 의해서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구성된다. 앞의 예에서 보듯이 사회복지사의 남녀 구성비율이 6 : 4라면, 성별로 집단을 구문한 다음 그 비율만큼 표집하는 것이다. 즉 1,000명에서 100명을 뽑기로 했다면 표집비율이 1/10이므로, 남성 사회복지사 60명, 여성 사회복지사 40명으로 표본을 구성하는 것이다.
- 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의 단계 -
[제1단계] :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계층(strata)을 결정한다.
[제2단계] : 모집단 속의 계층의 크기에 의거하여 구성비를 분석한다.
[제3단계] : 모집단의 구성비에 맞춰 무작위표본추출에 의하여 각 계층으로부터 표본을 선택한다.
나.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e design)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는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에 의존하는 설계이다. 그리고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에 의해서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1,000명의 사회복지사 중에서 100명의 표본을 뽑기로 했을 때, 600명은 여성, 400명은 남성인 경우,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은 여성이 50명, 남성이 50명인 표본을 구성하는 경우이다.
-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의 단계 -
[제1단계] : 계층을 결정한다.
[제2단계] : 분석적 고려(analytical considerations)에 의거하여 모집단 속의 계층의 규모를 결정한다.
[제3단계] : 모집단의 구성비와 상관없이 둘째 단계에서 결정된 비율에 맞춰 각 계층으로부터 표본을 선택한다.
IV. 집락적 표본설계(군집적 표본설계)
집락적 표본설계(cluster sample design and multage cluster sample design)는 집락적 표본추출(cluster sampling)에 의존하는 설계이다. 집락적 표본추출은 개별적 표본단위가 개별적으로 추출되지 않고 집단 속에 포함되어 추출된다.
앞의 예에서처럼 \'서울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경우 노인들을 개별적으로 추출하지 않고, 서울시를 몇 개의 집락(예로서 22개의 區)으로 나눈 후 하나의 하위집락(동)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 하위집락 속에서 원하는 수만큼의 노인들을 표본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집락적 표본추출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정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0명의 유권자를 표본으로 뽑는 경우에 1단계로 특별시 광역시 도를 표본추출단위로 하여 이들 가운데서 몇 개를 무작위로 추출하다. 이어서 2단계로 1단계에서 선택된 특별시 광역시 도에서 몇 개씩의 시 군 구를 무작위적 방법에 의하여 선택한다. 다음 3단계에서는 표본으로 선택된 시 군 구에서 읍 면 동 등의 행정구역을 무작위로 추출한다. 그리고 4단계에서는 이들 읍 면 동에서 \'면의 리\'나 \'동의 통\'을 선택한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리\'또는 \'통\'에 거주하는 유권자들의 명부를 보고 이들에 대해서 전수조사를 실시하거나 이들 중에서 일부를 무작위적으로 선택한다.
- 집락적 표본추출의 단계 -
[제1단계] : 집락수준의 수(the number of levels of cluster)를 결정한다.
[제2단계] : 각 집락수준으로부터 결정된 수만큼을 무작위적으로(randomly) 선택한다.
[제3단계] : 최종적인 표본추출단위는 집단(groups)이다.
이와 같이 개인을 추출하지 않고 먼저 집락을 추출하는 집락적 표본추출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장점을 지닌다.
첫째, 집락적 표본추출은 단순무작위 표본추출이나 층화적 표본추출과는 달리 모집단의 목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집락적 표본추출의 경우 모집단의 목록은 없어도 되며, 오직 최종집락으로부터 개인들을 추출하므로 최종집락의 목록만 있으면 된다.
둘째, 시간과 비용 상에서 집락적 표본추출은 단순무작위 표본추출이나 층화적 표본추출에 비해서 훨씬 더 효율적이다. 단순무작위 표본추출이나 층화적 표본추출의 경우 모집단으로부터 개별적 표본을 추출하므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비된다. 그러나 집락적 표본추출의 경우 모집단 속의 개별적 표본이 아닌 집락을 먼저 추출한 후 규모가 작아진 집락으로부터 개별적 표본을 추출하게 되므로 시간과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집락적 표본추출이 지니는 치명적 단점으로는 표본추출오류(sampling error)를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그리고 이상과 같은 층화적 표본설계는 다시 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e design)와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e design)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가. 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e design)
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는 층화적 표본추출(stratified sampling)에 의존하는 설계이다. 그리고 층화적 표본추출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에 의해서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구성된다. 앞의 예에서 보듯이 사회복지사의 남녀 구성비율이 6 : 4라면, 성별로 집단을 구문한 다음 그 비율만큼 표집하는 것이다. 즉 1,000명에서 100명을 뽑기로 했다면 표집비율이 1/10이므로, 남성 사회복지사 60명, 여성 사회복지사 40명으로 표본을 구성하는 것이다.
