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1 여는 말
1.2 연구 대상
1.3 연구 방법
본론
2.눈에 대한 존재론적 은유
2.1 눈은 감정이다.
2.2 눈은 공간이다.
2.3 눈은 날씨이다.
2.4 눈은 무기이다.
2.5 눈은 독이다
2.6 눈은 전류이다
2.7 눈은 물이다.
2.8 눈은 별이다.
2.9 눈은 빛이다.
2.10 눈은 유리이다.
2.11 눈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이다
2.12 눈은 구슬이다.
3. 눈에 대한 방향적 은유
맺음말
4. 맺음말
1.1 여는 말
1.2 연구 대상
1.3 연구 방법
본론
2.눈에 대한 존재론적 은유
2.1 눈은 감정이다.
2.2 눈은 공간이다.
2.3 눈은 날씨이다.
2.4 눈은 무기이다.
2.5 눈은 독이다
2.6 눈은 전류이다
2.7 눈은 물이다.
2.8 눈은 별이다.
2.9 눈은 빛이다.
2.10 눈은 유리이다.
2.11 눈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이다
2.12 눈은 구슬이다.
3. 눈에 대한 방향적 은유
맺음말
4. 맺음말
본문내용
높다.
2.11 눈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이다.
눈, 특히 시선은 상대에게 메시지를 전하는 도구로 표현된다. 이는 실제로도 눈을 포함한 상대의 표정을 통해 상대의 의사와 의도를 유추할 수 있다는 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눈의 특징으로 인해, 눈은 실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사물들에 자주 은유된다. 허나 메시지를 전하는 도구는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 제일 대표적인 것은 언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눈은 종종 언어와 동일시된다. 또한 편지나 선물, 또는 전화와 같은 다양한 사물에 은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들은 상대방에게 송신되고 또 자신에게 수신된다는 점에서 \'보내다\';\'전하다\',\'받다\'와 같은 동사로도 표현된다.
(15) ㄱ. 눈빛으로 말하고 있어!
ㄴ. 눈에 내 마음 담아 그대에게 전합니다.
ㄷ. 눈에서 눈으로 전해집니다.
ㄹ. 그의 시선을 받고 있노라니 마음이 진정되질 않는구나.
2.12 눈은 구슬이다.
눈은 구술과 같은 유리로 된 동그랗고 작은 물질에 은유된다. 이는 눈이 마치 구슬과 같이 생겼기 때문에 구술의 형태적인 면을 공통개념으로 하여 성립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구술이 지면에 구르고 회전하는, 운동방식의 측면에서 은유가 되기도 한다. 다음은 구슬의 운동을 공통개념으로 하여 성립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는 표현들이다.
(16) ㄱ. 거기, 너! 눈알 굴리지마.
ㄴ. 눈 돌아가는 소리 들린다.
위는 주체가 시선을 이동함으로써 눈동자를 움직이는 행위를 구슬의 운동에 빗대어 나타낸 것이다.
3. 눈에 대한 방향적 은유
눈에 대한 은유 중 공간내의 방향과 관련된 은유를 찾을 수 있었다.
(17) ㄱ. 너는 참 눈도 높구나, 눈을 좀 낮추는 게 시집가는데 도움이 될 거야.
ㄴ. 눈높이 사랑, 눈높이 교육 (대교교육)
위의 예시들은 눈은 통해 대상에 대한 가치를 판별하는 것을 공간내의 높낮이의 방향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는 눈에 대한 방향적인 은유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즉, 눈에 대한 은유는 관찰하는 대상이 높다는 개념을 통해 \'대상의 수준이 높음\'을 나타내고 공간상의 낮다는 개념을 통해 \'수준 낮음\'을 표현하고 있다. 이렇게 눈에 대한 방향적 은유가 주로 높고 낮음에 의해 나타나 그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데 쓰이는 반면, 위, 아래에 대한 은유는 상대적으로 찾아보기 힘들다. \'윗눈\', \'아랫눈\'이라는 어휘는 윗 눈꺼풀과 아랫 눈꺼풀을 이르는 말로 쓰여, 이것은 은유가 될 수 없었다. 또한 방향적 은유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이 아래와 같이 양이나 권력의 측면으로 나타나 있는 것도 찾기 어렵다.
