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2020년 기말시험(온라인평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2020년 기말시험(온라인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학교폭력의 원인을 다양한 요인별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논하시오(20점).
1) 학교폭력의 원인을 다양한 요인별로 분석
2) 그 결과를 논하시오.
2. 학교폭력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양상에 대해 논하시오(20점).
1) 학교폭력 특성에 대해 설명
2) 연령과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양상
3. 최근 학교폭력 양상을 분석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대응사례 및 예방프로그램을 찾아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25점).
1) 최근 학교폭력 양상을 분석
2)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대응사례 및 예방프로그램을 찾아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4. 참고자료

본문내용

프로그램 운영
학교폭력대응 솔리언 또래 조정 상담 활동지원
학부모 및 교사연수
학생회 행사지원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어울림프로그램 운영
인성 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제동행 체육대회, 서들광 문제(축제) 등 학교행사 지원
행복놀이 왕 선발대회
지원
어울림활동 지도안 및 활동자료
학교홈페이지 홍보
행사 사진 전시 및 보관
어울림 협의회 주관
운영결과 설문지 평가분석
운영결과 및 실적자료 보관
학생생활안전부
이○옥, 박○순
교육과정운영부
정○화, 김○창, 강장규
학생생활안전부
김○미, 김○제, 정○미
진로상담부, 교육행정사
강○영, 김○영, 김○이
Ⅱ. 어울림 프로그램 적용 계획 및 실천 (실행 및 적용 단계)
(1) 운영 계획 시행
① 어울림 프로그램 운영 계획
구분
어울림 프로그램(기본)
어울림 프로그램의 확산 적용
운영 대상
1,2,3학년 전체 학생
1,2,3학년 전체 학생
운영 기간
2018.03.01.~2019.02.28
2018.03.01.~2019.02.28
운영 모듈
1학년 : 학교폭력 인식 및 대처, 의사소통
2학년 : 공감, 갈등해결
3학년 : 감정조절, 1,2,3학년 공통: 자기존중감
학교폭력 인식 및 대처, 의사소통, 공감,
갈등해결, 감정조절, 자기존중감
운영 목적
어울림 프로그램 모듈(역량) 적용을 통해
소통하고 공감하며 관계가 회복되는 교육공동체 형성
다양한 체험중심 어울림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교폭력 없는 평화로운 학교 만들기
② 어울림 프로그램 세부 운영 계획
각 학급 학생들의 성향을 잘 알고 있는 교과담당 교사 중에서 희망을 받아 어울림 프로그램(기본) 모듈 수업을 하도록 하였으며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함
학년
모듈영역
담당교사
차시
수업일, 교시
주제
1학년
의사소통
(기본)

(기술
가정)
1차시
2018.5.01.(화) 4교시
좋은 말 & 나쁜 말
2차시
2018.5.24.(목) 3교시
마법의 듣기
3차시
2018.6.7.(목) 3교시
어떻게 말해?
4차시
2018.6.14.(목) 3교시
이렇게 말해봐
학교폭력 인식 및 대처
(기본)

(체육)
1차시
2018.3.29.(목)5교시
학교폭력! 멘사에 도전하다
2차시
2018.4.12.(목)5교시
입장바꿔! 역할극~
3차시
2018.4.26.(목)5교시
너라면 어떻게 할래?
4차시
2018.5.01.(화)3교시
학교폭력예방 홍보신문제작
③ 어울림 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육활동 전개
가. 1학년 어울림 프로그램 모듈 적용 의사소통(기본)
구분
학습 주제
목표
세부 활동 내용
1
좋은 말
vs
나쁜 말
말이 주는 상처, 말의 힘 알기
심한 말(스웨덴 공익광고 friends) : 말이 주는 폭력에 대해 인식
듣기 싫은 말 빙고 게임 : 상처받는 말 확인
말로 상처 주거나 상처 받은 경험, 힘이 되는 말 나누기
말의 힘 1(MBC 실험다큐) : 고맙습니다와 짜증나의 비밀
- 긍정, 부정의 말이 가진 힘 인식
2
마법의 듣기!
잘 듣기의 힘 험하기
나랑 이야기 좀 해(KBS 학교2013) : 상대의 말을 잘 듣지 않는 태도 확인
친구의 얘기를 막는 걸림돌 : 자신의 의사소통 걸림돌 확인
적극적 경청이란? : 적극적 경청의 의미와 방법 확인
- 마법의 듣기 : 적극적 경청 실습
눈 맞춤의 힘(EBS 지식채널e) :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중요성 확인
소통·공감을 위한 다양한 체험중심 프로그램 운영
대면식 및 학교폭력예방 캠페인
전교생 인터넷 윤리교육
행복 충전! 어울림 「학급의 날」 운영
찾아가는 문화예술 체험 한마당
도란도란! 친구사랑 주간 운영
학교폭력예방 위한 사과데이 운영
테마가 있는 수학여행 실시
더불어 사는 공동체 형성을 위한 행복놀이 프로그램 운영
행복놀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 연수 운영
학급별 행복놀이 도구 제공
사제동행 스포츠클럽 연계 행복놀이의 날 운영
학생회 주관 「행복 놀이왕」 선발대회 운영
지역사회 및 교육공동체와 함께 추진하는 어울림 활동
어울림 「서들 한마당」 체육대회
어울림 배움 텃밭 운영
4.4 아산독립만세운동 재현 행사
Ⅲ. 어울림 프로그램 운영 성과 분석(평가 단계)
(1) 어울림 프로그램 모듈 적용 만족도 조사를 통한 성과 분석
① 어울림 프로그램 기본 모듈을 적용한 후 학생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학교폭력인식 및 대처 모듈(84%), 의사소통(89%), 공감(88%), 갈등해결(83%), 자기존중감(85%), 감정조절 모듈(85%)에 대해 대체적으로 평균 85%의 학생들이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됨. 이는 어울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소통·공감·존중의 가치를 실천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인간관계가 개선되었으며 긍정적인 삶으로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② 어울림 프로그램의 효과를 묻는 응답에서는 교우관계 개선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학교폭력 예방에 기여함, 자존감이 높아짐, 언어순화에 도움이 됨 순으로 나타남. 어울림 프로그램 모듈 적용이 전반적으로 학교폭력예방에 기여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음.
③ 어울림 프로그램 미운영 시 2건 이었던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개최 건수가 운영 후 0건으로 줄어듬. 지난 해에 비해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고 다툼이나 갈등이 발생했을 때 회복적 대화를 통한 소통으로 갈등이 해결되고 관계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임.
(2) 어울림 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노력
① 어울림 교사연구회를 조직하여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 모듈별 수업시연 및 교과 재구성 등 협의를 통해 교사들의 참여와 공감을 이끌어 냄.
② 어울림 프로그램 수업공개를 통하여 동료교사 및 학부모에게 실질적인 학교폭력 예방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어울림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고 싶다는 교사가 늘어남.
③ 교육공동체와 함께하는 다양한 어울림 행사를 전개하여 학교홈페이지와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활동으로 어울림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도모하였음.
4. 참고자료
김진경,김혜라(2017)「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교육부(2019)「학교폭력 예방교육! 공감과 소통의 ‘어울림 프로그램’과 함께해요」
교육부(2012)「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0.11.14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0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