- 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의 단계 -
[제1단계] :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계층(strata)을 결정한다.
[제2단계] : 모집단 속의 계층의 크기에 의거하여 구성비를 분석한다.
[제3단계] : 모집단의 구성비에 맞춰 무작위표본추출에 의하여 각 계층으로부터 표본을 선택한다.
나.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e design)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설계는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에 의존하는 설계이다. 그리고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에 의해서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1,000명의 사회복지사 중에서 100명의 표본을 뽑기로 했을 때, 600명은 여성, 400명은 남성인 경우,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은 여성이 50명, 남성이 50명인 표본을 구성하는 경우이다.
- 비비율적 층화적 표본추출의 단계 -
[제1단계] : 계층을 결정한다.
[제2단계] : 분석적 고려(analytical considerations)에 의거하여 모집단 속의 계층의 규모를 결정한다.
[제3단계] : 모집단의 구성비와 상관없이 둘째 단계에서 결정된 비율에 맞춰 각 계층으로부터 표본을 선택한다.
IV. 집락적 표본설계(군집적 표본설계)
집락적 표본설계(cluster sample design and multage cluster sample design)는 집락적 표본추출(cluster sampling)에 의존하는 설계이다. 집락적 표본추출은 개별적 표본단위가 개별적으로 추출되지 않고 집단 속에 포함되어 추출된다.
앞의 예에서처럼 \'서울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경우 노인들을 개별적으로 추출하지 않고, 서울시를 몇 개의 집락(예로서 22개의 區)으로 나눈 후 하나의 하위집락(동)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 하위집락 속에서 원하는 수만큼의 노인들을 표본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집락적 표본추출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정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0명의 유권자를 표본으로 뽑는 경우에 1단계로 특별시 광역시 도를 표본추출단위로 하여 이들 가운데서 몇 개를 무작위로 추출하다. 이어서 2단계로 1단계에서 선택된 특별시 광역시 도에서 몇 개씩의 시 군 구를 무작위적 방법에 의하여 선택한다. 다음 3단계에서는 표본으로 선택된 시 군 구에서 읍 면 동 등의 행정구역을 무작위로 추출한다. 그리고 4단계에서는 이들 읍 면 동에서 \'면의 리\'나 \'동의 통\'을 선택한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리\'또는 \'통\'에 거주하는 유권자들의 명부를 보고 이들에 대해서 전수조사를 실시하거나 이들 중에서 일부를 무작위적으로 선택한다.
- 집락적 표본추출의 단계 -
[제1단계] : 집락수준의 수(the number of levels of cluster)를 결정한다.
[제2단계] : 각 집락수준으로부터 결정된 수만큼을 무작위적으로(randomly) 선택한다.
[제3단계] : 최종적인 표본추출단위는 집단(groups)이다.
이와 같이 개인을 추출하지 않고 먼저 집락을 추출하는 집락적 표본추출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장점을 지닌다.
첫째, 집락적 표본추출은 단순무작위 표본추출이나 층화적 표본추출과는 달리 모집단의 목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집락적 표본추출의 경우 모집단의 목록은 없어도 되며, 오직 최종집락으로부터 개인들을 추출하므로 최종집락의 목록만 있으면 된다.
둘째, 시간과 비용 상에서 집락적 표본추출은 단순무작위 표본추출이나 층화적 표본추출에 비해서 훨씬 더 효율적이다. 단순무작위 표본추출이나 층화적 표본추출의 경우 모집단으로부터 개별적 표본을 추출하므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비된다. 그러나 집락적 표본추출의 경우 모집단 속의 개별적 표본이 아닌 집락을 먼저 추출한 후 규모가 작아진 집락으로부터 개별적 표본을 추출하게 되므로 시간과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집락적 표본추출이 지니는 치명적 단점으로는 표본추출오류(sampling error)를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미디어 조사 방법론
사회복지조사론 표본추출의 논리
(A+ 레포트) 표본추출법 (Sampling Method) - 확률 표본추출, 비확률표본추출
(A+ 레포트) 표본추출법 (Sampling Method) - 확률 표본추출, 비확률표본추출
★1.가족복지정책의 배경, 개념, 필요성 및 전망과 과제, 유럽과의 비교분석, 2. 표본조사의 ...
사회복지조사에서 조사 대상자를 선정할 때, 비확률적 표본추출을 사용하는 이유와 이
[사회복지조사론] 샘플링(표본추출) - 표본조사와 표본추출의 개념과 용어 및 모집단의 중요...
방통대 통계조사방법론 과제
[비확률표본추출] 비확률표집의 종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