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태권도란?
-군 태권도의 역사
-군 태권도의 수련 목적과 구성
-태권도의 기본동작
-유급자 품새
-태권도 품새의 종류
결론
참고문헌
본론
-태권도란?
-군 태권도의 역사
-군 태권도의 수련 목적과 구성
-태권도의 기본동작
-유급자 품새
-태권도 품새의 종류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야 한다.
⑥ 태극 6장
태극 6장은 팔괘의 감(坎)을 의미하며 물을 나타내고 끊임없는 흐름과 유연함을 뜻한다. 만물의 생명원인 물의 특성처럼 기술의 연결이 물 흐르듯 해야 한다. 새로운 동작은 한손날 얼굴 비틀어막기, 돌려차기, 얼굴바깥막기, 바탕손 몸통막기가 있고 품새의 중간에 나란히 서기 아래 헤쳐막기가 있다. 유의할 점은 돌려차고 난 다음 찬 발을 정확이 앞으로 내딛기와 바탕손 몸통막기를 할 때는 막는 부위가 다르므로 팔목으로 막을 때보다 손바닥 길이만큼 낮추어야 한다.
⑦ 태극 7장
태극 7장은 팔괘의 간(艮)을 의미하며 산을 나타내고 육중함과 굳건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새로운 동작은 손날 아래막기, 바탕손 거들어막기, 보주먹, 가위막기, 무릎치기, 몸통 헤쳐막기, 제친 두주먹 몸통지르기, 엇걸어 아래막기, 표적치기, 옆지르기, 범서기, 주춤서기가 있다. 동작이 다양하므로 연결성에 중점을 둔다.
⑧ 태극 8장
태극 8장은 팔괘의 곤(坤)을 의미하며 곤은 음(陰)과 땅을 나타내며 뿌리와 안정 그리고 시작과 끝의 뜻을 지닌다. 새로운 동작은 두발당성, 바깥팔목 몸통 거들어 막기, 외산틀막기, 당겨 턱지르기, 거들어 아래막기, 뛰어차기, 팔굽 돌려치기가 있다.
유단자 품새
유단자 품새는 고려에서 일여까지 구성되어 있다.
⑨ 고려
고려 품새는 선비를 의미하며 선비는 강력한 상무정신과 곧은 선비정신을 나타내고 고구려-발해-고려로 이어지는 선비의의 얼을 바탕으로 한 품새로 구성되어 있다. 새로운 동작은 거듭 옆차기, 엎은 손날 바깥치기, 손날 아래막기, 칼제비 무릎 눌러 꺾기, 몸통 헤쳐막기, 주먹 표적 지르기, 편손끝 제쳐찌르기, 바탕손 눌러막기, 팔굽옆치기, 메주먹 아래표적치기, 등으로 태극품새와는 달리 유단자 품새 다운 기술이 많이 나온다. 준비서기는 통밀기이며 손의 위치가 상단전과 중단전사이로 신(神)과 정()이 합쳐지는 지점이므로 정신통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서기이다. 품새선은 사(士)자로 고려 품새의 의미인 선비를 뜻한다.
결론
우리는 태권도 수련을 통하여 극기와 인내력으로 부여된 임무를 완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 시키고 투철한 군인정신을 배양하며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는 강인한 전투 체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태권도의 정신인 예의, 염치, 인내, 극기, 백절불굴 등을 항상 몸에 익혀 수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방체육 교재 (진영사) 정재극·조남민 공저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이미지
⑥ 태극 6장
태극 6장은 팔괘의 감(坎)을 의미하며 물을 나타내고 끊임없는 흐름과 유연함을 뜻한다. 만물의 생명원인 물의 특성처럼 기술의 연결이 물 흐르듯 해야 한다. 새로운 동작은 한손날 얼굴 비틀어막기, 돌려차기, 얼굴바깥막기, 바탕손 몸통막기가 있고 품새의 중간에 나란히 서기 아래 헤쳐막기가 있다. 유의할 점은 돌려차고 난 다음 찬 발을 정확이 앞으로 내딛기와 바탕손 몸통막기를 할 때는 막는 부위가 다르므로 팔목으로 막을 때보다 손바닥 길이만큼 낮추어야 한다.
⑦ 태극 7장
태극 7장은 팔괘의 간(艮)을 의미하며 산을 나타내고 육중함과 굳건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새로운 동작은 손날 아래막기, 바탕손 거들어막기, 보주먹, 가위막기, 무릎치기, 몸통 헤쳐막기, 제친 두주먹 몸통지르기, 엇걸어 아래막기, 표적치기, 옆지르기, 범서기, 주춤서기가 있다. 동작이 다양하므로 연결성에 중점을 둔다.
⑧ 태극 8장
태극 8장은 팔괘의 곤(坤)을 의미하며 곤은 음(陰)과 땅을 나타내며 뿌리와 안정 그리고 시작과 끝의 뜻을 지닌다. 새로운 동작은 두발당성, 바깥팔목 몸통 거들어 막기, 외산틀막기, 당겨 턱지르기, 거들어 아래막기, 뛰어차기, 팔굽 돌려치기가 있다.
유단자 품새
유단자 품새는 고려에서 일여까지 구성되어 있다.
⑨ 고려
고려 품새는 선비를 의미하며 선비는 강력한 상무정신과 곧은 선비정신을 나타내고 고구려-발해-고려로 이어지는 선비의의 얼을 바탕으로 한 품새로 구성되어 있다. 새로운 동작은 거듭 옆차기, 엎은 손날 바깥치기, 손날 아래막기, 칼제비 무릎 눌러 꺾기, 몸통 헤쳐막기, 주먹 표적 지르기, 편손끝 제쳐찌르기, 바탕손 눌러막기, 팔굽옆치기, 메주먹 아래표적치기, 등으로 태극품새와는 달리 유단자 품새 다운 기술이 많이 나온다. 준비서기는 통밀기이며 손의 위치가 상단전과 중단전사이로 신(神)과 정()이 합쳐지는 지점이므로 정신통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서기이다. 품새선은 사(士)자로 고려 품새의 의미인 선비를 뜻한다.
결론
우리는 태권도 수련을 통하여 극기와 인내력으로 부여된 임무를 완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 시키고 투철한 군인정신을 배양하며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는 강인한 전투 체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태권도의 정신인 예의, 염치, 인내, 극기, 백절불굴 등을 항상 몸에 익혀 수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방체육 교재 (진영사) 정재극·조남민 공저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이미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