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Ⅰ. 문헌고찰
1) 위장관의 구조 -----------------------------------------------------1
2) 위장관의 기능과 작용 --------------------------------------------2
3) Acute Gastroenteritis ---------------------------------------------3
①정의
②원인
③병태생리
④임상증상
⑤진단검사
⑥치료
⑦예후 및 관리
4) Acute Tonsillitis ---------------------------------------------------7
①정의
②원인
③병태생리
④임상증상
⑤진단검사
⑥치료
⑦예후 및 관리
Ⅱ. 간호정보조사지 -----------------------------------------------------10
Ⅲ. 진단검사 결과기록지 -----------------------------------------------14
Ⅳ. 약물 -----------------------------------------------------------------22
Ⅴ. 간호과정 ------------------------------------------------------------24
1)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2) 장운동과 관련된 급성통증
3) 설사 및 구토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
※ 참고문헌 -------------------------------------------------------------49
1) 위장관의 구조 -----------------------------------------------------1
2) 위장관의 기능과 작용 --------------------------------------------2
3) Acute Gastroenteritis ---------------------------------------------3
①정의
②원인
③병태생리
④임상증상
⑤진단검사
⑥치료
⑦예후 및 관리
4) Acute Tonsillitis ---------------------------------------------------7
①정의
②원인
③병태생리
④임상증상
⑤진단검사
⑥치료
⑦예후 및 관리
Ⅱ. 간호정보조사지 -----------------------------------------------------10
Ⅲ. 진단검사 결과기록지 -----------------------------------------------14
Ⅳ. 약물 -----------------------------------------------------------------22
Ⅴ. 간호과정 ------------------------------------------------------------24
1)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2) 장운동과 관련된 급성통증
3) 설사 및 구토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
※ 참고문헌 -------------------------------------------------------------49
본문내용
잘 안먹어요‘
(보호자 사정)
:‘입맛이 없어요’(대상자 사정)
11/1
SN
안지예
간호계획
진
단
번
호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입원 전 체중(24kg)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식욕이 좋아졌다고 말한다.
②대상자는 3일 이내에 영양결핍으로 인한 건강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3
<간호계획>
1. 진단적 지시
1-1. 매일 식이를 관찰한다.
(근거: 식이기록은 문제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며,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식이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1-2. 혈액검사 Hb, Hct, Ketones, Creatine 수치 등을 모니터링하고 비정상 수치를 기록한다.
(근거: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케톤, 크레아틴 등의 수치가 비정상일 경우, 영양부족의 위험인자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1-3.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근거: 영양부족은 일일 권장량보다 섭취량이 부족하거나, 섭취한 영양분이 과도한 손실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1-4. 매일 일정한 시간에 체중을 측정한다.
(근거: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신체요구량보다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야 하기 때문이다.)
2. 치료적 지시
2-1.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라 전해질과 영양을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근거: 정맥으로의 수액공급은 빠른 체액교정의 효과가 있으며, 경구적으로 보충하기 부족한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으로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
2-2. 식사 도중에는 과도한 수분섭취를 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근거: 수분섭취는 포만감을 야기해 다른 영양가 있는 음식섭취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2-3. 식사 전 후로 좋은 구강 위생을 제공한다.
(근거: 구강 위생을 통해 식욕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교육적 지시
3-1. 영양 섭취의 중요성에 대해서 교육한다.
(근거: 식이조절이 필요하다면 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양부족의 위험성을 인식시켜 간호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3-2. 보호자에게 동일한 시간 (매일 아침)에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하도록 교육한다.
(근거: 급격한 체중변화는 우리 몸의 체액 불균형을 나타낸다. 대상자의 체중을 계속 관찰할 수 있는 보호자에게 정확한 체중 사정의 필요성을 교육함으로써 정확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3-3. 보호자에게 사교적인 환경으로 대상자와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근거: 사교적인 분위기에서 하는 식사는 식욕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간호수행
진단
번호
수행
날짜
수행
#3
10/29 ~ 11/2
1-1. 매일 식이를 관찰하였다.
