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위내시경
II. 대장내시경
III. 소장 시리즈
IV. 상부위장관조영술
V. 경피적 경간 담도배액
VI.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VII. 내시경적 역행성 담즙배액술
VIII. 내시경적 경피적 담즙배액술
IX. 자기공명 담관췌장 조영술
X. 경동맥 화학색전술
XI.복부초음파
XII.생검
II. 대장내시경
III. 소장 시리즈
IV. 상부위장관조영술
V. 경피적 경간 담도배액
VI.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VII. 내시경적 역행성 담즙배액술
VIII. 내시경적 경피적 담즙배액술
IX. 자기공명 담관췌장 조영술
X. 경동맥 화학색전술
XI.복부초음파
XII.생검
본문내용
음으로)
2) 금속성 물질을 착용하거나 삽입하였는지 확인
3) 시술 전 적어도 4시간 동안 NPO
4) 시술은 10~30분정도 소요됨을 설명함
3. 검사 후 간호
: 정상적인 활동 가능함을 설명함
Ⅹ. TACE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
경동맥 화학색전술 )
1. 검사 목적
: 정상 간 조직은 간문맥혈관 75%, 간동맥 25%에서 산소 및 영양을 공급받으나 간암은 간동맥에서만 혈액을 공급 받는다. 이런 특징을 이용해 경동맥 화학색전술은 종양에 영 양을 공급하는 간동맥만 선택, 항암제를 투여하고 항암제 투여 후 혈관을 막게 되면 정 상간 조직은 크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종양만을 선택적으로 괴사시켜 간암의 치료, 수 술이 불가능한 간종양 환자의 생명연장을 위해 사용됨.
2. 검사 전 간호
1) MN NPO
2) Lt. 18G 3way keep
3) skin prep: both inguinal area shaving
4) prep 물품: demerol 50mg + N/S 100ml, Adriamicin, mitomycin, N/S 1L, Eglandin,
diazepam
5) 수술, 검사, 마취 permission(+)
6) sand bag과 angio방으로 보냄
3. 검사 방법
1) 서혜부에 위치한 대퇴동맥을 통하여 약 2~3mm정도의 카테터를 삽입
2) 간동맥에 접근하면 혈관 조영제를 주사하면서 간동맥 조영사진을 얻음
3) 치료방침이 정해지면 약 1mm 정도의 관을 이용, 종양으로 가는 동맥을 찾아 항암제와
색전 물질을 넣어 시술
4) 관을 제거한 후 손으로 5~10분간 지혈
4. 검사 후 간호
1) special V/S check
2) 8시간 동안 ABR, 천자부위 구부리지 않게 하고 sand bag 올림
3) bleeding 관찰, 말단 부위의 색, 온도를 관찰
4) 충분한 수분 섭취 격려 (조영제 배출)
5) self voiding 격려
6) 처방에 따른 post lab
XI. Abdominal ultrasonography (복부초음파)
1. 검사 목적
: 간의 낭성구조(양성낭종,간농양,간관 확장)와 고형 간내종양(원발성과 전이성)을 진단
하는데 이용되며 황달이나 우측 상복부 통증 등과 같은 췌, 담도 증상이 있는 환자와
신장의 이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시행됨.
: 조영제나 방사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조영제 알레르기 있는 사람과 임산부에게 유용함.
2. 검사 전 간호
1) 검사 전 8시간 동안 NPO (담낭과 담도 초음파시에는 공복상태)
2)검사에 따른 어떠한 불편감도 없으며 약 15분정도 소요시간이 걸림을 설명함
3. 검사 방법
1) 검사하고자 하는 장기에 따라 환자를 초음파 촬영술 검사대에 복위나 앙와위를 취함
2) 윤활성 전도연고를 환자의 피부에 바르고 변환기를 피부 위에 놓음
3) 검사하고자 하는 장기로부터 반향된 사진을 찍음
4. 검사 후 간호
1) 환자의 복부나 등에 바른 윤활제를 닦아줌
2) 만일 생검이 시행된다면 검사한 장기를 기록함(간이나 신장 생검시)
3) 금기 사항이 아니라면 검사 후 바로 식사 가능함을 설명함
XII. Biopsy (생검)
1. 검사 목적
: 진단적 현미경적 검사를 위해 간의 일부분을 떼어내어 간의 병리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 함.
: 간염(A,B,C,D(delta),E형)- 진형성 or 비진행성 or 간경화로 넘어갔는지 여부 확인.
: 간암, 희귀 유전질환, 선천성 질환, 간질환 경과 관찰 및 예후 판정시.