(18) ㄱ. 높으신 분이 하시는 말씀이니 맞는 거겠지. 뭐 (힘의 개념)
ㄴ. 고소득/저소득 (양의 개념)
맺음말
4. 맺음말
이상으로 우리는 눈에 대한 은유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눈은 대상을 시각적으로 관찰하는 대상으로, 그에 따른 추상적인 관념들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많은 은유가 사용된다. 은유에는 구조적 은유, 존재론적 은유, 방향적 은유가 있는데, 현대 우리말의 눈에 대한 은유에는, 구조적 은유, 즉 눈을 어떠한 한 개념의 체계적인 구조를 반영한 경우는 별로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눈은 날씨이다‘의 경우에서 날씨를 기온과 기후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다는 점에서 약간의 구조적인 특징을 발견하였으나, 이것을 체계화하기에는 아직 어려움이 있다 한편, 눈에 관한 존재론적 은유는 비교적 다양하고 우리말에서 매우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눈은 감정과 마음을 많이 반영한다는 사람들의 인식으로 인해, 감정이나 마음에 대한 은유와 많이 겹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감정, 마음에 대한 은유가 완벽히 눈의 감정, 공간에 대한 은유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그 외에도 눈은 다양한 사물에 은유되고 있었다. 무기, 독, 전류, 물, 별, 빛, 유리,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 구슬 등의 사물들은 시선이나, 눈의 움직임, 눈에서 느껴지는 분위기 등 눈의 풍성하고 다양한 측면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다. 눈에 관한 방향적 은유는 존재론적 은유보다는 적었으나 어느 정도 찾아낼 수 있었다. 눈에 관한 방향적 은유는 주로 평가에 대한 표현으로 사용되는데, 양이나 힘에 대한 의미는 내포하고 있지 않을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이상으로 우리조의 보고서를 마치며 우리의 조사가 우리말 언중이 눈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사물에 빗대어 눈의 다양한 측면을 표현하는지에 대해 기여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2.11 눈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이다.
눈, 특히 시선은 상대에게 메시지를 전하는 도구로 표현된다. 이는 실제로도 눈을 포함한 상대의 표정을 통해 상대의 의사와 의도를 유추할 수 있다는 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눈의 특징으로 인해, 눈은 실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사물들에 자주 은유된다. 허나 메시지를 전하는 도구는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 제일 대표적인 것은 언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눈은 종종 언어와 동일시된다. 또한 편지나 선물, 또는 전화와 같은 다양한 사물에 은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들은 상대방에게 송신되고 또 자신에게 수신된다는 점에서 \'보내다\';\'전하다\',\'받다\'와 같은 동사로도 표현된다.
(15) ㄱ. 눈빛으로 말하고 있어!
ㄴ. 눈에 내 마음 담아 그대에게 전합니다.
ㄷ. 눈에서 눈으로 전해집니다.
ㄹ. 그의 시선을 받고 있노라니 마음이 진정되질 않는구나.
2.12 눈은 구슬이다.
눈은 구술과 같은 유리로 된 동그랗고 작은 물질에 은유된다. 이는 눈이 마치 구슬과 같이 생겼기 때문에 구술의 형태적인 면을 공통개념으로 하여 성립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구술이 지면에 구르고 회전하는, 운동방식의 측면에서 은유가 되기도 한다. 다음은 구슬의 운동을 공통개념으로 하여 성립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는 표현들이다.
(16) ㄱ. 거기, 너! 눈알 굴리지마.
ㄴ. 눈 돌아가는 소리 들린다.
위는 주체가 시선을 이동함으로써 눈동자를 움직이는 행위를 구슬의 운동에 빗대어 나타낸 것이다.
3. 눈에 대한 방향적 은유
눈에 대한 은유 중 공간내의 방향과 관련된 은유를 찾을 수 있었다.
(17) ㄱ. 너는 참 눈도 높구나, 눈을 좀 낮추는 게 시집가는데 도움이 될 거야.
