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적용대상
3. 간호
4. 검사 결과
2. 적용대상
3. 간호
4. 검사 결과
본문내용
다음폐로 부터 모 든 공기를 밖으로 보냄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용적과 호기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
3)검사 후
*검사를 하는 동안 호흡을 과다하게 하므로 검사 후 호흡곤란이나 기관지 경련 증상이 있는 지 관찰
4 검사 결과
1)1회 호흡량(tidal volume)
*안정 시 한 번의 흡식과 호식으로 폐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공기량
*호흡사강(dead space):비강에서 호흡성 기관지까지의 가스교환에 참여 못하는 공기량(150ml)
2)호기보유량(expiratory reserve volume)
*안정 시 호식 후 노력하여 호식을 통해서 내보낼 수 있는 공기량
3)잔기량(residual volume)
*호식 예비용적을 밖으로 내보내고도 폐속에 남아있는 공기량
*폐쇄성 폐질환: 증가
4)흡기보유량(inspiratory reserve volume)
*정상적인 흡기가 끝난 후 더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량
5)전폐용량(total lung capacity)
*최대흡기가 끝난 후 폐에 들어 있는 공기량
*IRV+VT+ERV+RV=TLC
*폐쇄성 폐질환: 증가, 억제성 폐질환: 감소
6)기능적 잔기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
*정상적인 호기가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용적과 호기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
3)검사 후
*검사를 하는 동안 호흡을 과다하게 하므로 검사 후 호흡곤란이나 기관지 경련 증상이 있는 지 관찰
4 검사 결과
1)1회 호흡량(tidal volume)
*안정 시 한 번의 흡식과 호식으로 폐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공기량
*호흡사강(dead space):비강에서 호흡성 기관지까지의 가스교환에 참여 못하는 공기량(150ml)
2)호기보유량(expiratory reserve volume)
*안정 시 호식 후 노력하여 호식을 통해서 내보낼 수 있는 공기량
3)잔기량(residual volume)
*호식 예비용적을 밖으로 내보내고도 폐속에 남아있는 공기량
*폐쇄성 폐질환: 증가
4)흡기보유량(inspiratory reserve volume)
*정상적인 흡기가 끝난 후 더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량
5)전폐용량(total lung capacity)
*최대흡기가 끝난 후 폐에 들어 있는 공기량
*IRV+VT+ERV+RV=TLC
*폐쇄성 폐질환: 증가, 억제성 폐질환: 감소
6)기능적 잔기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
*정상적인 호기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