10/29
입원
NPO
저녁
소아죽
10/30
아침
소아죽
점심
소아죽
저녁
소아죽
10/31
아침
정상 식사
점심
정상 식사
저녁
정상 식사
11/1
아침
정상 식사
점심
정상 식사
저녁
정상 식사
11/2
퇴원
1-2. 혈액검사 Hb, Hct, Ketones, Creatine 수치 등을 모니터링하고 비정상 수치를 기록하였다.
10/29
11/1
▼12.4
14.6
· Hb 임상결과
10/29
11/1
▼37.6
43.4
· Hct 임상결과
10/29
11/1
▲+3
-
· Ketones 임상결과
· creatine 임상결과
10/29
11/1
▼0.42
▼0.41
1-3.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하였다.
날짜
섭취량
배설량
대변
소변
10/29
오후 4시까지 NPO
저녁 소아죽
물 0.6L 섭취
입원 전 6회
3회
입원 후 3회
10/30
아침, 점심, 저녁 소아죽
물 1L 섭취
1회
3회
10/31
아침, 점심, 저녁 정상식이
물 1.2L 섭취
0회
4회
11/1
아침, 점심, 저녁 정상식이
물 1.2L 섭취
1회
3회
11/2
퇴원
1-4. 매일 일정한 시간(아침 식전)에 체중을 측정하다.
날짜
10/29
10/30
10/31
11/1
11/2
체중
24.0kg
23.8kg
23.6kg
24.2kg
24.8kg
Sodium Chloride and Glucose Inj 500mL(1:4)/
Dextrose, Sodium Chloride
(영양제, IV)
10/29~11/2 투여
Isotonic Sodium Chloride 200mL
(전해질 수액, IV)
10/29~10/30 투여
2-1.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라 전해질과 영양을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2-2. 식사 도중 과도한 수분섭취를 하지 않도록, 식사 시간에는 종이컵 1잔의 물만 제공하여 마시게 하였다.
2-3. 대상자에게 식사 전 후로 가글을 이용하여 구강위생을 실시하였다
3-1.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건강에 대한 설명과 영양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3-2 .보호자에게 동일한 시간 (매일 아침)에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하도록 교육하였다.
3-3. 보호자에게 사교적인 환경으로 대상자와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진단
번호
수행
날짜
평가 내용
#3
11/2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입원 전 체중(24kg)을 유지한다.
▶달성: 퇴원 날(11/2)체중이 입원 전 체중인 24kg보다 0.8kg 증가하였으므로 달성되었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식욕이 좋아졌다고 말한다.
▶달성: 대상자는 31일부터 정상식사를 하였으며, 정상식사를 한 이후부터 밥이 맛있다고 말하였으므로, 목표가 달성되었다.
②대상자는 3일 이내에 영양결핍으로 인한 건강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달성: 대상자는 특별한 건강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목표가 달성되었다.
※. 참고문헌
아동간호학(2018), 방경숙 외, 학지사메디컬
아동간호학(2014), 방경숙 외, 정담미디어
핵심 해부생리학 5판(2010), 윤 호 외, ㈜바이오사이언스출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3판(2013), 차영남 외,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원종순 외, 현문사
간호진단과 중재(2000), 이은옥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1995), 최정신, 현문사
약학 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약물 정보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보호자 사정)
:‘입맛이 없어요’(대상자 사정)
11/1
SN
안지예
간호계획
진
단
번
호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입원 전 체중(24kg)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식욕이 좋아졌다고 말한다.
②대상자는 3일 이내에 영양결핍으로 인한 건강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3
<간호계획>
1. 진단적 지시
1-1. 매일 식이를 관찰한다.
(근거: 식이기록은 문제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며,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식이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1-2. 혈액검사 Hb, Hct, Ketones, Creatine 수치 등을 모니터링하고 비정상 수치를 기록한다.
(근거: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케톤, 크레아틴 등의 수치가 비정상일 경우, 영양부족의 위험인자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1-3.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근거: 영양부족은 일일 권장량보다 섭취량이 부족하거나, 섭취한 영양분이 과도한 손실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1-4. 매일 일정한 시간에 체중을 측정한다.
(근거: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신체요구량보다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야 하기 때문이다.)
2. 치료적 지시
2-1.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라 전해질과 영양을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근거: 정맥으로의 수액공급은 빠른 체액교정의 효과가 있으며, 경구적으로 보충하기 부족한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으로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
2-2. 식사 도중에는 과도한 수분섭취를 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근거: 수분섭취는 포만감을 야기해 다른 영양가 있는 음식섭취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2-3. 식사 전 후로 좋은 구강 위생을 제공한다.
