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서론
우리나라 의료제도 현황
의료민영화 추진배경
의료서비스에 대한 정부시각 변화
본론
현정부 이전의 의료민영화 분석(김영삼->이명박)
현정부 의료민영화 정책
녹지국제병원 설립논쟁
찬반논쟁
논쟁의 원인
결론
보건의료 정책은 공공성의 영역?
의료민영화의 미래
우리나라 의료제도 현황
의료민영화 추진배경
의료서비스에 대한 정부시각 변화
본론
현정부 이전의 의료민영화 분석(김영삼->이명박)
현정부 의료민영화 정책
녹지국제병원 설립논쟁
찬반논쟁
논쟁의 원인
결론
보건의료 정책은 공공성의 영역?
의료민영화의 미래
본문내용
⦁취약한 공공의료
전체 병원수의 10%, 전체병상의 18%가 공공병상. 민간의료중심의 자유기업형 의료체계를 지닌 미국(33.2%), 일본(35.8%), 대만(33%)도 각기 공공병상의 비율이 30%를 상회, 의료이용의 형평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유럽 대다수 국가들은 공공병상의 비율이 60~100%에 이름
⦁병원의 이윤극대화 행태
-> 도시지역에 집중되는 병의원 설립,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보다 치료 위주, 정신적 의료보다 신체적 의료 위주, 건강보험에 적용되지 않는 고가의 진단의료장비 중심으로 비급여 진료 증가(불필요한 검사, 투약 및 수술 -> 과잉진료)
⦁ 고가의료장비의 경쟁적 도입 및 지나친 확산
-> 의료비 팽창(05년 기준 한국 인구 백만명당 CT수는 32.2대 > OECD 22개국 중 가장 많음. 인구 백만명당 MRI 수도 12.1대로 OECD 평균이 9.9대 보다 많음)
전체 병원수의 10%, 전체병상의 18%가 공공병상. 민간의료중심의 자유기업형 의료체계를 지닌 미국(33.2%), 일본(35.8%), 대만(33%)도 각기 공공병상의 비율이 30%를 상회, 의료이용의 형평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유럽 대다수 국가들은 공공병상의 비율이 60~100%에 이름
⦁병원의 이윤극대화 행태
-> 도시지역에 집중되는 병의원 설립,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보다 치료 위주, 정신적 의료보다 신체적 의료 위주, 건강보험에 적용되지 않는 고가의 진단의료장비 중심으로 비급여 진료 증가(불필요한 검사, 투약 및 수술 -> 과잉진료)
⦁ 고가의료장비의 경쟁적 도입 및 지나친 확산
-> 의료비 팽창(05년 기준 한국 인구 백만명당 CT수는 32.2대 > OECD 22개국 중 가장 많음. 인구 백만명당 MRI 수도 12.1대로 OECD 평균이 9.9대 보다 많음)
추천자료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민간의료보험도입(의료민영화), 의료보험조합방식과 통합방식 보고서
우리나라의 영리 병원 도입 방안과 시사점, 영리병원에 대한 찬반론, 영리병원에 대한 나의 ...
의료민영화가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문제B형)추적한국건강불평등을 읽고 의료를 서비스로 간주하는 관점의 등장배경과 ...
영리병원도입 및 민간보험활성화 (의료체계,영리병원관련법안)
[기업]지방공기업(지방공영기업)의 의미, 성격, 지방공기업(지방공영기업)의 공익성, 자율성,...
[지방공기업]지방공기업(지방공영기업)의 개념, 특징, 지방공기업(지방공영기업)의 설립동기,...
의료민영화의 찬반론(찬성과 반대의견) 분석 - 의료민영화 도입배경, 비영리의료기간 설립이...
요양병원 설립형태의 장단점 비교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