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1. 왜, 프로이트?
2. 프로이트의 연구
4. 정신분석과 철학
마치면서
(참고서적)
1. 왜, 프로이트?
2. 프로이트의 연구
4. 정신분석과 철학
마치면서
(참고서적)
본문내용
본능들로 구성되는 죽음의 본능을 타나토스(Thanatos)라 했다.
4. 정신분석과 철학
서양의 학자들은 어떤 두려움 때문에 무의식을 외면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무의식을 학문의 영역으로 격상시켜 탐구한 프로이트의 발상과 활동은 그 자체로 의학, 심리학, 철학을 넘어 인류 정신사의 혁명적 사건이다. 하지만 프로이트는 자신이 의학자로 불리는 것을 경계했고, 의식을 중시하는 심리학과 무의식을 중시하는 정신분석학은 다른 학문임을 강조했다. 또한 철학의 지나친 사변성을 경계하여 철학자로 불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신분석학이 철학에 너무나 큰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다.
ㆍ이론과 실천의 종합모델-철학은 대체로 어떤 전제나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유만을 사용할 뿐, 정밀한 관찰과 정서 체험에는 관심 갖지 않는다. 이에 비해 정신분석은 과학적 관찰과 인문학적 해석 및 사변활동을 병행하기에 현대 철학이 참고하기에 좋은 모델이 된다.
ㆍ의식 철학에 대한 반성기호-소크라테스 이후 철학에서는 인식의 초점이 의식의 관점과 기준에 집중되어 왔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런 관점이 통제하지 못하는 갈등, 부조리 현상, 신경증 증상, 꿈, 실수 등이 출현하게 된다. 프로이트가 이런 상황에서 무의식이라는 것을 꺼낸 일은 굉장한 일이 아닐 수 없다.
ㆍ현대의 철학적 인간관-전통 철학에서는 인간의 욕망을 동물의 본능과 동일시했다. 정신과 신체를 상호 대립적 타자성으로만 보던 전통적 관점에 문제를 제기한 것이 프로이트였다. 그 결과로 억압되기만 하던 욕망(다양한 성충동을 포함한)에 대해 긍정과 해방의 소리가 유행하게 된다.
마치면서
프로이트의 이론은 성을 너무 강조했다는 점, 과학적이라고 주장하지만 모호한 점 등등의 이유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앞에서 계속 언급한 것처럼 프로이트의 이론들은 인류의 정신사에 큰 영향을 준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의 이론의 양이 많으며 워낙 어려운 내용들이라 아직은 모르는 부분이 더 많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조금이나마 프로이트에 대해 알게 되어 좋은 경험이 되었다.
(참고서적)
30분에 읽는 프로이트(중앙M&B)
프로이트와 현대철학(열린책들)
프로이트와의 대화(학지사)
프로이트, 20세기의 해몽가(시공사)
인터넷 자료의 사용은 지양했으며, 각주의 내용은 각책의 각주와 미주의 내용을 발췌했고 일부는 네이버 백과사전의 내용을 사용했습니다.
4. 정신분석과 철학
서양의 학자들은 어떤 두려움 때문에 무의식을 외면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무의식을 학문의 영역으로 격상시켜 탐구한 프로이트의 발상과 활동은 그 자체로 의학, 심리학, 철학을 넘어 인류 정신사의 혁명적 사건이다. 하지만 프로이트는 자신이 의학자로 불리는 것을 경계했고, 의식을 중시하는 심리학과 무의식을 중시하는 정신분석학은 다른 학문임을 강조했다. 또한 철학의 지나친 사변성을 경계하여 철학자로 불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신분석학이 철학에 너무나 큰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다.
ㆍ이론과 실천의 종합모델-철학은 대체로 어떤 전제나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유만을 사용할 뿐, 정밀한 관찰과 정서 체험에는 관심 갖지 않는다. 이에 비해 정신분석은 과학적 관찰과 인문학적 해석 및 사변활동을 병행하기에 현대 철학이 참고하기에 좋은 모델이 된다.
ㆍ의식 철학에 대한 반성기호-소크라테스 이후 철학에서는 인식의 초점이 의식의 관점과 기준에 집중되어 왔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런 관점이 통제하지 못하는 갈등, 부조리 현상, 신경증 증상, 꿈, 실수 등이 출현하게 된다. 프로이트가 이런 상황에서 무의식이라는 것을 꺼낸 일은 굉장한 일이 아닐 수 없다.
ㆍ현대의 철학적 인간관-전통 철학에서는 인간의 욕망을 동물의 본능과 동일시했다. 정신과 신체를 상호 대립적 타자성으로만 보던 전통적 관점에 문제를 제기한 것이 프로이트였다. 그 결과로 억압되기만 하던 욕망(다양한 성충동을 포함한)에 대해 긍정과 해방의 소리가 유행하게 된다.
마치면서
프로이트의 이론은 성을 너무 강조했다는 점, 과학적이라고 주장하지만 모호한 점 등등의 이유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앞에서 계속 언급한 것처럼 프로이트의 이론들은 인류의 정신사에 큰 영향을 준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의 이론의 양이 많으며 워낙 어려운 내용들이라 아직은 모르는 부분이 더 많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조금이나마 프로이트에 대해 알게 되어 좋은 경험이 되었다.
(참고서적)
30분에 읽는 프로이트(중앙M&B)
프로이트와 현대철학(열린책들)
프로이트와의 대화(학지사)
프로이트, 20세기의 해몽가(시공사)
인터넷 자료의 사용은 지양했으며, 각주의 내용은 각책의 각주와 미주의 내용을 발췌했고 일부는 네이버 백과사전의 내용을 사용했습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프로이트 이론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프로이트 이론의 분석과 각 분야별 적용 사례 및 영향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발달단계][심리성적발달단계][정신분석][정신북석이론][성격발...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성격발달단계][정신분석치료][상담기술][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
에릭슨 이론과 프로이트 이론의 비교 요약정리
성격심리이론정리 - 행동주의적, 인지주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융...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근거한 꿈 해석
정신역동이론 가운데 프로이트 이론을 서술하고 평가하시오
프로이트의 마음의 제2영역인 원초아, 초자아, 자아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프로이트의 정신...
정신역동이론,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아들러의 개인심리학,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영아발달] 영아발달이론을 생물학적 관점, 정신분석적 관점, 인지발달론적 관점, 학습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의 개념과 주요특징을 기술하고 두 이론의 ...
[프로이트 심리성적이론] 프로이드(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의식수준과 성격구조, 성격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