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아동복지론 방과후 보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아동복지론 방과후 보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1P

II. 본론 ------------------------------------------ 1P

1. 방과 후 보육의 의미
2. 방과 후 보육의 필요성 및 목적
1) 방과 후 보육의 필요성
2) 방과 후 보육의 목적
3. 방과 후 보육의 교육과정 운영
1) 일과 운영
2) 운영의 특성(교육적 측면)
4. 방과 후 보육의 유형 및 현황
1) 방과 후 보육의 유형
2) 방과 후 보육의 현황
5. 방과 후 보육 교사의 역할 및 자질
1) 방과 후 보육 교사의 역할
2) 방과 후 보육 교사의 자질
6. 방과 후 보육 관련 기사
1) 인천시내 초교 132곳서 방과 후 보육교실 운영
2) 불황에 지역아동센터는 ‘만원’

III. 결론 -------------------------------------- 7P

□참고문헌□ --------------------------------------7P

본문내용

봄 교실’을 시범운영할 계획이다.
심영숙 장학사는 \"방과 후 보육교실은 지난해보다 11개교가 늘었다\"며 \"전국 최고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뉴시스, 2009.05.21
2) 불황에 지역아동센터는 ‘만원’
불황에 지역아동센터는 ‘만원’
가족해체실직 등 이유 자녀 방과 후 보육 맡겨
1곳 평균 5.5명 대기… 작년 이용자 8만여명 달해
“정부 지원 태부족… 월급 반납해 운영비로 사용”
전남 목포의 ‘너랑나랑 지역아동센터’ 이미경(37·여) 센터장은 요즘 고민이 많다. 경기 불황으로 센터를 찾는 아동이 크게 늘어난 탓이다. 이곳에선 저소득층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방과 후 보육 등을 해주고 있다. 지난해부터 아동이 늘자 이 센터장은 자기 집을 팔아 규모를 늘렸다. 그러나 아동 10여명이 대기 명단에 올라 있을 정도로 역부족이다. 운영비도 목축업을 하는 남편 수입 일부로 충당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를 찾는 저소득층 가정이 크게 늘었지만 정부나 지자체 지원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11일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가 지난 3월 지역아동센터 1275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2월 센터 한 곳당 지난해에 비해 아동이 평균 5.2명 늘었다. 평균 아동 5.5명이 입소 대기 중이다.
같은 기간 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2404명의 센터 이용 이유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24%가 ‘가족 해체’를 꼽았다. 이어 ▲부모 실직 23.2% ▲자영업 수입 감소 18.0% ▲비정규직 전환으로 인한 수입 감소 13.3% 등 순이었다. 최근 경제 불황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이 아이들을 센터로 내몰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국 3013곳의 지역아동센터에서 8만7291명이 도움을 받았다. 아동 숫자는 2007년(2618곳) 7만6229명에 비해 14.5% 늘어난 것이다. 2006년(2029곳)에는 5만8851명이 이용했다.
현재 정부가 지원하는 예산은 센터 한 곳당 약 220만원뿐이다. 이 지원금으로 아동 간식급식비와 센터장과 생활복지사 월급 등을 충당하기엔 부족하다. 후원금도 별로 많지 않은 편이다. 아동 49명이 이용하는 너랑나랑 센터의 경우 생활복지사 2명, 급식사 1명 월급과 아동 급식간식비 등으로 한 달 460여만원을 지출한다. 수입은 정부 지원금 220만원과 후원금 76만원이 전부다. 이 센터장은 매달 160만원을 남편 수입으로 충당하는 실정이다. 특히 센터장과 복지사들이 얼마 되지도 않는 월급을 운영비에 보태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 최선숙 정책팀장은 “정부에서 추경예산으로 센터당 100만원 정도를 추가 지원키로 했지만 아직 현실과 크게 차이 난다”며 “센터 직원들은 힘든 상황에서도 어려운 가정의 아이들이 밝게 크고 나쁜 길로 빠지지 않는 모습에서 보람을 찾으며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세계일보, 2009.05.11
III. 결론
방과 후 보육은 대부분의 저소득층 자녀들이 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많을 것 같다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위 기사에 “센터장과 복지사들이 얼마 되지도 않는 월급을 운영비에 보태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기사를 보니 우리나라 복지수준이 좋아지곤 있지만 아직 많이 미흡한부분이 많은 것과 MB정부의 복지예산 감소를 보니 마음이 저소득층이 걱정이 되었다. 그렇다고 절대 MB정부를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내가 어렸을 때는 방과 후 보육이란 서비스가 미흡해서 이런 학교 외의 서비스를 받지 못한 것이 아쉽기도 하지만 지금은 민간 지역아동센터들도 많이 생겨나서 10년 전과는 다르게 긍정적인 것은 사실이다. 또 사회복지사의 마인드를 가장 잘 보여준 “센터 직원들은 힘든 상황에서도 어려운 가정의 아이들이 밝게 크고 나쁜 길로 빠지지 않는 모습에서 보람을 찾으며 일을 하고 있다” 라는 기사를 내용을 보고 감동을 받았다. 또 이번 과제를 하면서 저소득층에 대해 관심을 더 가지게 되었고 초심을 잃지 말아야 겠다고 생각했다.
□참고문헌□
서영숙김경혜, 보육학개론 - 양서원, 2006. 02 .28
김정원 외, 방과 후 아동지도 - 공동체, 2006. 07. 25
통계자료
「방과 후 보육 일반 현황」,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2008. 12. 31
「방과 후 보육 시설 현황」,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2008. 12. 31
신문기사
「인천시내 초교 132곳서 방과 후 보육교실 운영」, 뉴시스, 2009. 05. 21
「불황에 지역아동센터는 ‘만원’」, 세계일보, 2009. 05. 11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11.06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9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