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I. 의식수준과 성격구조
1. 의식수준
2. 성격의 구조
1) 원초아
2) 자아
3) 초자아
II. 성격의 역동성과 방어기제
1. 정신적 에너지의 원천으로서 원초아와 본능
2. 성격의 역동성
3. 방어기제
III. 성격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1. 구강기: 0-1년
2. 항문기: 1-3년
3. 남근기: 3-6년
4. 잠복기: 6-11년
5. 생식기: 11년-성인기
IV. 평가와 양육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
1. 평가
2. 양육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
I. 의식수준과 성격구조
1. 의식수준
2. 성격의 구조
1) 원초아
2) 자아
3) 초자아
II. 성격의 역동성과 방어기제
1. 정신적 에너지의 원천으로서 원초아와 본능
2. 성격의 역동성
3. 방어기제
III. 성격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1. 구강기: 0-1년
2. 항문기: 1-3년
3. 남근기: 3-6년
4. 잠복기: 6-11년
5. 생식기: 11년-성인기
IV. 평가와 양육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
1. 평가
2. 양육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 그러나 어린 아이는 아버지를 자기의 성적 만족감을 방해하는 경쟁자로 생각한다. 그래서 아버지가 자신을 그냥 두지 않을 것이라는 두려움과 함께 자신의 성기를 잘라버리려고 할 것이라는 거세불안(castration anxiety)을 갖게 된다. 어린 아이는 자신의 초자아에 의하여 어머니와의 성적 관계의 욕구를 억압하고 오히려 아버지와 동일시하기를 시작함으로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해결한다.
한편, 이 시기에 여아는 본래의 애정대상인 어머니를 새로운 애정대상인 아버지로 바꾸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여아가 자기에게는 남아와 같이 돌출한 음경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고 실망한 데서 일어난다. 그래서 여아는 "남근선망(Penis envy)을 갖게 되고, 따라서 자신의 남근을 엄마가 거세한 것으로 여겨 그 책임을 어머니에게 돌려 어머니에 대한 애착을 약화시키게 되고 자기가 갖기를 원하는 성기를 가지고 있는 아버지에게로 사랑을 옮긴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어머니를 애정의 경쟁자로 생각하게 되지만, 남아의 경우처럼 서서히 어머니와 동일시하려는 행동이 증가되어 엘렉트라 콤플렉스가 해결되고, 여성으로서의 성 역할을 어머니를 통해서 배우게 된다고 한다.
Freud에 의하면, 남근기에 고착된 성인 남자는 대부분 경솔하고 과장되고 야심적인 성격특성을 나타낸다. 항상 자신의 강함과 남자다움을 나타내려고 한다. 그러고 남근기에 고착된 여성의 경우는 성관계에 있어서 순진하고 결백해 보이지만 난잡하고 유혹적이며 경박한 기질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Freud는 이 시기에 해결되지 못한 오이디푸스적 문제는. 특히 남성의 성적 무기력이나 여성의 불감증 등과 같은 신경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4) 잠복기(latency period) : 6~11년
6, 7세경에서 12, 3세 경까지 성적 에너지 리비도는 억압 또는 승화되어 무의식 속으로 잠복되어 수면상태에 있게 되고 오히려 신체적, 지적 활동으로 투입된다. 상대적인 성적 무활동 시기, 폭풍 전야의 고요함과 같은 시기로 표현되기도 한다.
5) 생식기(genital stage) : 11년~성인기
사춘기를 알리는 시기로부터 시작된다. 사춘기의 시작은 남(13세경), 여(11세경) 간에 차이가 있다. 성적 충동과 공격적 충동이 다시 나타난다. 성적 본능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이성이 다시 관심의 초점이 된다.
그러나 유아기에 비해서 성욕이 훨씬 덜 자기애적이고, 훨씬 덜 자기도취적이다. 발달의 궁극목표는 성인의 성숙한 성적 태도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새로이 나타나는 성적 에너지는 사춘기 초기에는 동성에게로 향한다. 그리하여 모든 사람이 그렇지는 않지만 소년기에는 동성인 친구와 함께 다니기를 더 좋아한다고 한다. 그러나 차츰 대상이 이성으로 옮겨가게 된다.
