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질병선정이유
2. 문헌고찰
Ⅱ. 본론
1. 대상자 소개
1. 질병선정이유
2. 문헌고찰
Ⅱ. 본론
1. 대상자 소개
본문내용
법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잦은 설사와 지속적인 대소변 자극으로 인해 회음부 주위 피부손상 위험성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기저귀를 교환 할 때마다 둔부와 회음부의 피부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깨끗하게 씻어주며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Ⅱ. 본론
1. 대상자 소개
대상자정보
이름 안OO 성별 남 연령 22개월 키 84.9cm 몸무게 11.8kg
진단명 바이러스성 급성 위장염 (Acute Gastroenteritis : AGE)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과학적 근거
우선순위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합리적 근거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보호자
: “열좀 재주세요.
아이 피부가 뜨겁고
땀을 흘려요.”
- 아기 피부가 홍조를 띄고 칭얼거리는 모습.
가쁜 호흡양상
- 활력징후 측정
체온(BT)
호흡(R)
▲
▲
#2.
설사 및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위험성
보호자
: “ 아이가 축 늘어져
있어요.”
“오늘 하루 종일 구토 4번, 설사를 7번이나 했어요”
-피부와 혀 점막의 건조
-소변량의 감소
-허약, 의식 흐림
체액량 감소를 의미하는 임상적 결과 수치Hb
▼
HCT
▼
MCV
▼
MCH
▼
#3.
설사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보호자
: “아이 엉덩이가 빨갛게 짓물렀어요.“
-엉덩이에 발적, 열감,
짓무름 관찰
-환부를 건드리면 운다.
- 관찰결과
⇒우선순위 간호에 따라, #1.고체온과 #2.체액부족 위험성에 대한 간호를 계획하였다.
2) 간호계획
#1. 우선순위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 고체온 정의
: 체온이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하고, 고체온의 생리적 지표(홍조, 가쁜 호흡, 발한, 열감)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6시간 안에 체온이 37.5도(미열) 이하로 내려간다.
② 대상자는 6시간 내에 고체온의 생리적 지표(홍조, 가쁜호흡, 발한, 열감)가 나타나지 않는다.
③ 보호자는 1일 이내에 미온수 마사지방법에 대해 알고 직접 시행 할 수 있다.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② 대상자의 신체적 생리적 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①,② 사정한 자료는 고체온에 관한 간호계획을 수행하고 평가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치료적 계획>
③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른 해열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④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라 정맥으로 수분 및 전해질 공급을 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③ 적절한 약물의 적용은 체온감소에 효과적이다.
④ 적절한 수화는 증상을 완화시키고, 고체온으로 인한 탈수를 방지한다.
<교육적 계획>
⑤ 대상자가 오한을 느끼지 않으면 미온수 스펀지 목욕을 적용하고, 보호자에게 적용 법을 교육한다.
⑥ 대상자의 병실을 환기시켜 공기를 차갑게 하도록 교육한다.
⑤ 체온이 쉽게 내려가며, 피부표면의 열이 급격히 감소한다.
⑥ 방사와 전도, 대류에 의한 주위 환경의 열을 방출하기 위함이다.
※. 참고문헌
1. 방경숙 외(2018). 아동간호학2판. 학지사 메디컬.
2. 조결자 외(2005). 아동간호학Ⅱ. 현문사.
3. 김미예 외(1994). 아동간호학Ⅱ. 수문사.
4. 김계숙 외(1999). 아동간호학 (하). 신광출판사.
5. 이은옥 외(2003).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
6. 진성림(2005). 호흡기 질환. 신원문화사.
7.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원종순 외.
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9. 사진첨부 : [www.google.co.kr]
10.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또한 잦은 설사와 지속적인 대소변 자극으로 인해 회음부 주위 피부손상 위험성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기저귀를 교환 할 때마다 둔부와 회음부의 피부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깨끗하게 씻어주며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Ⅱ. 본론
1. 대상자 소개
대상자정보
이름 안OO 성별 남 연령 22개월 키 84.9cm 몸무게 11.8kg
진단명 바이러스성 급성 위장염 (Acute Gastroenteritis : AGE)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과학적 근거
우선순위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합리적 근거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보호자
: “열좀 재주세요.
아이 피부가 뜨겁고
땀을 흘려요.”
- 아기 피부가 홍조를 띄고 칭얼거리는 모습.
가쁜 호흡양상
- 활력징후 측정
체온(BT)
호흡(R)
▲
▲
#2.
설사 및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위험성
보호자
: “ 아이가 축 늘어져
있어요.”
“오늘 하루 종일 구토 4번, 설사를 7번이나 했어요”
-피부와 혀 점막의 건조
-소변량의 감소
-허약, 의식 흐림
체액량 감소를 의미하는 임상적 결과 수치Hb
▼
HCT
▼
MCV
▼
MCH
▼
#3.
설사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보호자
: “아이 엉덩이가 빨갛게 짓물렀어요.“
-엉덩이에 발적, 열감,
짓무름 관찰
-환부를 건드리면 운다.
- 관찰결과
⇒우선순위 간호에 따라, #1.고체온과 #2.체액부족 위험성에 대한 간호를 계획하였다.
2) 간호계획
#1. 우선순위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 고체온 정의
: 체온이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하고, 고체온의 생리적 지표(홍조, 가쁜 호흡, 발한, 열감)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6시간 안에 체온이 37.5도(미열) 이하로 내려간다.
② 대상자는 6시간 내에 고체온의 생리적 지표(홍조, 가쁜호흡, 발한, 열감)가 나타나지 않는다.
③ 보호자는 1일 이내에 미온수 마사지방법에 대해 알고 직접 시행 할 수 있다.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② 대상자의 신체적 생리적 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①,② 사정한 자료는 고체온에 관한 간호계획을 수행하고 평가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치료적 계획>
③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른 해열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④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라 정맥으로 수분 및 전해질 공급을 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③ 적절한 약물의 적용은 체온감소에 효과적이다.
④ 적절한 수화는 증상을 완화시키고, 고체온으로 인한 탈수를 방지한다.
<교육적 계획>
⑤ 대상자가 오한을 느끼지 않으면 미온수 스펀지 목욕을 적용하고, 보호자에게 적용 법을 교육한다.
⑥ 대상자의 병실을 환기시켜 공기를 차갑게 하도록 교육한다.
⑤ 체온이 쉽게 내려가며, 피부표면의 열이 급격히 감소한다.
⑥ 방사와 전도, 대류에 의한 주위 환경의 열을 방출하기 위함이다.
※. 참고문헌
1. 방경숙 외(2018). 아동간호학2판. 학지사 메디컬.
2. 조결자 외(2005). 아동간호학Ⅱ. 현문사.
3. 김미예 외(1994). 아동간호학Ⅱ. 수문사.
4. 김계숙 외(1999). 아동간호학 (하). 신광출판사.
5. 이은옥 외(2003).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
6. 진성림(2005). 호흡기 질환. 신원문화사.
7.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원종순 외.
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9. 사진첨부 : [www.google.co.kr]
10.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