(근거: 구강 위생을 통해 식욕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교육적 지시
3-1. 영양 섭취의 중요성에 대해서 교육한다.
(근거: 식이조절이 필요하다면 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양부족의 위험성을 인식시켜 간호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3-2. 보호자에게 동일한 시간 (매일 아침)에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하도록 교육한다.
(근거: 급격한 체중변화는 우리 몸의 체액 불균형을 나타낸다. 대상자의 체중을 계속 관찰할 수 있는 보호자에게 정확한 체중 사정의 필요성을 교육함으로써 정확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3-3. 보호자에게 사교적인 환경으로 대상자와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근거: 사교적인 분위기에서 하는 식사는 식욕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간호수행
진단
번호
수행
날짜
수행
#3
10/29 ~ 11/2
1-1. 매일 식이를 관찰하였다.
10/29
입원
NPO
저녁
소아죽
10/30
아침
소아죽
점심
소아죽
저녁
소아죽
10/31
아침
정상 식사
점심
정상 식사
저녁
정상 식사
11/1
아침
정상 식사
점심
정상 식사
저녁
정상 식사
11/2
퇴원
1-2. 혈액검사 Hb, Hct, Ketones, Creatine 수치 등을 모니터링하고 비정상 수치를 기록하였다.
10/29
11/1
▼12.4
14.6
· Hb 임상결과
10/29
11/1
▼37.6
43.4
· Hct 임상결과
10/29
11/1
▲+3
-
· Ketones 임상결과
· creatine 임상결과
10/29
11/1
▼0.42
▼0.41
1-3.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하였다.
날짜
섭취량
배설량
대변
소변
10/29
오후 4시까지 NPO
저녁 소아죽
물 0.6L 섭취
입원 전 6회
3회
입원 후 3회
10/30
아침, 점심, 저녁 소아죽
물 1L 섭취
1회
3회
10/31
아침, 점심, 저녁 정상식이
물 1.2L 섭취
0회
4회
11/1
아침, 점심, 저녁 정상식이
물 1.2L 섭취
1회
3회
11/2
퇴원
1-4. 매일 일정한 시간(아침 식전)에 체중을 측정하다.
날짜
10/29
10/30
10/31
11/1
11/2
체중
24.0kg
23.8kg
23.6kg
24.2kg
24.8kg
Sodium Chloride and Glucose Inj 500mL(1:4)/
Dextrose, Sodium Chloride
(영양제, IV)
10/29~11/2 투여
Isotonic Sodium Chloride 200mL
(전해질 수액, IV)
10/29~10/30 투여
2-1.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라 전해질과 영양을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2-2. 식사 도중 과도한 수분섭취를 하지 않도록, 식사 시간에는 종이컵 1잔의 물만 제공하여 마시게 하였다.
2-3. 대상자에게 식사 전 후로 가글을 이용하여 구강위생을 실시하였다
3-1.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건강에 대한 설명과 영양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3-2 .보호자에게 동일한 시간 (매일 아침)에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하도록 교육하였다.
3-3. 보호자에게 사교적인 환경으로 대상자와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진단
번호
수행
날짜
평가 내용
#3
11/2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입원 전 체중(24kg)을 유지한다.
▶달성: 퇴원 날(11/2)체중이 입원 전 체중인 24kg보다 0.8kg 증가하였으므로 달성되었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식욕이 좋아졌다고 말한다.
▶달성: 대상자는 31일부터 정상식사를 하였으며, 정상식사를 한 이후부터 밥이 맛있다고 말하였으므로, 목표가 달성되었다.
②대상자는 3일 이내에 영양결핍으로 인한 건강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달성: 대상자는 특별한 건강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목표가 달성되었다.
※. 참고문헌
아동간호학(2018), 방경숙 외, 학지사메디컬
아동간호학(2014), 방경숙 외, 정담미디어
핵심 해부생리학 5판(2010), 윤 호 외, ㈜바이오사이언스출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3판(2013), 차영남 외,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원종순 외, 현문사
간호진단과 중재(2000), 이은옥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1995), 최정신, 현문사
약학 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약물 정보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