앞서 단계들 중에서 심적 부착은 매우 자애적(narcissistic) 성질을 지닌 것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자애적 경향이 순수한 대상선택으로 바뀐다. 따라서 청년기의 젊은이들은 단지 이기적이거나 자애적인 이유에서가 아니라 애타적 동기로 다른 사람을 사랑하기 시작한다. 성적 매력, 사회화. 집단활동들, 직업계획, 그리고 결혼과 가족부양을 위한 준비 등을 하게 된다. 이 시기에 들어서 인간은 쾌락추구적이고, 자애적이었던 유아로부터 현실 지향적이고 사회화된 성인으로 바뀌게
된다.
그래서 Freud(1930)는 이 시기의 주요 발달과업은 부모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아들의 경우에는 어머니와 연결된 끈을 풀고 자기 자신의 여자를 발견하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아버지와의 경쟁심을 버리고 아버지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변화와 발달이 발달의 궁극목표인 성인으로서 성숙한 태도이고 모습이다.
4. 평가와 양육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
1) 평가
Freud의 심리성적이론은 가족관계와 초기 경험들이 아동의 발달에 있어서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비판을 받기도 한다. 첫째, Freud의 이론은 소수 성인의 신경증 원인의 규명과 치료를 위한 탐구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므로 일반인들과 아동들에게 일반화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둘째로, 발달에 있어서 성적감정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Freud가 생각한 성적 갈등이 그와 환자들이 살던 성적 억압이 심했던 빅토리아 시대를 반영된 것으로 보면 오늘날에도 그대로 반영할 만큼 중요한 것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셋째로, Freud가 강조한 초기 구강기. 항문기, 그리고 남근기의 갈 등 중 어느 것도 성인의 성격을 신뢰롭게 예언한다는 증거가 많지 않다는 것 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찰 가능한 행동과 합리적 사고과정을 강조하는 학자들이 간과하기 쉬운 부분들, 즉 무의식적 동기, 초기 경험이 그 후기의 발달에 주는 영향,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랑, 두려움, 불안 등 인간발달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해 주고, 또한 이러한 주제들에 관심과 연구에 자극들을 준 것은 Freud의 중요한 공헌들이라 할 수 있다.
2) 양육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
Freud의 이론은 다음과 같은 성격발달의 지도 원리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1) 본능적 충동들의 성질을 잘 아는 것이 필요하고, 충동표현의 허용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정상적인 심리성적 발달단계들과 각 단계에서 아동들이 당면할 수 있는 갈등의 종류들을 알아야 한다.
(3) 각 발달단계에서 이해의 분위기 속에서 아동이 본능적 충동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기회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나친 만족은 아동으로 하여금 그 발달단계에 고착시키고, 다음 발달단계로 진전을 방해한다. 따라서 과잉 충족은 지양해야 한다.
(4) 아동의 약한 자아가 물리적 환경과 사회의 표준들에 의하여 압도되지 않도록 영아에게 적절한 양육과 보호가 제공되어야 한다.
(5) 발달단계에 따라서 아동의 자아가 직면하는 모든 종류의 환경적인 조건 하에서 본능적 욕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의식적인 적응기술들을 계속 확대, 발달시켜 나갈 수 있도록 문제해결의 과정에 따라 지도(혹은 가르침)가 필요하다.
한편, 이 시기에 여아는 본래의 애정대상인 어머니를 새로운 애정대상인 아버지로 바꾸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여아가 자기에게는 남아와 같이 돌출한 음경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고 실망한 데서 일어난다. 그래서 여아는 "남근선망(Penis envy)을 갖게 되고, 따라서 자신의 남근을 엄마가 거세한 것으로 여겨 그 책임을 어머니에게 돌려 어머니에 대한 애착을 약화시키게 되고 자기가 갖기를 원하는 성기를 가지고 있는 아버지에게로 사랑을 옮긴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어머니를 애정의 경쟁자로 생각하게 되지만, 남아의 경우처럼 서서히 어머니와 동일시하려는 행동이 증가되어 엘렉트라 콤플렉스가 해결되고, 여성으로서의 성 역할을 어머니를 통해서 배우게 된다고 한다.
Freud에 의하면, 남근기에 고착된 성인 남자는 대부분 경솔하고 과장되고 야심적인 성격특성을 나타낸다. 항상 자신의 강함과 남자다움을 나타내려고 한다. 그러고 남근기에 고착된 여성의 경우는 성관계에 있어서 순진하고 결백해 보이지만 난잡하고 유혹적이며 경박한 기질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Freud는 이 시기에 해결되지 못한 오이디푸스적 문제는. 특히 남성의 성적 무기력이나 여성의 불감증 등과 같은 신경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4) 잠복기(latency period) : 6~11년
6, 7세경에서 12, 3세 경까지 성적 에너지 리비도는 억압 또는 승화되어 무의식 속으로 잠복되어 수면상태에 있게 되고 오히려 신체적, 지적 활동으로 투입된다. 상대적인 성적 무활동 시기, 폭풍 전야의 고요함과 같은 시기로 표현되기도 한다.
