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실습 뇌졸중(뇌경색) 케이스 스터디 문헌고찰 포함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성인간호학실습 뇌졸중(뇌경색) 케이스 스터디 문헌고찰 포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뇌경색 대상자 선정 이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방법
5. 치료

Ⅲ. 관찰기간 및 자료수집 방법

Ⅳ. 간호과정
1. 개인력
2. 건강력 및 간호력
3. 진단검사 결과정보
4. 치료 및 경과
5. 활력징후
6. 섭취량 및 배설량
7. 간호진단
8. 간호과정 적용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0~0.5 mg/dL)로 회복될 것이다.
②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일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사정>
1. 매 duty 마다 기도개방을 사정한다.
2. 매 duty 마다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호흡음, 속도, 리듬, 깊이)
3. 1시간마다 SpO2를 사정한다.
4. suction 시행 후 객담 분비물의 색깔, 점도, 양을 사정한다.
5. 심박수, 혈압, 체온의 변화를 사정한다.
1. 기도 유지는 항상 첫 번째 우선순위이다.
2. 비정상적 호흡음, 속도, 리듬, 깊이는 기도막힘에 대한 보상반응일 수 있다.
3. 정상치보다 낮은 SpO2는 산소부족을 의미한다.
4. 비정상은 감염, 기관지염 등의 결과일 수 있다.
5. 빈맥과 고혈압은 호흡의 증가 또는 저산소증과 관련될 수 있다. 열은 축적된 분비물. 무기폐 또는 감염이나 염증과정의 반응으로 생길 수 있다.
<수행>
1. 침상머리를 45°정도 올려 반좌위(semi-Fowlers position)를 취해준다.
2. 필요시마다 구강, 기도 내 흡인을 시행하여 객담을 제거한다.
3. 처방된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4.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5. 처방된 흡입치료(nebulizer)를 시행한다.
6, 고강도 흉곽물리요법을 시행한다.
7. 기관절개관 부위 드레싱 소독 실시한다.
1. 반좌위는 횡경막을 하강시켜 대상자의 흉곽 용적을 증가시키고, 중력으로 인해 체내 장기가 흉곽 쪽이 아닌 최대한 아래로 내려가게 하므로 이를 통해 폐의 확장을 돕는다.
2. 기도 내 분비물이 정체되어 있다면 기도 환기를 방해하여 비효율적인 호흡의 원인이 되므로 객담을 제거하는 것은 중요하다. 대상자가 스스로 객담을 뱉어낼 수 없는 상태일 때는 흡인을 통해 객담을 제거 하여야 한다.
3. 산소요법을 통해 세포 내 저산소증을 완화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감소된 동맥혈 내 산소수치를 정상화할 수 있다.
4. 폐렴을 일으킨 병원균에 작용하여 균을 제거한다.
5. Nebulizer는 분무된 약물이 기도와 폐로 직접 침투해 작용하므로 빠른 효과를 나타내며, 작은 입자로 분무된 용액이 객담의 액화를 도와 배출이 용이하도록 돕는다.
6. 흉곽물리요법은 기침이나 흡인으로 제거되지 않는 분비물을 느슨하게 하여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7. 침습적 처치가 이뤄진 부위에는 미생물 감염이 쉬우므로 소독을 하여 감염을 최소화한다.
간호중재
<사정>
1. 매 duty 마다 대상자의 기도개방을 사정하였다. 턱을 너무 당기고 웅크린 채로 있을 시 턱을 45°로 들어주고 신체선열을 곧게 해주어 기도를 개방해주었다.
2. 매 duty 마다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06/25
06/26
06/27
호흡음
거친 소리
정상
정상
속도
빠름 (28회/분)
빠름 (34회/분)
정상 (20회/분)
리듬
규칙적
규칙적
규칙적
깊이
얕음
얕음
정상
3. portable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통해 1시간 마다 SpO2를 사정하였다. 6월 24일 13시 SpO2 92% 외 모두 정상수치로 측정되었다.
4. suction 시행 후 객담 분비물의 색깔, 점도, 양을 사정하였다.
06/25
06/26
06/27

moderate
moderate
moderate
점도
thick
thick
thick
색깔
yellowish
whitish
whitish
5. 심박수, 혈압, 체온의 변화를 사정하였다. 6월 24일 19시 BT 38.0℃ 외 모두 정상수치로 측정되었다.
<수행>
1. 침상머리를 45°정도 올려 반좌위(semi-Fowlers position)를 취해주었다.
2. RN이 구강, 기도 내 흡인 시행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필요물품 : Airway, suction catheter, wall suction, 산소유량계, 생리식염수)
3. RN이 산소요법을 시행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필요물품 : Kendal, 비강캐뉼라, O2 flow rate : 4L/min, 방법 : T-piece(산소투여 시 사용되는 관))
4. RN이 항생제 투여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MeropeNEM inj 500mg/v + 휴온스 0.9% Normal Saline 20mL/AP Mix tid (06시, 14시, 21시)
5. RN이 nebulizer 시행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필요물품 : 네뷸라이저, 약제(진해거담제), 생리식염수(진해거담제 희석), 약제통, 마스크)
6. 고강도 흉곽물리요법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복부와 흉부 중간 지점에 복대를 두르고, 토닥이 관 2개를 연결하여 전원을 작동시켰다. (tid 06시, 12시, 17시)
7. Intern이 기관절개관 부위 소독 드레싱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Tracheostomy QD Dx (거즈))
간호평가
1. 1일 내에 대상자의 SpO2 정상수치로 회복되었다. (단기목표① 달성)
06/24
06:00
13:00
19:00
SpO2
98%
▼92%
97%
2. 1일 내에 대상자의 호흡 수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단기목표② 달성)
06/24
06/25
06/26
13:00
19:00
06:00
13:00
19:00
13:00
19:00
RR
▲32
20
▲28
22
22
▲34
20
3. 2일 이내에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35.6~37.2℃)으로 회복되었다. (단기목표③ 달성)
06/24
06/25
06:00
13:00
19:00
06:00
13:00
19:00
BT
36.6
37.1
▲38.0
37.0
37.1
37.4
4. 6월 26일 까지의 일반화학검사에서는 CRP 정상 수치 회복하지 못하였다. (장기목표① 진행중)
5. 6월 27일 대상자의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관찰하였다. 퇴원 시까지 유지 필요함 (장기목표② 진행중)
Ⅴ. 참고문헌
황옥남 외(2018년). 성인간호학 상권(7판). 현문사
황옥남 외(2018년). 성인간호학 하권(7판).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6년).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성미혜 외(2017년).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김조자 외(2012년).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현문사
NANDA-1 간호진단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
  • 가격1,8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0.11.19
  • 저작시기201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0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