2. 검사 전 간호
1) 6시간 전 NPO
2) labs: PT/PTT, CBC, X- matching, Chest PA, EKG 확인
3) 시술 permission( + )
4) Lt, arm 18G로 5 DW 1L or H/S 1L keep
5) 검사전 full voiding 6) US 가이드 하에 하는 경우는 OR로 , CT 가이드 하에 하는
경우는 CT실로 보냄
3. 검사 방법
1) 생검 전 초음파 실시
2) 앙와위
3) 베타딘 소독 후 검사부위 2% lidocaine으로 국소마취
4) 숨 깊게 들이마신 상태에서 약 5~10초가 참게하고 특수바늘 삽입하여 간조직 떼어냄
5) 검사시간: 약 20~30분
4. 검사 후 간호
1) special V/S check
2) sand bag을 오른쪽 아래에 대고 24시간 동안 ABR
3) 시술 부위의 통증이나 bleeding, 복막염 유무 관찰
4) 처방에 따라 botropase, vit. K 등 투여
2) 금속성 물질을 착용하거나 삽입하였는지 확인
3) 시술 전 적어도 4시간 동안 NPO
4) 시술은 10~30분정도 소요됨을 설명함
3. 검사 후 간호
: 정상적인 활동 가능함을 설명함
Ⅹ. TACE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
경동맥 화학색전술 )
1. 검사 목적
: 정상 간 조직은 간문맥혈관 75%, 간동맥 25%에서 산소 및 영양을 공급받으나 간암은 간동맥에서만 혈액을 공급 받는다. 이런 특징을 이용해 경동맥 화학색전술은 종양에 영 양을 공급하는 간동맥만 선택, 항암제를 투여하고 항암제 투여 후 혈관을 막게 되면 정 상간 조직은 크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종양만을 선택적으로 괴사시켜 간암의 치료, 수 술이 불가능한 간종양 환자의 생명연장을 위해 사용됨.
2. 검사 전 간호
1) MN NPO
2) Lt. 18G 3way keep
3) skin prep: both inguinal area shaving
4) prep 물품: demerol 50mg + N/S 100ml, Adriamicin, mitomycin, N/S 1L, Eglandin,
diazepam
5) 수술, 검사, 마취 permission(+)
6) sand bag과 angio방으로 보냄
3. 검사 방법
1) 서혜부에 위치한 대퇴동맥을 통하여 약 2~3mm정도의 카테터를 삽입
2) 간동맥에 접근하면 혈관 조영제를 주사하면서 간동맥 조영사진을 얻음
3) 치료방침이 정해지면 약 1mm 정도의 관을 이용, 종양으로 가는 동맥을 찾아 항암제와
색전 물질을 넣어 시술
4) 관을 제거한 후 손으로 5~10분간 지혈
4. 검사 후 간호
1) special V/S check
2) 8시간 동안 ABR, 천자부위 구부리지 않게 하고 sand bag 올림
3) bleeding 관찰, 말단 부위의 색, 온도를 관찰
4) 충분한 수분 섭취 격려 (조영제 배출)
5) self voiding 격려
6) 처방에 따른 post lab
XI. Abdominal ultrasonography (복부초음파)
1. 검사 목적
: 간의 낭성구조(양성낭종,간농양,간관 확장)와 고형 간내종양(원발성과 전이성)을 진단
하는데 이용되며 황달이나 우측 상복부 통증 등과 같은 췌, 담도 증상이 있는 환자와
신장의 이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시행됨.
: 조영제나 방사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조영제 알레르기 있는 사람과 임산부에게 유용함.
2. 검사 전 간호
1) 검사 전 8시간 동안 NPO (담낭과 담도 초음파시에는 공복상태)
2)검사에 따른 어떠한 불편감도 없으며 약 15분정도 소요시간이 걸림을 설명함
3. 검사 방법
1) 검사하고자 하는 장기에 따라 환자를 초음파 촬영술 검사대에 복위나 앙와위를 취함
2) 윤활성 전도연고를 환자의 피부에 바르고 변환기를 피부 위에 놓음
3) 검사하고자 하는 장기로부터 반향된 사진을 찍음
4. 검사 후 간호
1) 환자의 복부나 등에 바른 윤활제를 닦아줌
2) 만일 생검이 시행된다면 검사한 장기를 기록함(간이나 신장 생검시)
3) 금기 사항이 아니라면 검사 후 바로 식사 가능함을 설명함
XII. Biopsy (생검)
1. 검사 목적
: 진단적 현미경적 검사를 위해 간의 일부분을 떼어내어 간의 병리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 함.
: 간염(A,B,C,D(delta),E형)- 진형성 or 비진행성 or 간경화로 넘어갔는지 여부 확인.
: 간암, 희귀 유전질환, 선천성 질환, 간질환 경과 관찰 및 예후 판정시.
2. 검사 전 간호
1) 6시간 전 NPO
2) labs: PT/PTT, CBC, X- matching, Chest PA, EKG 확인
3) 시술 permission( + )
4) Lt, arm 18G로 5 DW 1L or H/S 1L keep
5) 검사전 full voiding 6) US 가이드 하에 하는 경우는 OR로 , CT 가이드 하에 하는
경우는 CT실로 보냄
3. 검사 방법
1) 생검 전 초음파 실시
2) 앙와위
3) 베타딘 소독 후 검사부위 2% lidocaine으로 국소마취
4) 숨 깊게 들이마신 상태에서 약 5~10초가 참게하고 특수바늘 삽입하여 간조직 떼어냄
5) 검사시간: 약 20~30분
4. 검사 후 간호
1) special V/S check
2) sand bag을 오른쪽 아래에 대고 24시간 동안 ABR
3) 시술 부위의 통증이나 bleeding, 복막염 유무 관찰
4) 처방에 따라 botropase, vit. K 등 투여
추천자료
직장암(rectal ca.)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외과병동 - Thyroid cancer case study
간호 신경외과 case ICH(뇌내출혈)
Case 1. 최종 - Cerebral Infaction
아동 병동 실습 체크리스트
정형외과 골반질환손상 골반구조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acetabulum F...
★ 성인간호학 - 폐결핵 ( 정의, 발병원인, 증상, 진단, 검사, 치료, 간호, 합병증, 예방법 )
case study, os정형외과, spinal stenosis 간호학과
A+ 성인간호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 OS case study (정형외과 -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