ㄴ. 눈높이 사랑, 눈높이 교육 (대교교육)
위의 예시들은 눈은 통해 대상에 대한 가치를 판별하는 것을 공간내의 높낮이의 방향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는 눈에 대한 방향적인 은유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즉, 눈에 대한 은유는 관찰하는 대상이 높다는 개념을 통해 \'대상의 수준이 높음\'을 나타내고 공간상의 낮다는 개념을 통해 \'수준 낮음\'을 표현하고 있다. 이렇게 눈에 대한 방향적 은유가 주로 높고 낮음에 의해 나타나 그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데 쓰이는 반면, 위, 아래에 대한 은유는 상대적으로 찾아보기 힘들다. \'윗눈\', \'아랫눈\'이라는 어휘는 윗 눈꺼풀과 아랫 눈꺼풀을 이르는 말로 쓰여, 이것은 은유가 될 수 없었다. 또한 방향적 은유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이 아래와 같이 양이나 권력의 측면으로 나타나 있는 것도 찾기 어렵다.
(18) ㄱ. 높으신 분이 하시는 말씀이니 맞는 거겠지. 뭐 (힘의 개념)
ㄴ. 고소득/저소득 (양의 개념)
맺음말
4. 맺음말
이상으로 우리는 눈에 대한 은유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눈은 대상을 시각적으로 관찰하는 대상으로, 그에 따른 추상적인 관념들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많은 은유가 사용된다. 은유에는 구조적 은유, 존재론적 은유, 방향적 은유가 있는데, 현대 우리말의 눈에 대한 은유에는, 구조적 은유, 즉 눈을 어떠한 한 개념의 체계적인 구조를 반영한 경우는 별로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눈은 날씨이다‘의 경우에서 날씨를 기온과 기후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다는 점에서 약간의 구조적인 특징을 발견하였으나, 이것을 체계화하기에는 아직 어려움이 있다 한편, 눈에 관한 존재론적 은유는 비교적 다양하고 우리말에서 매우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눈은 감정과 마음을 많이 반영한다는 사람들의 인식으로 인해, 감정이나 마음에 대한 은유와 많이 겹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감정, 마음에 대한 은유가 완벽히 눈의 감정, 공간에 대한 은유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그 외에도 눈은 다양한 사물에 은유되고 있었다. 무기, 독, 전류, 물, 별, 빛, 유리,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 구슬 등의 사물들은 시선이나, 눈의 움직임, 눈에서 느껴지는 분위기 등 눈의 풍성하고 다양한 측면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다. 눈에 관한 방향적 은유는 존재론적 은유보다는 적었으나 어느 정도 찾아낼 수 있었다. 눈에 관한 방향적 은유는 주로 평가에 대한 표현으로 사용되는데, 양이나 힘에 대한 의미는 내포하고 있지 않을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이상으로 우리조의 보고서를 마치며 우리의 조사가 우리말 언중이 눈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사물에 빗대어 눈의 다양한 측면을 표현하는지에 대해 기여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추천자료
포털사이트에 대한 이해와 포털사이트의 웹사이트 평가 분석
온라인교육(사이버교육, 인터넷교육)의 특성, 온라인교육(사이버교육, 인터넷교육)의 현황, ...
[비유][비유 의미][비유 유형][비유 기능][비유 효과][직유법][은유법][대유법][의인법]비유...
[비유, 비유 정의, 비유 분류, 비유와 형식구조, 비유와 표현방법, 비유와 성경, 형식구조, ...
[표현, 연속성, 언어표현, 색상어휘, 표현언어, 얼굴표정, 연극]표현과 연속성, 표현과 언어...
[프레즌스][프레젠스][임장감]프레즌스(프레젠스, 임장감)의 의미, 프레즌스(프레젠스, 임장...
[개념]개념의 정의, 개념의 성격, 개념과 개념화, 개념과 개념개발, 개념과 개념적 은유론, ...
「귀천(歸天)」의 인지시학적 분석 _ 천상병 저
[레포트] 관용어 (정의 의미특성 의미관계 결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