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물연구의 맥락적, 몰맥락적 방법론
2. 손진태의 연구/생애와 식민지 체제의 구조적 맥락
3. 손진태의 민족인식에 대한 변화
2. 손진태의 연구/생애와 식민지 체제의 구조적 맥락
3. 손진태의 민족인식에 대한 변화
본문내용
구조사이에서의 다면적인 행동양식을 포섭함으로 인해 개인에 대한 명확한 판단을 내리는 것을 거부한다. 이는 인물의 평가라는 목적론적인 시선에서는 다소 부적합 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 것이지만, 민족주의자 혹은 친일파, 혹은 이후의 납북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평가가 공존하는 가운데, 손진태의 인식적 특성과 그 위에서 작성된 텍스트에 대해 흥미로운 시각을 제공한다는 데에 있어 가치가있는 접근법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김성례, 「무속전통의 담론분석」, 『한국문화인류학』 22
- 김지선, 「손진태의 신민족주의와 신민족주의사학」,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7
- 남근우, 「’土民’의 ‘土俗’발견과 ‘新植民主義’」, 『남창손진태의 역사민속학연구』, 민속원, 2003
- 남근우, 「손진태의 민족문화론과 만선사학」, 『역사와현실』 28권, 한국역사연구회, 1998,
- 손진태, 「朝鮮民族の構成とその文化」, 『朝鮮思想通信』 16, 1927
- 손진태 저, 한국역사민속학회 편, 『南滄 손진태의 역사민속학연구』, 민속원, 2003
- 전경수, 『손진태의 문화인류학』, 민속원, 2010
- 조윤제, 「나의 국문학과 학위」, 『도남조윤제접집 5』, 태학사, 1952
<참고문헌>
- 김성례, 「무속전통의 담론분석」, 『한국문화인류학』 22
- 김지선, 「손진태의 신민족주의와 신민족주의사학」,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7
- 남근우, 「’土民’의 ‘土俗’발견과 ‘新植民主義’」, 『남창손진태의 역사민속학연구』, 민속원, 2003
- 남근우, 「손진태의 민족문화론과 만선사학」, 『역사와현실』 28권, 한국역사연구회, 1998,
- 손진태, 「朝鮮民族の構成とその文化」, 『朝鮮思想通信』 16, 1927
- 손진태 저, 한국역사민속학회 편, 『南滄 손진태의 역사민속학연구』, 민속원, 2003
- 전경수, 『손진태의 문화인류학』, 민속원, 2010
- 조윤제, 「나의 국문학과 학위」, 『도남조윤제접집 5』, 태학사, 195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