5) 생식기(genital stage) : 11년~성인기
사춘기를 알리는 시기로부터 시작된다. 사춘기의 시작은 남(13세경), 여(11세경) 간에 차이가 있다. 성적 충동과 공격적 충동이 다시 나타난다. 성적 본능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이성이 다시 관심의 초점이 된다.
그러나 유아기에 비해서 성욕이 훨씬 덜 자기애적이고, 훨씬 덜 자기도취적이다. 발달의 궁극목표는 성인의 성숙한 성적 태도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새로이 나타나는 성적 에너지는 사춘기 초기에는 동성에게로 향한다. 그리하여 모든 사람이 그렇지는 않지만 소년기에는 동성인 친구와 함께 다니기를 더 좋아한다고 한다. 그러나 차츰 대상이 이성으로 옮겨가게 된다.
앞서 단계들 중에서 심적 부착은 매우 자애적(narcissistic) 성질을 지닌 것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자애적 경향이 순수한 대상선택으로 바뀐다. 따라서 청년기의 젊은이들은 단지 이기적이거나 자애적인 이유에서가 아니라 애타적 동기로 다른 사람을 사랑하기 시작한다. 성적 매력, 사회화. 집단활동들, 직업계획, 그리고 결혼과 가족부양을 위한 준비 등을 하게 된다. 이 시기에 들어서 인간은 쾌락추구적이고, 자애적이었던 유아로부터 현실 지향적이고 사회화된 성인으로 바뀌게
된다.
그래서 Freud(1930)는 이 시기의 주요 발달과업은 부모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아들의 경우에는 어머니와 연결된 끈을 풀고 자기 자신의 여자를 발견하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아버지와의 경쟁심을 버리고 아버지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변화와 발달이 발달의 궁극목표인 성인으로서 성숙한 태도이고 모습이다.
4. 평가와 양육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
1) 평가
Freud의 심리성적이론은 가족관계와 초기 경험들이 아동의 발달에 있어서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비판을 받기도 한다. 첫째, Freud의 이론은 소수 성인의 신경증 원인의 규명과 치료를 위한 탐구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므로 일반인들과 아동들에게 일반화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둘째로, 발달에 있어서 성적감정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Freud가 생각한 성적 갈등이 그와 환자들이 살던 성적 억압이 심했던 빅토리아 시대를 반영된 것으로 보면 오늘날에도 그대로 반영할 만큼 중요한 것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셋째로, Freud가 강조한 초기 구강기. 항문기, 그리고 남근기의 갈 등 중 어느 것도 성인의 성격을 신뢰롭게 예언한다는 증거가 많지 않다는 것 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찰 가능한 행동과 합리적 사고과정을 강조하는 학자들이 간과하기 쉬운 부분들, 즉 무의식적 동기, 초기 경험이 그 후기의 발달에 주는 영향,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랑, 두려움, 불안 등 인간발달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해 주고, 또한 이러한 주제들에 관심과 연구에 자극들을 준 것은 Freud의 중요한 공헌들이라 할 수 있다.
2) 양육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
Freud의 이론은 다음과 같은 성격발달의 지도 원리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1) 본능적 충동들의 성질을 잘 아는 것이 필요하고, 충동표현의 허용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정상적인 심리성적 발달단계들과 각 단계에서 아동들이 당면할 수 있는 갈등의 종류들을 알아야 한다.
(3) 각 발달단계에서 이해의 분위기 속에서 아동이 본능적 충동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기회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나친 만족은 아동으로 하여금 그 발달단계에 고착시키고, 다음 발달단계로 진전을 방해한다. 따라서 과잉 충족은 지양해야 한다.
(4) 아동의 약한 자아가 물리적 환경과 사회의 표준들에 의하여 압도되지 않도록 영아에게 적절한 양육과 보호가 제공되어야 한다.
(5) 발달단계에 따라서 아동의 자아가 직면하는 모든 종류의 환경적인 조건 하에서 본능적 욕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의식적인 적응기술들을 계속 확대, 발달시켜 나갈 수 있도록 문제해결의 과정에 따라 지도(혹은 가르침)가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