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 어떻게 연주할 것인가
2-1 Lied der Mignon / F. Schunert.
2-2 Fruhlingsglaube / F. Schunert.
2-3 Rastlose Liebe / F. Schunert.
2-4 Liebesbotschaft / F. Schunert.
2-5 Der Lindenbaum / F. Schunert.
3. 결론
2. 본론 - 어떻게 연주할 것인가
2-1 Lied der Mignon / F. Schunert.
2-2 Fruhlingsglaube / F. Schunert.
2-3 Rastlose Liebe / F. Schunert.
2-4 Liebesbotschaft / F. Schunert.
2-5 Der Lindenbaum / F. Schunert.
3. 결론
본문내용
극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까 많이 고민한 부분이었다. 45마디의 fz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강한 힘으로 세게 힘을 주어 누르기보다 중력을 이용하여 툭 떨어뜨리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반음계적 진행이 많으므로 페달을 짧게 여러번 밟거나 하는 방법으로 음들이 섞이지 않도록 하였다. 67마디는 모티브가 옥타브로 확장된 형태를 보여주는데 이 부분은 처음에 연주했던 의 옥타브 연주법을 참고하여 건반을 스타카토가 아닌 각 음가의 길이만큼 꽉 채워서 누르듯이 연습했다. 한 가지 습관을 이야기하자면 모든 곡의 끝에 rit.가 있을 때 각 음표의 공간을 조금 과하게 늘이는 경향이 있었는데 Schubert의 가곡에서는 지나치게 rit.를 늘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3. 결론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는 사람은 무수히 많다. 그러나 피아노 독주곡을 제외한다면 거의 모든 곡들이 다른 연주자와 함께 호흡해야 하는 곡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피아노를 잘 친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반주자가 되는 것은 아닌 듯하다. 반주도 피아노 연주의 또 다른 전문분야로서 잘 훈련되어진 반주자가 아니면 오히려 앙상블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좋은 연주자가 되기 위하여 클래스 피아노 수업을 선택했던 것이다. 15주 동안 배운 것들을 상기해보자. 먼저 피아노를 치기 위한 자세 즉 몸의 균형감을 바탕으로 하는 릴렉스, 근육을 사용하는 방법, 관절을 이용해 피아노의 건반을 효과적으로 타건하는 방법, 트릴과 꾸밈음의 정확한 연주 방법은 무엇인지 배웠다. 둘째로 연주자로서 무대에 임하는 자세에 대해서도 꾸준히 논의했다. 즉 긴장 속에서도 마음을 단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 필요했는데 이것은 다른 학생들과 마스터 클래스 형식의 레슨을 진행하면서 매번 연습할 수 있었다. 특히 나의 경우 무대에 서면 긴장을 많이 하는 편이라 피아노를 작게 치려고 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지금은 마치 배우가 연기를 하듯 자신감을 가지고 무대에 임하려 하고 있다. 셋째로 악기에 따라 달라지는 시작음의 질감, 곡이 주는 색채, 작곡가별 가곡의 차이와 같이 곡의 음표 이외의 정보들을 나누며 곡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했다.
좋은 반주자의 요건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음악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는 자세였다. 기계적으로 음향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곡에 대한 것들을 많이 알면 알수록 아름답고 훌륭한 연주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시대적 배경, 작곡가가 가지고 있는 특정한 스타일, 연주 자체의 기술, 가사의 해석력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나의 곡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런 노력이 바탕이 되어 있어야 비로소 연주자로서 그리고 함께 호흡하는 파트너로서 무대에 설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15주는 내게 있어 너무 짧은 시간이었다. 그러나 분명 나는 또 한 단계 성장했음이 분명하다. 앞으로 작곡가로서 또한 연주자로서 제대로 음악하는 사람이라는 말을 듣고 싶다. 믿고 맡길 수 있는 옳은 연주를 하고 싶다. 좀 더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길 기대해본다.
3. 결론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는 사람은 무수히 많다. 그러나 피아노 독주곡을 제외한다면 거의 모든 곡들이 다른 연주자와 함께 호흡해야 하는 곡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피아노를 잘 친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반주자가 되는 것은 아닌 듯하다. 반주도 피아노 연주의 또 다른 전문분야로서 잘 훈련되어진 반주자가 아니면 오히려 앙상블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좋은 연주자가 되기 위하여 클래스 피아노 수업을 선택했던 것이다. 15주 동안 배운 것들을 상기해보자. 먼저 피아노를 치기 위한 자세 즉 몸의 균형감을 바탕으로 하는 릴렉스, 근육을 사용하는 방법, 관절을 이용해 피아노의 건반을 효과적으로 타건하는 방법, 트릴과 꾸밈음의 정확한 연주 방법은 무엇인지 배웠다. 둘째로 연주자로서 무대에 임하는 자세에 대해서도 꾸준히 논의했다. 즉 긴장 속에서도 마음을 단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 필요했는데 이것은 다른 학생들과 마스터 클래스 형식의 레슨을 진행하면서 매번 연습할 수 있었다. 특히 나의 경우 무대에 서면 긴장을 많이 하는 편이라 피아노를 작게 치려고 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지금은 마치 배우가 연기를 하듯 자신감을 가지고 무대에 임하려 하고 있다. 셋째로 악기에 따라 달라지는 시작음의 질감, 곡이 주는 색채, 작곡가별 가곡의 차이와 같이 곡의 음표 이외의 정보들을 나누며 곡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했다.
좋은 반주자의 요건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음악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는 자세였다. 기계적으로 음향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곡에 대한 것들을 많이 알면 알수록 아름답고 훌륭한 연주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시대적 배경, 작곡가가 가지고 있는 특정한 스타일, 연주 자체의 기술, 가사의 해석력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나의 곡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런 노력이 바탕이 되어 있어야 비로소 연주자로서 그리고 함께 호흡하는 파트너로서 무대에 설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15주는 내게 있어 너무 짧은 시간이었다. 그러나 분명 나는 또 한 단계 성장했음이 분명하다. 앞으로 작곡가로서 또한 연주자로서 제대로 음악하는 사람이라는 말을 듣고 싶다. 믿고 맡길 수 있는 옳은 연주를 하고 싶다. 좀 더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길 기대해본다.
추천자료
[음악] 음악사 레포트 2편 !!!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가와 그 음악의 특징에 관하여-슈베르트, 쇼팽, 슈만
제 7차 음악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낭만주의][미술][문학][음악][낭만주의 시대 미술][낭만주의 시대 문학][낭만주의 시대 음악...
서양 음악의 이해와 감상, 슈베르트 송어에 대하여
슈타이너학교(발도르프학교, 대안교육)특징과 발달, 슈타이너학교(발도르프학교, 대안교육)운...
낭만파(낭만주의) 음악 정의, 낭만파(낭만주의) 음악 특색, 낭만파(낭만주의) 음악 장르별 특...
매슬로우의 욕구이론과 평생교육 프로그램
[음악의 이해] 프란츠 리스트 (Franz Liszt) 리스트의 생애, 리스트를 탄생시킨 시대적 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